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지방 상생구도로 바뀌어야"
(서울=연합뉴스) 이승관 기자 = 새 정부의 초대 국가균형발전위원장에 내정된 최상철 서울대 명예교수는 28일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기존 정책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 내정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행복도시 건설에 대해 반대하지 않지만 실질적인 개발과 (지역)발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책보완이 필요하다"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이는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대선기간 "행복도시에 과학, 산업, 행정 기능을 접목하고 주변 도시와의 연계를 강화, 도시 자족기능을 높일 것"이라며 내놓은, 이른바 `이명박표 세종시'와 대체로 궤를 같이 하는 것으로 새 정부의 행복도시 추진방향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지난 2004년 수도권이전반대국민연합 공동대표를 맡았던 최 내정자는 "당시 수도이전에 반대한 것은 실제 지역균형발전은 물론 전체 국가발전에도 도움이 안된다는 판단에서였다"고 밝혔다. 다음은 최 내정자와의 일문일답.
--이명박 대통령과의 인연은.
▲초대 서울시 시정개발연구원장을 해서 이 대통령이 서울시장 재임때 시정 자문역할을 했다.
--과거 수도권반대국민연합공동대표를 역임해 지역균형발전 반대론자라는 지적이 있는데.
▲내 전공이 지역정책과 지역개발이다. 나는 균형발전론자이다. 당시 수도권 이전에 반대한 것은 실제 지역균형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을 뿐더러 전체 국가발전에도 도움이 안된다는 판단에서였다. 아울러 남북통일을 앞두고 수도를 남쪽으로 옮기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도 있었다.
--행복도시와 관련한 입장은.
▲수도권과 지방은 대립구도에서 상생구도로 바뀌어야 한다. 행복도시는 실질적 개발이 가능하도록 정책보완이 필요하다. 행복도시 건설에 반대하지 않지만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기존 정책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할 필요는 있다고 본다.
--기존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문제점은.
▲특별한 편견을 가지고 있지 않다. 아직 내정자 신분이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말할 입장은 아니다. 향후 위원회가 구성되면 의견을 수렴해서 실질적인 정책대안을 내놓겠다.
humane@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