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내부갈등 증폭..구조개혁 후퇴 전망
(부산=연합뉴스) 이종민 기자 = 부산지검은 동아대 박물관이 문화재 발굴 용역비를 유용했다는 감사원의 감사결과와 관련, 불법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내사에 착수했다.
부산지검 고위 관계자는 "감사원에 동아대와 관련된 감사결과 자료를 요청했다"며 "수사에 본격 착수하면 문화재 조사용역비가 당시 박물관장의 개인용도로 사용됐는지를 집중 조사하게 될 것"이라고 23일 밝혔다.
검찰의 자료검토 결과 명백한 불법행위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될 경우 박물관 실무직원들을 상대로 한 조사에 이어 당시 관장이었던 현 심모(65) 총장의 소환조사도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감사원에 따르면 동아대 박물관은 2001년 3월부터 지난해 5월까지 문화재 조사 용역 57건을 수행하면서 15건에 대해 인건비 과다계상 등의 방법으로 허위정산서를 작성해 32억5천만원의 순수익금을 조성하고, 이 가운데 8억여원을 박물관 직원 상여금과 성과급 지출 등에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심 총장은 특히 박물관 수입.지출 담당자 개인 명의의 통장 등에서 관리하던 수익금 중 14억여원을 개인적으로 유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동아대 측은 개인적으로 유용했다는 14억원에 대해 "후학양성과 후학취업을 위한 공익재단 건립비용으로 사용됐고, 사용처 불명으로 거론되고 있는 5억원 가운데 2억원은 학교발전기금으로, 3억원은 현금으로 통장에 보관돼 있다"고 해명했다.
한편 동아대 교수협의회는 24일 교수 대표로 구성된 평의회를 열어 이번 사태에 대한 입장을 정리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이번 박물관 비리 사태로 지난해 2월 취임한 심 총장 체제의 동아대는 심각한 내부갈등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심 총장은 취임직후 대학개혁을 위해 삼성경제연구소에 경영진단을 의뢰, 최종보고서가 나오는 대로 교수퇴출, 학제개편 등을 포함한 고강도 구조조정과 경영혁신에 착수키로 했으나 일부 교직원들의 반대에 부딪혀 상당한 어려움을 겪어왔다.
ljm703@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