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머니투데이 김익태기자]"관심이 높아진 것은 좋은데 엔터테인먼트 업체들까지 나서니…." 산업자원부의 한 관리는 최근 증시에서 나타나고 있는 해외자원개발 열풍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혀를 찼다.

고유가가 지속되면서 해외 자원개발사업에 대한 관심은 크게 높아졌다. 산자부가 6월1일부터 금융감독원 공시시스템과 연계하는 해외자원개발 정보공개 시스템을 가동하는 것도 이를 방증한다.

문제는 정도를 넘어서고 있다는 점이다. '해외자원개발=대박'이라고 인식한 것인지, 정보기술(IT) 업체는 물론 엔터테인먼트 업체까지 가세하고 있다.

더구나 해외자원개발에 나선다는 코스닥 업체 상당수가 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해외자원개발은 막대한 초기 투입비용이 필요할 뿐 아니라 개발리스크가 매우 큰 사업이다. 대기업 조차 이 사업에 몸을 사리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일부 업체들은 주가 부양을 노리고 해외자원개발 사업 설(說)을 흘린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실제 사업목적에 해외자원개발을 추가해놓고 산자부에는 신고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신고해도 내용은 당초 알려진 것보다 축소된 사례도 있다.

'묻지마'식 투자에 나서는 개인 투자자들도 문제다. 일부 투자자는 산자부에 신고 수리가 된 것만으로 사업의 타당성을 인정받은 것으로 착각하기도 한다. 현행 신고제도는 사업 착수를 위한 최소한의 요건에 불과하다. 신고수리가 곧 사업의 성공여부 및 유망성을 보장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산자부 관계자는 "해외자원개발사업은 지속적으로 많은 자금이 투입되는 장기적인 사업"이라며 "투자하기 전 회사의 능력과 경험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풍이 휩쓸고 지난간 자리에는 반드시 부작용이 남기 마련이다. 벤처 열풍으로 수많은 피해자가 양산된 게 불과 7년전 일이다. 해외자원개발에 대한 옥석가리기가 절실한 시점이다.

김익태기자 epping@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