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처분 투입 특공대원 200명 '고위험집단' 분류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군당국은 21일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한 전북 순창지역의 살처분을 지원했던 조모(22) 상병이 고열증상을 보임에 따라 촉각을 세우고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군당국에 따르면 지난 18~19일 순창지역에서 AI에 걸린 닭과 오리에 대한 살처분 작업을 지원했던 특공여단 소속 조 상병은 작업을 마치고 부대로 복귀한 후 20일부터 고열증상을 보여 국군수도병원으로 후송 치료 중이다.
수도병원 측은 현재 조 상병을 격리 병동에 입원시켜 항바이러스제(타미플루)와 항생제를 투여하고 있다. 입원 당시 조 상병의 체온은 39.8도까지 올랐지만 현재는 정상체온으로 떨어졌다고 군당국은 설명했다.
수도병원 의료진도 타미플루를 복용하고 진료하는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조 상병은 1, 2차 검사에서 AI 의심 증세를 나타냈으나 감염 여부는 3주 후 혈청검사와 바이러스 배양 검사 등으로 최종 확증할 예정이라고 군당국은 밝혔다.
군은 조 상병과 함께 순창지역의 살처분 지원 작업에 투입된 특공대원 200명을 '고위험집단'으로 분류하고 발열 여부를 계속 검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군 관계자는 "살처분 작업을 마친 장병은 향후 10일간 군의관으로부터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을 것"이라며 "현재 살처분에 투입된 3개 부대 가운데 조 상병을 제외하곤 고열증상을 보이는 장병은 없다"고 강조했다.
군당국은 전라북도의 요청에 의해 22일 김제지역에 마지막으로 200명을 투입, 살처분 지원에 나설 계획이었으나 투입 여부는 좀 더 지켜본 뒤 결정하기로 했다.
지난 17일부터 21일까지 전북지역에서 살처분에 나선 병력은 연인원 1천756명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threek@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