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라델피아=연합뉴스) 이기창 특파원 = 사상 최초의 여성 미국 대통령에 도전하는 힐러리 클린턴 상원의원은 펜실베이니아 경선에서도 쉽게 물러서지 않았다.
'검은 돌풍'의 주역 버락 오바마에게 밀려 거의 벼랑 끝까지 몰렸던 뉴햄프셔와 오하이오에서 천금 같은 승리를 연출하며 기사회생했던 힐러리는 '지면 끝장'이었을 펜실베이니아에서도 또다시 승리를 일궈내며 첫 여성 대통령을 향한 희망의 불씨를 지켜냈다.
그러나 펜실베이니아 경선 승리에도 불구하고 오바마 쪽으로 기운 민주당 후보 경선의 대세는 아직 그대로다.
힐러리로선 경선 종반 승부처인 펜실베이니아에서 압승해야만 역전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지만 근소한 차이의 승리에 그침에 따라 당내 사퇴압박과 자금난을 이겨내며 경선 레이스를 펼쳐야 하는 어려운 처지가 계속될 전망이다.
민주당으로서도 존 매케인 상원의원을 일찌감치 후보로 확정한 공화당에 비해 당내 경선에 필요 이상의 에너지와 자금을 투입하는 소모전 끝에 11월 본선을 치러야 하는 부담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 힐러리 재기, 그러나 불안한 승리 = 펜실베이니아 경선은 힐러리가 반드시 이겨야 하는 승부였다.
대의원 수에서 오바마에게 이미 100명 이상 뒤진 상태에서 158명의 대의원이 걸린 펜실베이니아에서 진다면 추격의 희망은 사실상 사라질 판이었다.
게다가 펜실베이니아는 인구 구조상 힐러리의 전형적인 지지기반이 밀집된 지역이다. 백인 중산층과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미국 내 다른 어떤 지역보다도 높은 곳이다. 이런 곳에서 진다면 힐러리의 정통 지지기반 마저 오바마에게 잠식당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향후 경선은 해보나 마나 오바마 우세로 끝날게 뻔했다.
그러나 힐러리는 펜실베이니아에서 이겼다. 캘리포니아와 뉴욕, 텍사스, 플로리다, 오하이오, 미시간 등 '승자 독식' 방식인 11월 본선에서 중요한 대형 주들에서 이긴데 이어 펜실베이니아에서 승리함으로써 오바마보다 본선경쟁력이 앞선다는 주장의 근거를 확고히 했다. 자신의 본선 경쟁력을 내세워 슈퍼 대의원들을 집중 설득하며 최후의 대역전을 노릴 발판을 마련한 셈이다.
문제는 펜실베이니아 승리의 격차가 그리 크지 않다는 것이다.
힐러리는 지지 대의원 수에서 오바마에게 이미 100명 이상 뒤져 있다. 앞으로 남은 9개 지역 경선을 다 이긴다 해도 열세인 대의원 수를 뒤집는 것은 불가능하다. 남은 경선도 오바마가 유리한 곳이 많기 때문에 펜실베이니아에서 압승해 대의원 격차를 줄여야 했지만 그러지 못했다.
게다가 펜실베이니아는 원래 힐러리가 20% 이상 오바마를 앞섰던 곳이다. 적어도 두 자리 수 이상의 승리를 거뒀어야 추격의 동력을 마련할 수 있었지만, 결과는 한 자리 수 승리인 것으로 관측된다. 힐러리로선 불안한 승리이고, 선전한 것은 오바마라는 분석도 그래서 나온다.
lkc@yna.co.kr
(계속)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