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류지복 안용수 기자 = 여야가 제18대 국회의 본격적인 원 구성 협상을 앞두고 기싸움을 벌이고 있다.
원 구성 협상 결과는 18대 국회 운영 과정에서 여야간 역학 구도를 가늠할 수 있는 중대 변수 중 하나라는 판단에 따라 상임위 조정 및 정수, 특히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를 놓고 치열한 수싸움을 전개하고 있다.
4.9 총선에서 과반 의석을 점한 한나라당은 주요 상임위원장에 자당 의원을 앉힘으로써 안정적 국정운영을 뒷받침하겠다는 입장인 반면 통합민주당은 한나라당 의석의 절반이 조금 넘는 81석을 차지하긴 했지만 `여당 견제론'을 내세워 한 치도 물러설 수 없다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
우선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가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 여야 모두 의석수에 따라 조율이 필요한 부분이라는 입장이지만 속내는 천양지차다.
한나라당은 원내 다수당이 모든 상임위원장직을 맡아야 한다는 기존 입장에서 한 발 물러섰지만 특위를 제외한 17개 상임위원장 자리 중에 8개 이상은 절대 내줄 수 없다는 완고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반면 민주당은 비교섭단체 배려라는 카드를 꺼내들고 일종의 `야권 공조'를 취할 태세다. 자유선진당이나 친박연대가 원내 교섭단체 구성요건인 20석에 미달하지만 10석 이상을 획득한 만큼 상임위원장을 주자는 주장을 통해 한나라당을 압박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는 비교섭단체에 대한 상임위 배분 문제에 대해 "전혀 고려 대상이 아니다"고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쟁점법안을 다룰 상임위원장직을 둘러싼 이견도 만만찮다.
법사위원장 자리가 대표적이다. 한나라당은 관례로 여당이 위원장을 맡아온데다 법사위가 각종 법안의 게이트키퍼 역할을 하는 만큼 원활한 국회 운영을 위해 여당이 맡아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민주당은 17대 국회 때 야당인 한나라당이 법사위원장을 맡았던 전례를 들어 이런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 태도다.
민주당은 또 한반도 대운하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건교위, 교육 관련 법안을 다루는 교육위의 위원장은 물론 언론정책과 밀접한 방통위와 금융정책을 다루는 금융위가 신설될 경우 이들 위원장 역시 자신이 맡아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한나라당은 불가론을 내세우고 있다.
한나라당 관계자는 "상임위 배분에 대한 문제는 원칙적으로 다음 원내대표단이 다룰 문제"라면서 "그러나 18대 국회의 원활한 출발을 위해 이르면 주중이나 주말께 야당과 논의를 시작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선명한 야당의 모습을 보이면서도 이명박 정부를 견제할 수 있는 방향으로 원 구성이 이뤄져야 한다"며 "한나라당도 야당을 대화와 협상의 파트너로 인정하는 자세로 협상에 임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jbryoo@yna.co.kr
aayyss@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