"비례 3번 4억5천, 4번 2억원 내"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 창조한국당 비례대표 후보들이 대선 이후 총선 전후까지 특별당비 또는 차입금 등의 형태로 당에 납부한 금액이 총 10억여원에 달하는 것으로 28일 나타났다.
창조한국당이 이날 자료를 통해 공개한 후보별 납부액 현황에 따르면 이미 구속된 이한정씨에 이어 검찰수사를 받고 있는 비례대표 3번 유원일 전 시흥환경운동 연합 대표(전 당 민원실장 및 총선승리본부 시민사회위원장)는 지난 1월7일 당에 차용장을 받고 1억원을 빌려준데 이어 3월 4∼5일 5천만원씩, 그리고 공천 직전인 25일 1억원 등 총 2억원의 당채를 당 홍보비 마련 등을 위해 매입했으며 4월2일 1억5천만원의 특별당비를 납부하는 등 총 4억5천만원을 냈다.
또한 비례대표 4번을 배정받았던 선경식 (사)민주화운동공제회 상임이사(당 고문)는 1월7일 1억원을 당에 빌려줬고 3월9일 1억원을 특별당비로 냈으며, 비례대표 11번이었던 박경진 연세대.성균관대 겸임교수는 3월14일 특별당비 5천만원을 냈다.
비례대표 1번으로 당선된 이용경 전 KT 대표이사는 대선 기간이던 지난해 12월 3일과 6일, 7일 3천만원, 2천만원, 3천만원씩, 총 3차례에 걸쳐 8천만원을 당에 빌려줬으며 총선 이후인 이달 18일 3천만원의 당비를 납부했다.
당이 이날 밝힌 비례대표 후보자들의 특별당비 및 차입금 납부 규모는 당비 3억3천만원, 당채 2억원, 차입금 2억8천만원 등 8억1천만원(총 4명)이며, 여기에 비례대표 2번인 이한정씨가 지인 2명을 통해 매입한 당채 6억원까지 합하면 총 5명, 14억1천만원 상당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한정씨가 당이 제기한 당선무효소송 등으로 의원직을 상실할 경우 3번인 유 전 대표가 승계하도록 돼 있지만, 상위순번 후보들이 줄줄이 당에 자금을 제공한 것으로 나타나 파장이 커지고 있다.
또한 이날 창조한국당의 발표는 사실공개를 통해 사태를 수습하기 위한 차원으로 보이나, 자금납부 대상 및 규모가 그동안 밝혀온 규모를 크게 상회하고 있어 의혹도 커지고 있다.
창조한국당은 이날 자료를 통해 "당은 매월 2억여원에 가까운 지출에도 불구, 당비는 매월 2천만원에 못미쳐, 적게는 1천만원에서 많게는 수억원에 이르는 당비 납부와 채권매입, 차용증을 받아 당 살림을 꾸려왔으며, 외부인사 부재로 신청자 대부분 당원 및 당직자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쉽게 수긍될 것"이라며 "비례대표 3,4번의 경우 전문성과 더불어 당에 대한 기여도를 평가받아 번호를 배정받았다"고 설명했다.
창조한국당은 또 "검찰이 당 계좌 사본을 제출받았고 주요 당직자 집.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 소환조사에도 불구, 수사진척이 없자 문국현 대표를 옭아매기 위해 플레이를 하는 게 아닌가 의혹을 지울 수 없다"고 표적수사 의혹을 제기했다.
이어 "이번 수사가 국회의원직의 매관매직을 뿌리뽑는 계기가 되길 바라지만, 행여 과잉충성이나 정치적 의도가 개입되지 않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창조한국당은 구속수감 중인 이한정씨가 29일 중 소명서를 제출하는 대로 윤리위를 소집, 제명 방침을 확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hanksong@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