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워싱턴=연합뉴스) 김병수 특파원 = 미 행정부는 북한 핵활동 신고와 관련 북한과 체결한 잠정합의가 의회 및 행정부내 일부의 반대에 부딪힘에 따라 북핵 검증조항을 강화하는 등 기존합의를 재협상하고 있다고 워싱턴타임스(WT)가 25일 행정부 관리들의 말을 인용, 보도했다.

타임스는 또 지난 23일 미 공화당 소속 상원의원 14명이 조지 부시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미 행정부가 현재 추구하고 있는 북한 핵프로그램에 대한 조치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타임스에 따르면 미국은 그동안 북한의 핵활동 신고문제에 대해 북한은 우라늄농축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핵기술 이전에 대해서도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해왔지만 2주전 싱가포르회동에선 미국이 알고 있는 북한의 핵활동에 대해 기술하고 북한이 미국의 우려를 `인정'토록 했다.

의회 관계자는 "그것은 중대한 변화였고, 많은 사람들이 놀랐다"고 말한 것으로 타임스는 밝혔다.

북한 핵신고와 관련된 미국의 정책변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제기되자 미 행정부는 이에 대처하기 위해 지금은 북한의 비밀 핵활동에 대한 검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고 타임스는 지적했다.

북한과의 협상을 이행하기 위해선 관련법 개정 등 미 의회의 지원이 중요하기 때문이라는 것.

존 인사인(네바다주), 존 카일(애리조나주) 의원 등 공화당 소속 상원의원들은 서한에서 싱가포르 합의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북한 김정일은 어떤 협상이든 미국이 수용할 것이라고 믿는 것처럼 보인다"면서 현재 북한과의 협상이 이란과 다른 `불량국가'들에게 잘못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고 지적했다고 타임스는 밝혔다.

이에 대해 부시 행정부는 비록 미국이 북한의 간접시인도 수용하더라도 북한이 더이상 그런 활동을 진행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검증하기 위해 북한의 핵활동과 관련된 모든 장소에 대한 접근을 추진중이라고 설명하고 있다고 타임스는 전했다.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은 싱가포르 잠정합의를 세부조율하고, 북한의 최종적인 핵 신고 내용이 미국의 입장을 곤란하게 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확실히 하기 위해 성 김 국무부 한국과장은 금주에 북한에 보냈다고 타임스는 밝혔다.

한편, 북핵 3단계에 진입한 뒤 미국의 주도로 북한 영변 핵시설을 불능화하기 위해선 미국 의회의 재정지원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핵실험한 국가에 대해선 미국 예산지원을 금지한, `글렌수정법'의 개정이 필요하다고 타임스는 지적했다.

bingsoo@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