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강원 기자 = 안전사고 사망자수를 절반 수준으로 줄이기 위해 각 부처에 산재된 안전사고 관련 각종 자문위원회를 행정안전부 산하 `국가안전정책자문회의'로 통합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행안부는 23일 "해마다 3만여명에 달하는 안전사고 사망자수를 절반 수준인 1만5천여명으로 낮추기 위해 `안전사고 예방 종합대책'을 마련해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행안부는 각 중앙행정기관의 안전사고 관련 자문위원회를 통폐합해 범정부 차원의 국가안전정책자문회의(가칭)를 행안부내에 설치하고, 행안부의 안전관리 업무 총괄.조정 기능을 강화하며, 국민 안전의식 제고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나서기로 했다.
특히 올해를 `안전선진화 원년의 해'로 선포하고,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이 실용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전사고 관련 법제를 통폐합 또는 정비하기로 했다.
또 최근 잦게 일어나고 있는 어린이 유괴.실종, 노인.장애인 등 취약계층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올해 상반기내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100대 과제'를 선정, 범정부 차원의 중점과제로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지역별로 일일 보행자수 등을 조사한 뒤 차량의 운행속도를 제한하거나 특정시간대에는 아예 진입을 통제하는 `보행자 몰'을 빠르면 내년부터 설치할 방침이다. 이 경우 인사동 등 일부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차없는 거리'가 보행자 몰로 지정될 것으로 보인다.
행안부에 따르면 안전사고 사망자는 2002년 2만8천834명, 2003년 3만1천558명, 2004년 3만567명, 2005년 3만957명, 2006년 2만9천615명 등으로 매년 전체 사망자의 12% 수준에 달하고 있다.
이 가운데 교통사고 사망자는 2002년 7천222명, 2003년 7천212명, 2004년 6천563명, 2005년 6천376명, 2006년 6천327명이며, 보행자 교통사고 사망자는 2002년 3천108명, 2003년 2천896명, 2004년 2천581명, 2005년 2천548명, 2006년 2천442명이다.
gija007@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