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서울=연합뉴스) 황정욱 기자 = 지난 `4.9 총선'에 출마했다 낙선한 후보들을 일정 기간 각종 공직 등에서 배제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22일 "총선에 출마했다가 국민의 선택을 받지 못해 낙선한 후보들을 당장 공직에 임명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면서 "이들에 대해 당분간 공직을 주지 않도록 하는 원칙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 측이 검토하고 있는 낙선자의 공직 임용 배제 기간은 6개월 정도다.

이명박 대통령도 최근 "정치 도의와 국민 정서를 감안할 때 국민 선택을 받지 못한 후보들을 공직에 임명하는 것은 어렵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청와대와 정부, 공기업 인사에서 낙선자들은 아예 검토대상에서 배제될 수 밖에 없게 되나 한나라당내 일각과 낙선자들이 반발할 경우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특히 총선 이후 여권 내에서 확산되고 있는 정무 라인 보강론도 기존의 한정된 인재 풀을 감안할 때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청와대는 지난 총선에서 한나라당의 필요에 의해 전략 공천했거나 당선 가능성이 떨어지는 호남.충청권 후보들에 대해선 이 원칙을 탄력적으로 운용한다는 방침이어서, 형평성 논란이 제기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청와대 관계자는 "당의 필요에 의해 반 강제적으로 출마한 후보의 경우 이 원칙을 적용하는 것이 어렵지 않겠느냐"면서 "낙선자라고 하더라도 일률적인 잣대를 들이대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hjw@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