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희 "보강 필요"..홍준표 "교체주장은 소권력투쟁"
(서울=연합뉴스) 이승관 이승우 기자 = 해외순방을 마친 이명박 대통령의 귀국을 계기로 청와대 정무라인의 교체 또는 정무기능의 보강 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한나라당 소장파 일각에서 제기된 청와대 정무팀의 전면적인 개편 주장을 계기로 청와대 정무기능 강화 방법론을 둘러싼 논란에는 여권내 파워게임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고, "소권력투쟁"이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어 이 문제는 새 국면으로 접어드는 양상이다.
남경필 의원 등 일부 의원은 22일 당선자 워크숍에서 청와대 정무기능의 문제점을 공론화할 태세이고, 24일로 예정된 청와대 수석.비서관급 등 새 정부 고위직 인사들의 재산 공개를 계기로 청와대 쇄신론이 분출할 것이라는 관측도 당내에서는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두언, 남경필 의원 등 당내 소장파의 문제제기에 이어 이 대통령의 당선인 비서실장을 지낸 임태희 의원은 이날 "청와대 정무수석이나 대통령실장 선에서 제대로 다뤄지지 않고 있는 부분들을 보완할 수 있는 라인에 대한 보강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임 의원은 SBS라디오 `백지연의 전망대'에 출연, "특임장관이든 정치특보든, 대통령의 정치 메시지를 전할 수 있는 창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임장관 후보로도 거론되는 그는 자신의 역할에 대해 "이름이 거론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떤 역할을 할 지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박근혜 전 대표측과의 관계에 대해 "충분히 소통이 잘 되지 않고 있다는 생각"이라면서 "소통이 안 되는 이유는 현재의 상황 인식이 좀 다르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한나라당이 지향해야 할 목표가 뭔가 하는 공감대가 형성이 되면 이 문제에 대한 해법이 나올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임 의원은 이재오 전 최고위원의 특임장관 기용 가능성에 대해 일각에서 갈등 증폭의 우려가 나온다는 지적에 "소통과 당내 화합이 필요한 인사라면 당내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그는 또 청와대 정무라인이 이상득 국회부의장과 가깝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나는 그런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현실적으로 특정인에 가까운 분들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그는 청와대 정무1비서관 등이 이 부의장의 보좌관 출신이지 않느냐는 질문에도 "지금의 `소통의 문제'는 실무선 차원이 아니다"고 거듭 말했다.
한편 4선 도전에 성공한 홍준표 의원은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 청와대 정무라인 교체 주장과 관련, "기능을 보완하면 될 것을 교체하자고 덤비는 것은 속 좁은 생각이고 작은 권력투쟁을 보는 것 같아 안쓰럽다"면서 "소권력 투쟁으로 보여진다"고 비판했다.
그는 "국회의원이 마치 권력투쟁을 하는 듯이 보이는 것은 옳지 않다"면서 "국회의원이 정무 실무자들을 끌어내리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대통령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나 DJ(김대중)처럼 정치가 출신이 아니다"면서 "그래서 보완으로 정치특보가..(거론되는 것 같다)"라면서 "정치 경험이 풍부한 사람을 발탁하는 게 좋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
서울시당위원장인 공성진 의원은 CBS 라디오 `뉴스레이다'에 출연, 청와대 정무라인 개편 논란에 대해 "당장 갈아야 한다는 얘기보다는 정무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곳이 있기 때문에 보강하면 된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처럼 청와대 정무라인의 전면 개편 여부를 놓고는 의견차가 있지만, 정무라인 보강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체로 공감대가 형성되는 가운데 24일의 청와대 수석.비서관 재산공개가 여권내 분위기를 좌우하는 고비가 될 것이라는 예상도 당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수석들의 재산 문제가 나오면 교체가 불가피하지 않겠느냐"고 내다보면서 일부 수석의 농지법 위반 등 재산 관련 문제점을 거론하기도 했다.
새 정부 출범 초기 내각인선을 둘러싸고 빚어졌던 `강부자'(강남 땅부자) 파동이 재연될 경우 정무라인을 포함한 청와대 비서실 개편까지도 검토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들은 극히 말을 아끼면서도 청와대 수석들의 재산공개를 앞두고 당내에서 각종 설(說)을 근거로 이런 얘기들이 나오는 것 자체가 "청와대 흔들기"라는 반응을 보였다.
한 관계자는 "인사에서 한 두개 문제가 됐다고 해서 이런 식으로 청와대를 흔드는 것은 문제다. 뭔가 정치적 의도가 있다고 밖에 볼 수 없다"고 일축했다.
humane@yna.co.kr
leslie@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