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外企 등 기업인도 참석..정례화도 검토



(서울=연합뉴스) 김종수 기자 = 대통령이 직접 주재하는 무역정책회의가 4년만에 재개될 전망이다.

아울러 투자분야도 함께 다뤄지면서 수출기업 뿐 아니라 외국기업 관계자들도 참석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으며 이를 정례화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27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정부는 이르면 내달 하순께 이명박 대통령이 주재하고 정부와 업계단체, 수출기업 대표 등이 참석하는 무역투자진흥회의를 개최할 계획이다.

이 회의는 '수출입국'을 내세우던 박정희 대통령 시절에는 정부와 종합상사 대표 등 수출업계 관계자들이 모여 수출목표를 정하고 각종 무역정책을 논의하기 위해 월례 행사로 진행됐던 뿌리깊은 회의다.

그러나 정부의 '수출 드라이브 정책'이 약화되면서 회의 주기가 길어지거나 부정기적인 행사로 위상이 추락했다.

특히 참여정부에서는 '무역진흥 확대회의' 형식으로 5년간 세 차례만 열렸으며 그나마 2004년을 마지막으로 열리지 않았다.

내달 하순∼6월초께 회의가 열리면 대통령 주재 무역회의가 4년만에 재개되는 셈이다.

아울러 이전 정부에서는 민간부문 참석자도 업계단체 위주로 짜여져 수출기업인들의 참석도 많치 않았다.

이번 회의에는 이전과 달리, 주요 수출업체 대표들도 참석할 계획이다.

특히 이윤호 지경부 장관이 지난달 외국기업인들과의 간담회에서 대통령 주재회의에 외국기업 대표들의 참석을 약속한 바 있어 외국기업인들도 자리를 같이할 전망이다.

정부는 아울러 대통령과 기업인들이 직접 만날 수 있는 형태의 이 회의를 정례화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과거와 달리 월,분기 단위의 행사는 쉽지 않겠지만 반기 정도의 기간을 두고 그간에 제기된 문제들을 논의하기 위해 회의를 정례화하는 방안은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jsking@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