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서울=연합뉴스) 윤종석 기자 = 삼성전자가 특검 정국에도 불구하고 1.4분기에 어닝 서프라이즈 수준의 실적을 올릴 수 있었던 것은 휴대전화와 LCD 사업이 해외 시장에서 견고한 성장을 이뤘기 때문이다.

이는 무엇보다 LCD 패널의 판가 안정과 휴대전화 부문의 원가 절감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매출의 80% 이상이 해외에서 일어나는 회사 성격 상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면서 LCD, 휴대전화 등 수출 품목의 채산성이 급격히 호전된 것도 큰 도움이 됐다.

반도체 사업은 세계적인 메모리 시장의 불황을 이기지 못하고 저조한 실적을 기록했으며, TV 사업은 일본 소니의 저가 전략에도 불구하고 선방했다는 평가다.

◇ LCD, 휴대전화가 실적 이끌었다 = LCD총괄이 1.4분기 영업이익 1조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대의 실적을 올리며 선전할 수 있었던 것은 글로벌 LCD 시장에 찾아온 유례 없는 호황 덕분이다.

LCD총괄은 1.4분기 매출 4조3천400억원에 23%의 영업이익률을 올리며 영업이익은 1조100억원을 기록, 처음으로 분기 영업이익 1조원을 돌파했다.

무엇보다 1.4분기 모니터와 노트북 용 등 IT패널은 계절적 비수기라는 사실이 무색할 정도로 수요가 강해 패널 가격 하락세가 그렇게 심하지 않았고, TV용 패널도 일본 소니의 저가 TV 전략에도 불구하고 하락폭이 미미했다.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19인치 모니터용 패널은 전분기 138달러에서 1.4분기 124달러로 10% 가량 하락했고 15.4인치 노트북용 패널은 107달러에서 98달러로 8% 하락했다.

TV용 패널의 경우 40인치 HD급 패널은 511달러에서 509달러로 1% 정도의 미미한 하락폭을 보였다.

삼성전자는 "계절적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TV용과 노트북용 패널의 수요가 견조했으며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실적이 좋았다"고 설명했다.

정보통신 총괄도 삼성전자 사업 총괄 중 가장 많은 매출인 5조5천500억원에 영업이익은 9천200억원을 기록하는 등 좋은 실적을 이어갔다.

특히 영업이익률이 마케팅 비용의 감소에 힘입어 16%까지 상승했는데, 이는 정보통신 총괄이 1.4분기 혹독한 원가 절감 등 생산성 향상 활동을 벌인 결과로 풀이된다.

또 1.4분기 전 세계 출하대수는 4천630만대를 상회해 성수기였던 작년 4.4분기 수준을 유지했고 작년 동기에 비해서는 33% 판매량이 늘었다.

삼성전자는 "1.4분기 유럽과 북미 등 선진시장의 수요가 약세를 보였지만 인도와 중국, 중남미 등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성장이 지속됐으며, 특히 국내에서는 3G 시장의 경쟁이 심화돼 판매가 호조를 보여 전분기 대비 42%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평균 판매가격은 선진 시장에서 수요가 줄어들면서 148달러에서 141달러로 다소 하락했다.

◇ 반도체 실적 저조.. "프리미엄 제품으로 견뎌라" = 삼성전자 반도체 총괄의 실적은 메모리 가격의 판가 하락을 견디지 못하고 예상대로 저조했다.

반도체 총괄은 1.4분기 매출 4조3천900억원, 영업이익 1천900억원의 실적을 올렸는데, 영업이익은 전 분기에 비해서는 55% 하락했으며 작년 동기에 비해서는 64% 내린 것이다.

반도체 총괄의 이 같은 실적은 D램의 고정거래가격의 하락세는 크지 않았지만 가격이 워낙 저조한 수준에 머물러 있어 수익성을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고, 낸드플래시는 하락세가 더욱 심화됐기 때문이다.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반도체 시장 주력 제품인 DDR2 512Mb 667MHz는 1월 초 0.88달러에서 3월 말 0.91달러로 소폭 올랐지만 바닥 수준이며, 낸드플래시 8Gb 멀티레벨셀 제품은 1월 초 3.34달러에서 3월 말 2.76달러로 내려섰다.

삼성전자는 이 같은 악조건 속에서도 모바일, 그래픽 D램 등으로 제품군을 다양화해 범용 D램에 대한 의존도를 지속적으로 줄여 왔지만 워낙 메모리 가격 하락폭이 심해 실적 악화는 불가피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계절적인 비수기로 PC 고객사의 수요가 전분기 대비 11% 가까이 감소했고 낸드플래시도 수요가 회복되지 않아 가격 하락이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범용 D램 제품 중에서도 수익성이 높은 1Gb D램의 생산 비중을 늘리는 등 프리미엄 제품 생산을 계속 늘려나갈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1Gb 제품의 68나노 공정 수율이 안정화되면서 생산이 증가하고 있어 수익성이 계속 높아지고 있으며, 낸드의 경우에도 16Gb 등 고용량 제품의 생산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banana@yna.co.kr

(계속)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