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백악관 "핵협력 확신" 성명..CIA 의회브리핑

의회, 북핵협상 부정기류속 6자회담 지속론



(워싱턴=연합뉴스) 고승일 특파원 = 미국 행정부가 24일 북한과 시리아간의 핵협력 의혹을 기정사실화하고 나섬에 따라 `싱가포르 합의'를 계기로 타결 기미를 보이는 듯했던 북핵협상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 정보당국이 상하 양원에 북한-시리아 커넥션을 브리핑한 후 북핵 협상을 둘러싼 의회내 기류가 부정적으로 흐르고 있어, 행정부는 북핵프로그램 신고협상과 관련해 의회동의를 받아내기 힘든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백악관은 데이너 페리노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내고 "우리는 다양한 정보를 토대로 북한이 시리아의 비밀스런 핵활동에 협력한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성명은 "우리는 지난해 9월 6일 회복할 수 없을 정도로 손상된 (시리아의) 원자로가 평화적 목적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고 믿고 있다"면서 "우리는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과 확산활동에 대해 오랫동안 심각히 우려해 왔는데 북한과 시리아가 비밀 핵협력을 해 온 것은 그런 활동이 위험한 형태로 드러난 것"이라고 지적했다.

성명은 "우리가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해 선택했던 방법 중 하나는 6자회담이라는 틀이었다"면서 "우리는 (북한의) 이런 행동과 기타 핵활동이 종식될 수 있도록 6자회담에서 엄격한 검증 메커니즘을 세우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마이클 헤이든 중앙정보국(CIA) 국장은 이날 상하원 정보, 군사, 외교위 소속 의원들을 상대로 북-시리아 핵협력 의혹에 대해 비공개 개별 브리핑을 실시했다.

워싱턴 포스트와 CNN 등 미국의 주요 언론들은 지난해 9월 이스라엘 공습으로 인해 파괴되기 전의 시리아 핵시설 내부를 담은 비디오 테이프가 정보당국의 브리핑 내용에 포함됐다고 전했다.

특히 비디오 테이프에 담긴 시리아 원자로는 북한의 영변 원자로와 유사한 모습을 하고 있으며, 북한인의 모습도 등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이마드 무스타파 주미 시리아 대사는 "이건 공상(fantasy)이다. 미국 행정부는 남의 나라 (이라크) 대량살상무기(WMD)에 대해 조작된 얘기를 만들어낸 기록이 있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런 가운데 하원 정보위원회 공화당측 간사인 피트 호에크스트라 의원은 브리핑을 받은 후 "이스라엘의 시리아 의혹 시설에 대한 폭격이 지난해 9월 6일 이뤄졌음에도 불구하고 부시 행정부가 관련 정보를 의회에 보고하지 않는 바람에 북핵협상에 대한 지지를 받기가 대단히 어려워졌다"고 주장했다.

호에크스트라 의원은 "부시 행정부는 의회와의 관계를 정말로 손상시켰기 때문에 혹시 6자회담에 대한 모종의 합의에 이르렀다 해도 의회를 거쳐 승인을 얻어내는걸 아주 어렵게 만들었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나 하워드 버먼 하원 외교위원장은 성명을 내고 "북한과 시리아 핵협력은 (우리를) 불안하게 만드는 일이지만 그것이 북한과의 대화를 미뤄야 하는 이유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며 "오히려 이는 북한이 핵무기 생산과 핵프로그램을 영원히 중단하도록 검증가능한 메커니즘을 주장하는 게 왜 중요한지를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버먼 위원장은 "최근 1년여간 미 행정부는 6자회담을 통해 한반도를 비핵화하려는 단계를 밟아왔으며, 우리는 계속해서 이 길로 나아가야 하고 북한이 여기서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6자회담 지속론을 강조했다.

ksi@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