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한.민 "쇄신의지 평가" 민노.진보 "눈가림"



(서울=연합뉴스) 노효동 김남권 기자 =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퇴진과 전략기획실 해체를 골자로 한 삼성그룹의 22일 경영쇄신안을 놓고 정치권은 엇갈리게 반응했다.

한나라당과 통합민주당 등 주요 정당은 삼성이 실질적인 자기쇄신을 통해 명실상부한 세계 초일류기업으로 변모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는데 방점을 둔 반면, 진보정파들을 중심으로 한 군소정당들은 "일시적 눈가림"이라고 폄하하며 경영권 세습을 보다 근원적으로 차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나라당 조윤선 대변인은 구두논평을 통해 "삼성이 투명경영과 윤리경영을 통해 국민적 신뢰를 회복해야만 한다"며 "세계 초일류기업의 위상에 걸맞게 더 큰 변화와 혁신으로 국민과 국가경제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민주당 차영 대변인은 구두논평에서 "만시지탄이지만 경영쇄신 의지를 확인한다"며 "경영권 승계나 불법 로비의혹에 대한 국민적 의구심이 여전히 남은 만큼 진정성 있고 실질적인 자기쇄신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적 지탄을 일시 모면하기 위한 임시방편이 돼서는 안되며 투명경영과 윤리경영을 실천하는 실질적인 경영쇄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유선진당 김창수 대변인은 논평에서 "자칫 삼성에 쏠린 국민의 따가운 눈총을 벗어나기 위한 일시적 기피수단이거나 이미 기소된 삼성 가족들의 면피용 제스처가 아닌가 하는 의혹을 떨칠 수 없다"며 "삼성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제왕적 지배구조와 재벌 2, 3세의 승계방식을 탈피하고 글로벌 스탠더드에 적합한 근본적인 전환이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민주노동당 박승흡 대변인은 논평에서 "경영권의 직접적 세습을 과도적 세습으로 바꾼 것 외에는 달라진 것이 없다"며 "이번 쇄신안에는 암암리에 황제식 경영권 세습을 이어나가겠다는 의지가 엿보인다"고 비판했다. 또 "경영능력에 한계를 보였으며 지분도 없는 이재용 전무가 불법적 경영승계를 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는 게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진보신당 노회찬 공동상임대표는 서면브리핑에서 "이번 쇄신안은 일시적 눈가림"이라며 "이재용 전무는 백의종군(白衣從軍)이 아니라 백의퇴군(白衣退軍)해야 하며 삼성 비자금 사태의 재발을 막는 길은 삼성재벌 해체뿐"이라고 주장했다. 심상정 공동대표는 "이건희 회장은 아들에게 경영권을 세습시키려는 야심을 버리고 소유와 경영을 분리해 삼성을 국민기업으로 거듭나도록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창조한국당 김지혜 부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진정한 경영쇄신안이라고는 볼 수 없다"면서 "그러나 이번 쇄신안으로 그동안의 그릇된 재벌문화가 성숙한 공동체 문화로 거듭나고 우리사회의 성숙도를 보여주는 건강한 첫걸음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rhd@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