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서울=연합뉴스) 권 훈 기자= 정부가 수도권을 제외한 골프장에 대해 세금을 깎아주고 골프장을 새로 짓는데 걸림돌이 됐던 각종 규제를 풀겠다고 밝히자 관련 업계는 '숙원이 풀렸다'며 환영했다.

중국과 동남아시아로 빠져나가는 수요로 갈수록 손님은 줄어드는데 매출액 대비 세금이 40%에 이르는 고세율 탓에 운신이 어려웠던 경영 환경에 숨통이 트였다는 반응이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골프장은 특히 이번 조치로 적자를 감수하고 요금을 인하하는 출혈 경쟁은 피하게 됐다며 안도했다.

한국골프장경영협회는 "국내 골프장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세금 인하분 뿐 아니라 경영 합리화를 통해 적극적으로 요금을 내리겠다"고 화답했다.

정부가 이번에 내놓은 감세안은 1인당 2만1천120원의 소비세와 체육진흥기금 3천원을 면제하고 보유세를 대폭 낮춰준다는 것이 뼈대이다.

종부세와 재산세로 나눠져 있는 보유세는 골프장 입지에 따른 과표가 저마다 달라 인하폭은 제 각각이지만 업계는 1인당 평균 1만5천원 인하 효과가 발생한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소비세와 체육진흥기금이 없어지고 보유세가 내리면 그린피는 3∼4만원 가량 내릴 수 있다.

게다가 이른바 '경영 합리화'를 통한 인하 요인을 합쳐 5만원 이상 내리는 골프장도 많을 것으로 예상돼 17만원 안팎인 그린피는 12만∼13만원로 떨어질 전망이다.

항공료와 숙박비가 추가로 소요되는 중국 골프장 그린피가 10만원 안팎이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중국 으로 골프치러 떠나는 골퍼의 발길도 어느 정도 되돌릴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또 업계는 골프장을 사치성 유흥시설이 아닌 관광산업또는 체육시설로 간주한다는 '시각의 전환'을 가장 반겼다.

하지만 이번 조치를 보는 골프장 업계의 시선은 마냥 환영 일색만은 아니다.

그동안 '중과세 탓'으로 돌리며 그린피 뿐 아니라 카트 이용료나 캐디피, 식음료 가격 등에서 터무니없는 가격을 받던 관행도 더 이상 계속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적자 경쟁 우려는 사라진 게 아니라 잠시 피하게 됐을 뿐 핑계가 없어진 새로운 경영 환경에 적응이 시급해졌다.

세금 인하 대상에서 제외된 수도권 골프장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지방 골프장보다 세금 부담이 더 큰 수도권 골프장은 최근 경영난을 이유로 그린피를 1∼2만원씩 올리기로 결정한 곳이 많아 더 따가운 눈총을 받을 형편이다.

게다가 수도권과 가까운 충청권과 강원권 골프장이 절반에 가까운 요금을 앞세워 수도권 수요를 끌어 갈 것이 뻔해 영업에 상당한 타격을 예상하고 있다.

정부가 "수요가 많아 가격에 따른 수요 탄력성이 없다"는 이유로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골프장은 세금 감면 대상에서 제외한 것도 문제점이다.

서울에서 가까운 골프장은 주말 그린피가 26만원까지 치솟은 상황에서 매출액의 절반에 가까운 세금을 거둬가는 세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은 골프장 업계의 양극화를 극단으로 몰고 가는 처사라는 지적이다.

골프장이 많이 생기면 자연스럽게 이용 요금도 내려간다는 시장 논리를 내세워 골프장 신설이 손쉽도록 규제를 없애겠다는 방침에 대해서도 한계를 지적하는 시각이 있다.

전문가도 있지만 어차피 수도권은 땅값을 비롯한 골프장 조성 비용이 지나치게 비싸 행정 규제 철폐만으로는 신규 건설을 이끌어내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결국 지방 골프장 시장에만 공급이 추가돼 가뜩이나 치열한 경쟁이 가중되는 부작용도 우려된다.

khoon@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