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연합뉴스) 김계환 특파원 = 조지 부시 대통령이 북한과 시리아의 핵 협력설 관련 자료를 공개함으로써 지난해 이뤄진 이스라엘의 시리아 공습을 둘러싼 논란을 잠재웠지만 임기 말까지 대북 강온파 간 대립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뉴욕타임스가 25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북-시리아 비밀 핵 협력에 대한 미 정부의 발표가 나온 만큼 이제 관심의 초점은 북한의 반응이라면서 행정부 내에서 이번 발표가 핵확산 활동에 대한 북한의 시인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북한이 반발하면서 북핵협상이 깨질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그러나 이번 발표로 북핵 협상파와 제재 고수를 주장하는 강경파 사이의 충돌이 부시 대통령의 임기 말까지 계속될 것이라면서 일부 행정부 관리들도 부시 대통령이 후임자에게 대략 10개의 핵무기 또는 무기급 연료를 가진 북한을 넘겨 줄 수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 역시 북-시리아 핵 협력설에 대한 발표가 북한 핵 프로그램 검증 문제에 협력하기로 북-미가 의견을 모은 가운데 이뤄진 점에 주목하면서 상충하는 이같은 상황이 어떤 식으로 가닥이 잡히느냐에 따라 북핵협상의 성공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뉴욕타임스는 중앙정보국(CIA)이 제시한 사진자료에 촬영날짜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일부는 2002년 이전에 촬영된 것으로 보인다면서 정보당국자들은 현금확보가 시리아에 대한 북한의 핵 협력 목적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신문은 지난해 9월 이스라엘의 시리아 공습을 앞두고 부시 행정부가 이스라엘과 격한 토론이 벌어졌었던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이스라엘은 시리아 핵시설을 생존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 공격에 나섰으나 미국이 이스라엘의 공습을 승인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신문은 이어 북-시리아 핵 협력에 대한 자료를 7개월 동안 공개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이스라엘에 대한 시리아의 보복공격과 중동지역에서의 대규모 전쟁 촉발 가능성을 우려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행정부의 설명이라고 전했다.
신문은 그러나 미국이 북-시리아 핵 협력 증거자료를 제시하면서 시리아를 강력하게 비난, 시리아와 새로운 긴장을 야기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고위 정보당국자들은 시리아가 플루토늄 재처리시설을 만들었다는 징후는 없었으며 따라서 시리아의 핵무기 개발 준비 여부에 대해 단지 "낮은 수준의 확신"을 가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지만 그렇다고 다른 설명을 찾기도 힘든 상태라고 대통령에게 보고했다고 신문은 부연했다.
저널도 북-시리아 핵 협력 의혹이 시리아와 이스라엘의 평화협상을 포함, 중동안정을 위한 노력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고 지적했다.
kp@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