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원칙있는 포용정책..동북아경제안보공동체 제안"
朴 "미국과의 신뢰관계 부터 회복..3단계 통일 추진"
(서울=연합뉴스) 황재훈 기자 = 한나라당 대선 경선 후보 5명은 19일 오후 대전 평송청소년수련관에서 열리는 통일.외교.안보 분야 정책토론회에서 대북정책, 한미관계, 북핵 해법 등을 놓고 격돌한다.
이명박(李明博) 원희룡(元喜龍) 박근혜(朴槿惠) 홍준표(洪準杓) 고진화(高鎭和) 후보는 자신들이 집권할 경우에 대비한 외교.안보 비전을 제시하면서 지지를 호소한다.
특히 이날 토론회에는 상대적으로 보수적 안보.통일관을 가진 이명박, 박근혜 후보와 진보적인 스탠스를 취하고 있는 나머지 세 후보간에 당의 향후 대북정책 기조와 노선 등을 둘러싼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이 전 시장은 미리 배포된 토론회 기조연설문을 통해 햇볕정책의 수정을 주장하면서 '비핵.개방 3000' 구상 실천, 동북아경제안보공동체 창설 등을 제안했다.
이 전 시장은 "햇볕정책은 의도와는 달리 결과가 빗나갔다"면서 "우리는 정성을 다했지만 돌아온 것은 핵무기였다. 이제 북한의 변화와 개방을 이끌어낼 수 있는 원칙있는 포용정책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북핵문제와 관련, "핵무기를 포기하라. 개방의 길로 나오라. 그렇게 되면 모든 길이 열린다"고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공개 요구하면서 북한 경제 회생을 위해 국제사회의 협력을 이끌어내는데 앞장서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이어 "통일은 경제통일이 선행돼야 한다"면서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나오면 10년 내에 1인당 국민소득 3천달러가 되도록 지원하겠다는 것을 골자로 한 '비핵.개방 3000 구상' 실천을 거듭 강조했다.
이 전 시장은 또 "인도적 차원에서 쌀과 비료, 의료품을 지원하면 북한도 국군포로와 납북자에 대해 인도적 협력을 해야 한다"며 대북 인도적 지원과 국군포로.납북자 문제의 연계 해법도 제시했다.
이와 함께 그는 "비핵화 이후 6자회담의 틀을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에 비견되는 경제안보협력체로 발전시켜야 한다"면서 "다자간 협력을 통해 동북아 경제안보공동체 창설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박근혜 전 대표는 '원칙의 대북정책, 신뢰의 외교정책'이라는 기조연설문에서 "우리 외교의 틀부터 국익 중심으로 새롭게 바꾸겠다"면서 "우선 미국과의 신뢰관계부터 회복하겠다"고 천명했다.
박 전 대표는 "미국과 신안보선언을 통해 한미동맹을 21세기에 걸맞은 가치동맹, 경제동맹, 포괄적 군사동맹을 발전시키겠다"고 밝힌 뒤 중국, 일본. 러시아에 대해서는 "역사와 주권 문제는 엄정 대응하되 국익을 염두에 두고 냉철하고 전략적인 외교를 펼치겠다"고 밝혔다.
그는 통일정책과 관련, ▲핵무기를 완전 제거하고 군사적 대립을 해소하는 평화정착 ▲한반도 경제공동체를 구축하는 경제 통일 ▲자유.인권.복지라는 인류 보편의 가치를 실현하는 정치 통일의 3단계 통일론을 주창했다.
또 북핵 문제와 관련, 박 전 대표는 "북한의 모든 핵무기와 핵 프로그램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보상과 제재를 적절히 사용하고, 철저한 국제공조로 북한을 반드시 비핵화의 길로 끌어내겠다"며 '당근과 채찍' 병행론을 밝혔다.
그는 "북한을 진정한 변화로 이끌 수 있는 것은 원칙있는 대북정책"이라면서 "저는 북한이 변하지 않을 수 없도록 만들겠다. 원칙있는 상호주의로 북한의 개혁.개방을 유도하고, 북한이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나오도록 반드시 만들겠다"고 공약했다.
원희룡 의원은 "한나라당은 이제 반공 정당의 굴레에서 통일비전을 보여주는 정당으로 거듭 나 민족의 아픔을 치유하고, 역사의 비극을 바로잡아야 한다"면서 "첫 번째 과제는 말로는 평화정책을 논하면서 언제든 이념의 빨간 보자기를 덮어씌우려는 낡은 수구정치와의 결별"이라고 강조했다.
홍준표 의원은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좌파의 포로이고, 박근혜 후보는 우파의 포로다. 좌.우 이념 대립의 시대는 끝났다"면서 보수와 진보의 낡고 경직된 이념의 틀에서 자유로워 지자고 주장했다. 또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유엔 한반도 특사 활용 ▲서울과 평양에 남북한 상주대표부 설치 등도 제안했다.
고진화 의원은 "평화의 새 시대에 한나라당이 변화를 주도해야 한다. 남북연합을 넘어 한민족 대연합 통일 구상으로 민족의 염원, 겨레의 소원인 통일을 이루겠다"면서 "정상회담 정례화, 평화협정, 한반도 비핵화, 군비 통제를 통한 '3+1 신뢰구축 조치'로 통일의 인프라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한나라당은 이날 토론에 이어 오는 28일 서울에서 마지막 종합토론회와 함께 집권비전 선포 대회를 가질 예정이다.
jh@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