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조준형 기자 =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의 전산장비가 해킹으로 의심되는 컴퓨터 바이러스 공격을 받아 일부 국가자료가 외부로 유출된 사건은 공공기관도 해킹 피해의 `안전지대'가 아님을 보여줬다.
조사 결과 참여정부 말기인 지난 2월 중순께 NSC 직원의 부주의로 웜 바이러스를 통해 일부 자료가 유출된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공공기관의 해킹 피해는 국민 생활의 불편을 가중시키는데 그치지 않고 국가 안보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통계적으로도 공공기관의 사이버 피해 사례는 확연한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정보원이 최근 발간한 `2008 국가 정보보호백서'에 따르면 작년 국내 공공기관에서 발생한 사이버 침해사고는 총 7천588건으로 2006년의 4천286건에 비해 약 77%나 늘어났다. 민간 부문의 해킹사고가 작년 2만1천732건으로 2006년(2만6천808건)에 비해 약 19% 감소한 것과 대조를 이룬 것이다.
공공 기관 중에서는 특히 지자체와 교육기관의 피해 사례가 눈에 띄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지자체에서 발생한 사이버 침해 사고 건수는 총 3천827건으로 2006년(1천470건)의 2.6배에 달했고, 교육기관들의 경우 2006년 1천464건에서 작년 2천148건으로 약 50% 증가했다.
작년 공공기관 사이버 침해사고의 유형별로는 이번 NSC건과 같은 웜바이러스 피해가 가장 많은 6천194건이었고 경유지 악용 767건, 홈페이지 변조 379건, 자료훼손 및 유출 176건 등으로 파악됐다.
국정원은 이 처럼 공공기관의 사이버 침해 사고가 증가한 배경에 대해 해외발(發) 해킹 등 날로 지능화되는 사이버공격의 진화 속도를 사이버보안이 따라가지 못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국정원은 "범국가적 차원에서 사이버안전에 대한 일원화된 관리 체계를 만들고 개개인이 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을 공고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jhcho@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