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하채림 기자 =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AI) 살처분 작업에 투입됐다가 고열 등으로 AI의심환자로 분류돼 격리 치료 중인 사병은 AI바이러스에 노출되긴 했지만, 질병은 발생하지 않은 이른바 `불현성 감염(不顯性感染)'일 가능성이 있다는 추정이 나왔다.

22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보건당국이 이 환자의 가검물에서 분리한 바이러스 항원의 일부를 수십만배로 증폭하는 1차 유전자증폭검사(PCR)를 실시한 결과, 대유행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 중에서도 고병원성으로 분류되는 `H5형'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이는 이 사병의 몸에 AI바이러스가 침투하긴 했지만 큰 해를 끼치지 않고 물러났을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 환자를 살펴본 한 AI전문가는 "AI바이러스가 환자에게 들어간 것 같기는 하다"고 말했다.

이 환자가 호흡기 증상과 고열 등의 증세를 보인 것과 관련, 삼성의료원 건강의학센터 박승철 교수는 " AI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것이라기 보다는 이와는 별개로 세균성 폐렴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AI바이러스가 산발적으로 사람 몸에 들어올 수는 있지만, 병을 일으키는 경우는 드물다"고 덧붙였다.

현재 이 환자는 항생제 치료를 받은 뒤 열이 떨어지는 등 정상생활을 할 수 있을 정도로 호전됐다.

실제로 이 환자는 살처분 현장에 동원되기 전에 감기 증상을 보였던 것으로 알려져 단순 세균성 폐렴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환자가 실제 AI바이러스에 감염되었는지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정하기 위해서는 이 환자의 몸에서 나온 AI바이러스를 실험실에서 배양해 이번에 유행하는 고병원성 AI바이러스인 `H5N1형'인지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 환자의 AI인체감염 여부를 최종 확정하기까지는 2-3주 정도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질병관리본부는 이 환자가 AI발생농장에서 살처분 작업에 참여했고, 고열과 근육통, 인후통 등의 임상증세를 보이고 있는 점을 근거로 세계보건기구(WHO) 분류기준에 따라 이 환자를 AI의심환자로 분류해 추적 관찰하고 있다.

shg@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