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성의없는 제안이 가져온 결과"
靑 "개인 아이디어 차원 아니었다"
(서울=연합뉴스) 이광빈 안용수 기자 = 정치권은 북한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이 이명박 대통령의 남북연락사무소 설치 제안을 거부한 것과 관련해 27일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여당인 한나라당은 실질적인 대화창구 개설을 무산시킨 북한에 아쉬움을 토로한 반면, 통합민주당 등 야당은 일제히 성의없는 제안이 가져온 당연한 결과라며 대북관계에서 정부의 신뢰회복 노력을 촉구했다.
한나라당 조윤선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과거 형식적인 이벤트성 행사가 아닌 실질적 대화와 남북교류를 위한 제안을 과거의 틀로만 바라보는 시각이 아쉽다"면서 "남북간 상호이해와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를 위해 상시 대화창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사실을 진지하게 고민해 달라"고 북한에 촉구했다.
조 대변인은 또 "(북한은) 남북관계의 새로운 변화와 발전을 위해 전향적 자세를 가져야 한다"면서 "과거 정부와의 비정상적인 일방적인 관계를 탈피해 무엇이 북한을 진정으로 위하는 것인지를 직시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반해 통합민주당 차영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주무부처인 통일부도 몰랐던 즉흥적 제안이 초래한 당연한 결과"라면서 "그냥 한 번 해본 제안에 북한의 성의있는 답변을 기대하긴 어렵다. 성의없는 제안이 남북간 최소한 신뢰구축에 찬물을 끼얹는 꼴이 됐다"고 정부측을 비판했다.
최재성 원내 대변인은 지난 24일 청와대 오찬회동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연락사무소 제안이 개인의 의견이고 구체적 제안은 아니었다"고 말했다는 손학규 대표의 전언을 상기시킨 후 "이런 상태에서 연락사무소를 설치하자고 제안했으니 북한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하지만 청와대 이동관 대변인은 "연락사무소 문제는 오랫동안 생각해 왔던 것이고 청와대 측근들과 논의도 했던 사안"이라며 "미국 순방중 언론 인터뷰를 계기로 공식화하게 된 것이고 돌아와서 공식 제안한다는 계획이었다"고 반박했다.
이 대변인은 "단순히 개인 아이디어 차원은 아니었다"고 거듭 강조하면서 "(당시 언론 인터뷰가) 공식제안은 아니었다는 얘기를 (손 대표가) 그렇게 받아들인 것 같다"고 말했다.
자유선진당 박선영 대변인은 구두논평에서 "북한이 거절할 것이 분명한 제안을 성의없게 한 것 자체가 문제"라며 "대북정책을 원칙없이 한건주의식으로 추진해서는 안된다. 좀 더 분명하게 원칙이 무엇인지 살펴서 제대로 된 대북정책을 내놓기 바란다"고 정부측에 요구했다.
민주노동당 박승흡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두차례에 걸친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 결과를 모두 없던 것으로 돌린 채 새로운 뭔가를 시도하는게 문제였다"면서 "중단 상태에 놓인 남북총리회담 등 10.4선언 내용을 이행하는 것이 남북관계의 꼬인 매듭을 푸는 올바른 순서"라고 밝혔다.
진보신당 이지안 부대변인은 구두논평에서 "남북한 상설대화는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데 이번 연락사무소 제안은 진정성이 담보되지 않았다. 정부는 남북간 상호 신뢰구축을 위해 먼저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lkbin@yna.co.kr
aayyss@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