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정재형기자]지구 온난화를 방지를 위한 '교토의정서'를 반대해온 부시 미 대통령이 서방선진 8개국(G8) 정상회의를 앞두고 온실가스 다량 배출국가들에 온실가스 감축 장기전략을 마련하자고 31일(현지시각) 제안했다.
부시 대통령은 이날 중국, 인도 등 세계에서 온실가스 배출이 가장 많은 15개국에 대해 내년말까지 교토의정서의 효력이 끝나는 오는 2012년 이후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장기전략에 합의할 것을 촉구했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부시 대통령은 올해말 15개 온실가스 최대배출국회의 등 관련국들간에 연쇄협의를 시작할 것과 청정에너지 관련 기술에 대한 관세 삭감을 주장했다. 개발도상국도 환경관련 기술확보를 쉽게해 온실가스 감축을 돕겠다는 취지다.
부시 대통령의 이같은 제안은 선진국이 아니라는 이유로 교토의정서 대상국에서 제외됐지만 최근 경제성장으로 온실가스 배출이 급증하고 있는 인도, 중국, 브라질 등도 포함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를 갖는 제안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와 관련, 미 백악관 대변인은 이와 관련된 회담을 미국에서 개최할 계획이며 G8 국가들을 비롯해 한국, 브라질,호주, 남아프리카공화국, 멕시코, 러시아 등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한편 백악관은 교토의정서를 비준하라는 유럽의 압력을 거부하겠다는 방침을 거듭 확인했다.
1997년 체결된 교토 의정서에 서명하지 않은 미국은 지구 온난화 문제를 기술 개발로 해결해야 한다며 일괄적인 온실가스 감축 협약에 부정적 자세를 취해 왔다.
교토의정서는 세계 38개 선진국에 대해 오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배출 을 지난 1990년 총량보다 평균 5.2% 감축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정재형기자 ddotti@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