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국지원에 제한 있어...필요한 도움 협의착수"
(워싱턴=연합뉴스) 김병수 특파원 = 미국 정부는 지난 주 이명박 대통령과 조지 부시 대통령이 합의한 한미전략동맹을 구체화하기 위해 미국이 가장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무엇인지 한국 정부와 협의에 착수할 것이라고 미 국무부 고위관리가 23일 밝혔다.
알렉산더 알비주 국무부 동아태 담당 부차관보는 이날 미 하원 외교위원회 산하 아태환경소위가 마련한 한미동맹관련 청문회에 출석, "북한의 침공억제라는 한미동맹의 핵심임무는 여전히 한미동맹의 주요한 우선순위로 남아 있겠지만 우리(미국)는 지역적.전세계적 도전들에 대처하기 위해 한국과 협력을 계속 강화해 나가야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동안 한국이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레바논 등에서 미국의 활동을 지원한 점을 열거해 설명하고 한국 국회가 평화유지활동에 더 많이 참여하도록 하기 위한 입법을 고려하고 있음을 소개한 뒤 "우리(미국과 한국)는 핵확산방지, 전염병, 대(對)테러, 기후변화, 민주주의 증진 등 전세계적.초국가적 차원에서 협력을 계속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알비주 부차관보는 지난 주 캠프데이비드 한미정상회담에서 합의한 한미전략동맹 개념에 대해 "한국의 군사적 능력과 신장된 경제력에 비춰볼 때 전 세계적으로 많은 문제들이 있기 때문에 한국은 이제 미국과 더 많은 분야에서 전략적 동반자관계에 들어가기를 바란다"면서 "(지금까지의 동맹관계보다) 분야가 확대되고 진전된 동맹의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일각에서 거론되는 한국의 아프가니스탄 재파병 가능성과 관련, "얼마나 많은 나라와 장소에서 한국이 미국에 지원을 해 줄 수 있을 지에 대해선 제한이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면서 "진정한 동료이자 동맹으로서 우리는 한국과 필요한 도움에 대해 긴밀한 협의에 착수할 것"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알비주 부차관보는 또 논란이 되고 있는 북핵 신고 및 검증문제와 관련, 플루토늄 핵프로그램만 검증의 대상이 아니냐는 의원들의 질의에 "전체가 검증대상"이라며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압박해 나갈 때 "매우 조심스럽고, 의구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bingsoo@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