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당비 등 본격 수사하면 정치 파장 클 듯
(서울=연합뉴스) 강의영 기자 = 4.9총선 직후부터 비례대표 당선자 등에 대해 일었던 각종 의혹과 관련해 수사당국이 속속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등 수사가 예상보다 발빠르게 전개되고 있다.
검찰이 21일 정국교 통합민주당 당선자에 대해 허위 정보를 유포해 주가를 조작한 뒤 400여억원대 부당 이득을 챙긴 혐의(증권거래법 위반) 등으로 사전 구속영장을 청구함에 따라 수사 당국이 형사처벌에 나선 18대 국회의원 당선자는 이한정 창조한국당 비례대표 당선자와 김일윤 친박연대 경북 경주 지역구 당선자 등 모두 3명이 됐다.
이들이 소속된 당은 즉각 제명 처리하는 등 `꼬리자르기'에 나서고 있지만 이들 중 일부는 각 당 대표의 측근이라는 평가와 함께 공천 과정에서 납부한 특별당비가 `공천 헌금'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어 이 부분에 대한 수사가 본격화되면 정치적 파장이 어디까지 갈지는 미지수라는 게 검찰 안팎의 관측이다.
각종 의혹이 제기된 당선자 가운데 아직 검찰 조사를 받지 않은 대표적 인물은 양정례 친박연대 비례대표 당선자.
현재로선 검찰이 양 당선자와 그의 공천 과정에 깊숙이 관여한 모친 김모씨에게 소환 통보를 한 뒤 "검찰에서 적극 해명하라"고 촉구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검찰은 언론 접촉 등을 피해 은신한 것으로 알려진 이들에 대해 주말까지 자진 출두하지 않으면 강제로 신병을 확보해 수사하는 방안을 강구하겠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져 혐의에 대한 구체적인 정황을 포착한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정 당선자 입장에서는 검찰이 체포영장 청구 등에 나설 수도 있는 만큼 마냥 검찰 출두를 늦출 수 만은 없는 상황인 셈이다.
물론 검찰은 아직까지 양 당선자나 서청원 친박연대 대표 등에 대해서는 정치권과 언론에 의해 제기된 각종 의혹을 확인하는 수준의 `내사 단계'임을 강조하고 있다.
서 대표가 지구당 사무실로 사용했던 장소에 대해 압수수색을 벌인 뒤에도 검찰은 "양 당선자와 관련된 의혹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수사상 필요해 관련자(서 대표의 전 사무국장) 사무실과 자택을 압수수색했으며 이를 정치적으로 확대해석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설명했다.
반면 "이 사무실에 `별도의 간판 등이 없어' (서 대표 등을 포함해) 누가 언제 사용했는지는 몰랐다"는 검찰 해명은 언뜻 납득하기 어려운데다 서 대표의 전 사무국장 유모씨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검찰이 서 대표와 관련이 있어 압수수색을 나왔다고 했고 양 당선자는 전혀 모르는 사람으로 TV에서 처음 봤다"고 주장한 점을 감안하면 서 대표와의 연관성을 완전 배제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서 대표가 이날 "(특별당비로) 10억원, 15억원을 받았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는데 당비가 없어 차입해 쓴 것으로, 선관위로부터 보전받을 수 있는 돈"이라며 검찰이 소환하면 구체적 차입 규모 등을 소명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져 서 대표의 소환조사도 조만간 이뤄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돌고 있다.
검찰은 특히 총선 때 공천심사위원을 맡았던 김노식 비례대표(3번) 당선자를 22일 일단 `참고인' 자격으로 불러 전반적인 비례대표 공천 과정과 함께 본인의 특별당비 납부 경위나 액수 등도 조사할 예정이어서 검찰의 조심스런 설명과 행보에도 불구하고 수사 진도는 급진전되고 있는 양상이다.
검찰은 이와 관련해 김 당선자가 납부한 특별당비에 대해서도 압수수색 영장을 받아 확인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손학규 통합민주당 대표와 가까운 사이로 알려진 정 당선자도 1억원의 특별당비를 냈고 총선후보 등록 시점인 3월 하순께 당에 10억원을 빌려줬다가 같은 달 28일 돌려받은 점도 일부 논란이 되고 있어 민주당 측이 향후 수사 방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따라서 의혹이 일고 있는 당선자들을 구속해 신병을 확보한 뒤 정치권에서 `몸통 수사'로 여겨지고 있는 특별당비 등에 대해 검찰 수사가 본격화될 경우 그 파장이 정당의 위상에 치명적 상처를 입힐 수도 있다는 관측이 정치권을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다.
keykey@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