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머니투데이 권성희기자]청와대가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을 발표한 이후 정부 부처 공무원들이 기자들의 단순 전화취재에도 답변을 거부하고 '기자들과 만난 뒤 업무 관련 보도가 나면 문책당한다'며 취재에 응하지 않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대해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31일 정례브리핑에서 청와대가 전화취재에 응하지 말라는 지침과 '공식발표 이외에 업무 관련 보도가 나면 엄중 문책한다'는 내용의 지침을 내린 적이 없다고 밝혔다.

천 대변인은 한 기자가 '건설교통부에 취재를 하려고 여러 사람들에게 전화를 했는데 모두들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에 따라 공보관을 통해 취재 신청을 해야 한다며 답변할 수 없다고 했다'고 말하자 "그런 지침은 없다"고 분명히 밝혔다.

천 대변인은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은 대면취재(공무원을 직접 만나서 하는 취재)와 사무실 출입을 공보관을 통해 하라는 것이지 전화취재에 관해서는 다른 지침이 없는 걸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또 '정부 부처에서 전화 취재에도 답변을 못하게 되어 있다고 말했다'고 하자 "(청와대가) 전화 취재와 관련해 명료한 기준을 설명하지 않았던 것으로 안다"며 "취재를 못하게 정해서 있어서 (공무원이 전화로) 얘기를 못하겠다고 하는지 점검해 보겠다"고 말했다.

'청와대에서 한 마디 하니까 아래에서 과도하게 몸을 사리는 것으로 봐야 하나'라고 묻자 천 대변인은 "몸을 사리는 것이란 말은 적절치 않고 밑의 분위기가 어떤지 모르겠다"며 말을 흐렸다.

'청와대가 내린 지침도 아닌데 실제 현장에서는 공무원이 전화 응대마저 거부한다면 '잘못됐다'고 청와대가 정확한 지침을 내려야 하는 것 아니냐'고 따지자 천 대변인은 "확인을 해보겠다. 정당한 것이었는지, 아닌지 점검해보겠다"고 말했다.

◆靑 "금감원에 취재제한 지침 내린 적 없다"

천 대변인은 '청와대가 '공식발표 이외의 업무관련 기사가 나오면 관련자를 엄중 문책하겠다'는 내용의 '지침'을 내렸다'는 헤럴드경제 보도에 대해서도 "청와대에서 그런 지시를 내린 바 없다"고 말했다.

헤럴드경제는 이날 정부 고위 공무원의 말을 인용해 기자들과 만난 뒤 업무 관련 보도가 나면 청와대가 엄중 문책하겠다고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청와대가 금융감독위원회와 금융감독원에 기자들의 사무실 출입을 금지하도록 지시했다는 보도와 관련해서도 "금감위는 물론 (민간조직인) 금감원에까지 청와대 민정비서실에서 지침을 내린 것으로 보도되고 있는데 그것은 사실과 많이 다르다"고 말했다.

천 대변인은 "금감위는 공무원 조직"이라며 "청와대 민정비서실에서 기자실 운영 실태와 관련한 정책 점검 차원에서 금감위 실무자와 통화한 사실은 있지만 그게 전부"라고 강조했다.

천 대변인의 해명이 맞다면 정부 부처 공무원들은 청와대가 지시도 하지 않았는데 기자들의 전화취재를 거부하고 민간조직인 금감원은 '청와대 지시'를 핑계로 기자들의 사무실 출입을 금지하는 등 '오버'하고 있다는 말이 된다.

천 대변인은 특히 '공무원들의 정보 공개 수준과 취재 응대 태도가 글로벌 스탠더드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는 지적에 대해 "공무원들이 언론을 대하는 태도와 시스템도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게) 변화가 불가피하다"며 "이를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靑 "전자브리핑제, 7월1일에 시행 안 될 수도"

공무원들의 정보 공개 수준과 취재 응대 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청와대도 시인한 것이다. 실제로 천 대변인은 "언론인들에게만 변화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공무원도 구체적이고 책임성 있게 언론을 대하도록, 언론을 대하는 태도가 변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제는 청와대의 공무원 대면취재 금지 조치에 공무원들의 '오버'로 전화취재까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에서 청와대가 취재지원을 위해 도입하겠다는 전자브리핑제 도입은 요원해 보인다는 점이다.

실제로 천 대변인은 '윤승용 청와대 홍보수석이 전자브리핑제를 7월1일부터 도입하겠다'고 밝힌데 대해 "지금은 전자브리핑제가 효율적이고 투명하게 이뤄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단계"라며 "7월1일이란 날짜에 너무 구애받을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또 "(전자브리핑제는) 가능한 준비되는 대로 시행하도록 하고 내용의 윤곽이 잡히면 설명 드리겠다"고 말해 전자브리핑제 시행 날짜와 윤곽에 대해선 아무 것도 나와 있는 것이 없음을 시사했다.

게다가 현재 청와대 홍보수석실은 수석·비서관이 매일 방송에 출연하고 청와대브리핑에 글을 올리는 방식으로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의 타당성을 홍보하는데 주력하고 있어 전자브리핑제 준비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해 보인다.

결국 정부 부처에선 대면취재 금지 조치가 기자들의 전화취재까지 거부하라는 지침으로 확대 해석되고 있는 가운데 전자브리핑제 도입조차 요원해 언론의 공무원 감시 기능은 상당 기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권성희기자 shkwon@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