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추왕훈 기자 = 정부가 기업의 해외인턴 파견을 적극 지원, 장려하고 있지만 기업들은 정부의 지원 프로그램에 대해 모르고 있거나 해외인턴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하고 있어 홍보대책이 절실한 것으로 지적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해외에 현지법인이 있거나 거래업체가 있는 국내기업 가운데 해외인턴제도를 운영하는 기업 97개사, 운영하지 않는 기업 263개사 등 모두 36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해외인턴십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업계의견' 조사 결과 이같이 분석됐다고 27일 밝혔다.
해외인턴십 프로그램은 대학생 등 미취업 청년들이 해외의 기업현장에서 실습근무 또는 연수를 하는 제도로 정부는 이의 활성화를 위해 재정적, 행정적 지원을 해주고 있다.
대한상의 조사에 따르면 해외인턴제 운영 업체들의 만족도는 '만족한다'(35.1%)는 업체가 '불만족'(10.3%)이라는 업체의 3배에 달했지만 이 제도 지속여부에 대해서는 '계속 운영하지 않겠다'는 업체가 33.7%나 됐다.
이들 업체가 밝힌 해외인턴제 관련 애로사항으로는 '정부의 재정적 지원 미흡'(45.6%)이 가장 많이 꼽혔고 이어 '우수인력 공급정보 부족'(16.5%), '인턴인력의 자질 미비'(16.5%), '짧은 인턴 기간'(10.1%) 등이 뒤를 이었다.
해외로 인턴을 파견하는 목적은 '인재 확보'(44.3%), '정부.대학 등과 협력관계 유지'(17.5%), '미래세대를 위한 투자'(6.2%), '기업의 이미지 제고'(14.4%) 등 순으로 응답했다.
해외인턴제를 운영하지 않는 기업들은 그 이유를 주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79.1%)라고 답했다. 일부 기업은 '해외인턴십에 대해 잘 몰라서'(12.5%)라거나 '인턴생 채용 및 관리관련 업무부담 때문'(5.7%)에 해외인턴제 도입에 소극적이라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모두 해외사업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지원 해외인턴십 프로그램에 대해 4곳 중 3곳이 '전혀 모른다'(50.6%)거나 '들어본 적은 있지만 내용은 잘 모른다'(25.5%)고 털어놨다.
조사대상 기업들은 해외인턴제도 활성화 과제로 '비자 발급절차 간소화, 취업비자 쿼터 확대 등 비자 발급 개선'(5점척도 기준 4.28)을 꼽은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해외인턴십 사업의 성과점검 관리체계 확립'(4.02), '글로벌 핵심인재 육성이라는 사업목적에 충실하게 운영'(4.00), '현지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의 질 향상'(3.99) 등을 꼽았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해외인턴제도를 운영하는 기업 중에도 적지 않은 수가 이를 폐지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나 해외인턴제도 전반에 관한 보완이 요구된다"면서 "해외인턴제도 운영 우수사례를 발굴, 홍보하고 대학과 기업이 상호 윈윈할 수 있는 적절한 지원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cwhyna@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