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교육과학기술부는 부처 통합 후속 조치의 하나로 세부사업과 단위사업을 통합하는 등 국가연구개발사업 체제를 연구자 친화적으로 개편했다고 28일 밝혔다.

교육과기부는 이번 개편의 기본 방향은 부처 통합에 따른 R&D(연구개발)사업의 화학적 융합과 신 정부의 국정과제 등을 반영하고 복잡한 사업구조를 수요자 관점에서 기능별로 체계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과기부는 이번 개편에서 그동안 각 부서에 분산돼 있던 56개 단위사업을 36개로 통폐합해 연구자가 자신에게 맞는 지원사업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과거 교육인적자원부와 과학기술부에서 추진해 왔던 개인연구자 대상의 기초연구분야 단위사업들이 '개인연구지원사업'으로 일원화됐다.

또 '개인연구지원사업'은 연구자가 연구능력에 따라 연구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일반연구자 지원, 중견연구자 지원, 리더연구자 지원 등 3개 분야로 구분, 능력별 맞춤형 사업으로 재편됐다.

'일반연구자 지원'은 신진교수와 연구교수, 박사 후 연구원 등을 대상으로 한 사업이고 '중견연구자 지원'은 국가 R&D사업을 수행하며 우수한 연구성과를 얻은 연구자가 대상이며 '리더연구자 지원'은 세계적 수준의 연구성과를 낸 연구자를 지원, 연구자 역량에 따라 단계별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교육과기부는 앞으로 개편된 국가 R&D사업 체제를 직제에 반영해 즉시 시행될 수 있게 하고 내년도 예산편성에 반영되도록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교육과기부는 또 국가 R&D 사업 체제 개편 후속 조치로 학술연구지원사업 처리규정 등 5개 규정과 기초과학연구사업비 정산지침 등 3개 정산지침, 특정연구개발사업 평가지침 등 4개 평가지침을 '교육과학기술부 소관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으로 일원화해 불필요한 규제성격의 내용들을 폐지 또는 대폭 완화할 방침이다.

scitech@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