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정재형기자][G8 회담서 고립 피하기 위한 수단]
지구 온난화를 방지를 위한 '교토의정서'를 반대해온 부시 미 대통령이 온실가스 다량 배출국가들에 온실가스 감축 장기전략을 마련하자고 31일(현지시각) 제안했다.
부시 대통령은 이날 중국, 인도 등 세계에서 온실가스 배출이 가장 많은 15개국에 대해 내년말까지 교토의정서의 효력이 끝나는 오는 2012년 이후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장기전략에 합의할 것을 촉구했다.
하지만 파이낸셜타임스(FT)는 부시 대통령의 제안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여전히 많다고 보도했다. G8 정상회담에서 미국의 고립을 피하기 위한 제스처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서방선진 8개국(G8)은 6일 열리는 정상회담에서 지구 온도 상승폭을 섭씨 2도로 제한하기 위해 단계적인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G8은 오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50% 줄이고, 오는 2020년까지 에너지 효율을 20% 향상시킬 계획이다. 유럽은 이같은 제안에 이미 서명했다.
미 행정부는 최근까지 유럽의 온실가스 감축 협약에 적대적인 모습을 보여왔다. G8이 제안한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탄소배출권 거래에 대해서도 두 가지를 모두 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었다. 부시 대통령이 이번에 제안한 내용 역시 이 두가지가 빠져 있다.
FT는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서는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라는 게 미국의 입장이었다며 하지만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탄소배출권에 가격을 매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FT는 또 그동안 교토의정서 개정에 미온적이었던 미국의 태도를 비판했다. 미국은 다른 어떤 나라보다 가장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있으면서도 지구 온난화에 대한 불편한 진실을 부정해 왔다는 것이다.
중국이 올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에서 미국을 추월했지만 1인당 기준으로 보면 미국이 월등히 많다. 미국의 배출량은 중국의 5~6배, 유럽 전체의 2배나 된다. FT는 미국이 구속력 있는 온실가스 감축 국가에서 빠지려고 하는 것은 오만한 예외주의라고 비난했다.
FT는 미국의 주장대로 중국과 인도 역시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해야 하지만 그보다는 미국이 먼저 앞장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방 선진국이 온실가스의 양과 1인당 배출 수준 감축에 앞서지 않는다면 중국 인도 등 개발도상국이 나설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정재형기자 ddotti@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