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류지복 안용수 기자 = 여야가 25일부터 시작되는 4월 임시국회 성원을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다.
총선과 차기 국회 개원 사이의 정치 `휴지기'에 소집되는 사상 초유의 임시국회라는 점 때문에 낙천자나 낙선자들이 대거 불참할 경우 어느 때보다 낮은 출석률을 기록해 여론의 질타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통합민주당은 대선과 총선을 통해 81석의 야당으로 전락하긴 했지만 17대 국회가 만료되기 전까지는 여전히 제1당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만큼 책임을 회피할 수는 없다. 한나라당 역시 여당으로서 안정적 국정운영을 뒷받침하려면 4월 임시국회에서부터 국정을 주도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하는 절박함을 느끼고 있는 상황.
양당은 겉으로는 출석률이 낮아 법안 심의나 처리에 어려운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또 4.9 총선 공천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현역의원 낙천자가 적어 내상(內傷)이 덜한 민주당이 비교적 여유있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민주당 최재성 원내 공보부대표는 "우리는 젊은 의원들이 많아 떨어지고도 마지막까지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하는 의원들이 꽤 있다"며 "한나라당에 비해 자발적으로 출석하겠다는 분들이 더 많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나라당 김정훈 원내공보부대표는 "낙선자가 많아 임시국회 성원이 쉽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러나 국회의원으로서 부여 받은 임무를 최후까지 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이번이 마지막이 아니기 때문에 모두 참석해 유종의 미를 거둘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내부 사정은 녹록치 않다. 양당은 출석률을 채우기 위해 원내대표를 비롯한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낙천.낙선자들의 임시국회 참여를 독려하고 있는 형편이다.
실제로 민주당은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 개최하던 원내 대책회의도 성원을 채우기가 쉽지 않아 총선 이후에는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 22일 예정됐던 원내 대책회의도 축산업계 간담회로 대체됐다. 민주당은 당대표와 원내대표가 나서 낙선자 모임을 갖고 국회 출석을 독려하는 방안도 검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 관계자는 "당에서 연락하면 딱 잘라서 못나오겠다고 하는 낙선자들은 없지만 전체적으로 흔쾌히 나오겠다는 반응이 아니라 약간 머뭇거리는 분위기"라며 "의원은 물론 보좌관에게도 일일이 전화를 걸어서 출석을 요청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도 안상수 원내대표 등 지도부가 앞장서서 낙천.낙선한 현역 의원들을 대상으로 일일이 전화를 걸어 국회 의사일정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특히 한나라당은 당장 한미 FTA(자유무역협정)를 이번 임시국회에서 통과시키기 위해 통외통위 청문회 등 절차를 밟아야 하지만 성원조차 안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법안 통과를 위한 성원이 안될 경우 사보임을 통해 부족한 의결 정족수를 채워나갈 계획까지 세워놓고 있지만 법안 통과를 위한 국회 본회의 의결 정족수를 채우기 위해서는 뾰족한 방안이 없어 애를 태우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다음달 23일까지 예정된 4월 임시국회가 약식으로 진행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로 여야는 임시국회가 열리면 통상 모든 정당 대표가 하던 대표연설을 비교섭단체는 빼고 교섭단체 대표로만 한정했고, 사흘간 실시되던 대정부질문도 이틀로 줄이기로 합의했다.
상임위도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해당 위원회에 계류돼 있던 법안을 전반적으로 다뤘지만 이번에는 여야가 설정한 40여개 법안에 대해서만 상임위별로 집중 심사를 벌인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하지만 한나라당이 한미 FTA 국회 비준안이나 대기업 규제완화 법안에 신경을 쏟고 있는 반면, 민주당은 등록금 상한제나 유류세 추가 인하, 중소기업 보호 등 초점을 달리하고 있어 얼마나 성과있는 상임위 운영이 이뤄질지도 회의적 시각이 적지 않다.
한 정당 관계자는 "상임위 간사간 `낙선자들이 모여 공방을 하느니 차라리 열지 말자'는 합의가 이뤄지면 상임위 자체가 불발될 가능성이 있다"며 "경우에 따라 직권상정을 통해 법안을 처리하거나 본회의 직전 상임위를 열어 법안을 통과시키는 형태도 나오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jbryoo@yna.co.kr
aayyss@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