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서울=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 통합민주당과 자유선진당, 민주노동당 등은 22일 미국산 쇠고기 전면 개방과 관련, 대정부 공조전선을 구축해 적극 대처키로 하는 등 야권의 반발이 확산하고 있다.

이는 미국 의회의 비준동의안 처리가 불확실한 데도 사실상 한미 FTA(자유무역협정)의 선결조건으로 쇠고기 시장의 문을 활짝 열어젖히는 등 정부의 협상전략 부재와 광우병 우려에 대한 지적이 여론의 동조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김효석 원내대표는 "한나라당이 소극적일 경우 다른 야당과 연대해서라도 국회 청문회를 열겠다"며 "정부가 발표한 대책은 근본대책이 전혀 없는 재탕, 삼탕에 불과하다. 한나라당도 민생에 적극 대처한다는 차원에서 청문회 개최에 호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재성 원내 대변인은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가 "지금은 청문회를 할 때가 아니다"고 말한 데 대해 "졸속협상으로 온 나라가 들끓고 있는 데 이해가 안된다. 언제 하자는 얘기냐"고 맞받아쳤다.

최인기 정책위의장도 기자회견에서 "이번 협상은 광우병 발생시 조사기간에도 판매가 가능토록 한 굴욕적인 것으로, 소문난 잔칫상에 `광우병 쇠고기'만 놓인 셈"이라며 협상의 전면 백지화를 요구했다.

그는 "한미 FTA 비준동의는 정부 국내 피해대책 상황과 미 의회 동향을 고려해 전략적으로 선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민주당 지도부는 이날 전국한우협회, 전국농민회총연맹 등 축산업계와 농민단체 대표들을 만나 이번 협상 결과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고, 손학규 대표도 가락시장 도축장을 방문해 현장 파악에 나섰다.

자유선진당 박선영 대변인은 "재협상을 위한 청문회를 할 수 있다"고 했고, 같은 당 류근찬 정책위의장은 한 발짝 더 나아가 "졸속협상에 대한 국정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주노동당 박승흡 대변인은 "진상을 국민에게 알리기 위한 청문회는 물론 국민 건강권을 지키기 위해 야당 공조가 필수"라고 말했고, 창조한국당 김석수 대변인은 "공조 요구가 오면 검토하겠다"고 했다.

원외이긴 하지만 진보신당도 "청문회에는 참가할 순 없지만 협조할 것은 하겠다"며 협상 무효를 위한 대국민 서명운동과 미국산 쇠고기 불매운동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이명박 대통령의 전날 "값싸고 좋은 고기를 먹는 것", "마음에 안 들면 적게 사면 되는 것"이란 일련의 `쇠고기 발언'에 대한 성토도 이어졌다.

민주당 최재성 원내대변인은 "미국사람 같은 생뚱맞은 얘기로 이번 협상이 미치는 파장을 너무 가볍게 보고 있다"고 비판했고, 선진당은 "이 대통령의 얄팍한 경제논리와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지 않는 천박한 인식을 개탄한다"며 사과를 요구했다.

행정부 견제를 위한 통상절차법 제정에 대한 공감도 형성되는 분위기다.

민주당 최인기 정책위의장은 "정부가 다시는 밀실 굴욕 협상을 하지 않도록 4월 임시국회에서 통상절차법 제정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했고, 이회창 선진당 총재도 전날 안성 축산농가를 방문한 자리에서 "정부가 국민의 건강권과 재산권을 침해하는 대외협상을 할 경우 국회에서 사전에 충분한 논의를 거치도록 법적.제도적 장치를 18대 국회에서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honeybee@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