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중국정부, 올림픽 앞두고 보안강화 이유

6개 항로 이미 중단, 4개 항로도 곧 중단



(인천=연합뉴스) 강종구 기자 = 국제여객선을 이용해 중국에 입국할 때 배 안에서 처리해주던 비자발급업무가 인천∼중국 국제여객선 6개 항로에서 중단돼 승객들의 불편이 커질 전망이다.

21일 국제여객선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오는 8월 개최 예정인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보안 강화를 위해 3월 중순부터 항로별로 도착비자(선상비자) 발급을 중단, 이날 현재 인천∼중국간 10개 항로 중 6개 항로에서 도착비자 발급업무가 중단된 상태다.

현재 도착비자 발급이 가능한 항로는 톈진(天津), 옌타이(煙臺), 스다오(石島), 단둥(丹東) 등 4개 항로이지만 이들 항로 역시 중국 정부 방침에 따라 도착비자 발급이 곧 중단될 것으로 알려졌다.

대사관을 통해 비자를 발급받으려면 며칠씩 걸리지만 도착비자의 경우 국제여객선 승객 편의를 위해 중국 항만에서 중국 출입국 관련 공무원이 배에 올라 30일간 유효한 비자를 즉시 발급해 주는 시스템이어서 여객선 승객들은 사진과 소정의 비자발급비만 준비하면 비자 없이도 배를 타고 중국에 갈 수 있다.

이 때문에 비자를 미처 받지 못한 상태에서 급하게 중국에 가야 하는 기업인이나 여행객들은 항공기보다 여객선을 선호해 왔지만 도착비자 발급 중단으로 여객선 승객 이탈 현상이 심화할 전망이다.

국제여객선 승객 중 상당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보따리상들 역시 1년짜리 복수비자를 발급받아 인천과 중국을 오갔지만 중국 정부의 비자발급 기준 강화로 앞으로는 유효기간이 끝날 때마다 30일짜리 단수비자를 발급받아야 하는 상황이어서 상행위에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여객선사들은 2006년 8월 항공사들의 항공료 인하 조치 이후 승객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또 하나의 악재가 터졌다며 영업에 큰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여객선사 관계자는 "중국측은 하계올림픽에 이어 장애인올림픽까지 끝난 뒤인 오는 10월 이후에야 도착비자 발급을 재개한다는 입장"이라며 "여름방학이 연중 최고 성수기인데 비자발급 기준 강화로 승객 수가 크게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고 걱정했다.

inyon@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