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비유통주에 이어 거래세 인하…상장기업 증자제한도 유력



(상하이=연합뉴스) 진병태 특파원 = 중국이 본격적으로 증시부양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증권관리위원회는 21일부터 증시수급의 발목을 잡고 있던 '다샤오페이(大小非)'를 제한하는 대책을 발표했다.

'다샤오페이'는 상장기업이 안고 있는 비유통주 물량이다. 최대 3년인 보호예수 기간이 끝나면서 대소 비유통주 물량이 차례로 증시로 쏟아지고 있다.

증시 전문가들은 이번 대책이 일거에 수급상의 족쇄를 풀었다고는 할 수 없지만 증권당국의 부양의지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회복에는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주관하는 정치·경제 전문지인 '중국개혁'의 학술고문인 우젠둥(武建東)은 이날 동방조보에 "현재 증시 상황은 정부가 나서지 않으면 안될 상황에 처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비유통주 처분제한이 종합적인 증시부양대책의 스타트를 끊은 것으로 본다고 말하고 다음에는 '다페이(大非)' 이른바 대량의 비유통주에 대한 대책과 거래세 인하방안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 증시의 건강한 발전을 위해서는 일회성 대책으로 끝나서는 안되며 종합적인 방안이 수립돼야한다고 강조했다.

'다페이'에 대한 대책이 나온 뒤에는 '샤오페이(小非)'의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약화될 것으로 본다고 그는 말했다.

상장기업의 증자를 제한하는 상세 규정도 조만간 출현할 가능성이 크다. 상장기업의 증자는 올들어 비유통주 문제와 함께 증시 수급을 악화시키는 양대 악재였다.

거래세 인하는 시간문제로 보여진다.

중국중국은 지난해 5월 30일 거래세를 0.1%에서 0.3%로 3배로 올렸다. 지난해 거둔 거래세 총액은 2천5억위안(30조원)에 이르며 상장기업 배당총액을 웃돌았다.

중국 증권당국은 거래세를 파는 쪽과 사는 쪽 가운데 한쪽에서만 거두는 방식으로 부담을 줄일 예정이다.

이밖에 주식을 매입한 당일 되팔 수 있도록 하는 'T(Trade)+0'거래 방식도입도 증시 유동성 확대측면에서 고려되고 있다. 현재는 매입후 다음날 매도가 가능하다.

'T+0'은 투기적 거래를 부추길 수 있지만 유동성 확대와 리스크를 줄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중국 증권당국이 종합적인 증시부양대책을 선봬 반토막난 주가를 되살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jbt@yna.co.kr

(끝)



">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