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머니투데이 임지수기자][2010년 휴대폰의 40% DMB 모듈 탑재 전망]

3년 후 HSDPA(고속영상이동전화) 및 WCDMA(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 가입자가 1233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정보통신부는 지난해 IT839 전략 상용화 이후 실제 시장에서의 가입자 확산 추이, 생산 실적 등을 조사해 2010년까지의 IT839 생산을 새롭게 전망한 'IT839 전략 시장전망' 결과를 31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결과에 따르면 HSDPA·WCDMA는 전국망 조기 구축과 3세대(3G) 시장에서의 주도권 경쟁 가속화로 가입자 규모가 올해 288만명, 2010년에는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의 대략 30% 정도인 1233만 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와이브로는 현재 서비스 초기 단계로서 단말기 보급 및 커버리지 확대에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돼 가입자 규모가 2008년 53만명, 2010년 188만명으로 예상됐다.

연내 상용화 목표에도 불구하고 내년도에 본격 도입이 예상되는 광대역 융합 서비스는 2008년가입가구 77만, 2010년 가입가구 258만으로 전망됐다. 이동멀티미디어방송(DMB)의 경우 2010년 지상파 DMB가 1778만명, 위성 DMB가 611만명 등 전체적으로 2389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으며, 2010년 국내에서 사용되는 휴대폰의 40% 가량이 DMB 모듈을 탑재하고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유-홈(u-Home) 서비스는 의료법 개정 등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풀어야 할 과제가 많아 2010년 시장규모가 2000억원 수준을 밑돌 것으로 예상됐으며 텔레매틱스 서비스는 지난해 말 개시된 DMB 데이터 방송을 이용한 교통정보 서비스(TPEG)의 빠른 시장 확산으로 올해 가입자 118만명, 2010년 358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RFID/USN 분야는 서비스와 기기를 합해 2007년 국내 생산 규모가 6127억원, 2010년 2조2852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IT 서비스는 산업 전반의 서비스화와 차세대 시스템 구축 수요, 소프트웨어(SW) 발전 정책 등에 힘입어 2010년까지 연평균 9.4%의 증가세를 보일 전망이다. 8대 서비스 전체로는 2010년까지 연평균 15.6%의 성장률이 예상됐다.

한편 8대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정보통신방송 서비스, 융합 서비스가 활성화됨에 따라 동반 성장이 기대되는 9대 신성장동력 분야는 2010년까지 연평균 7.0%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최근 휴대폰, 디지털TV 등 IT분야 제품의 빠른 가격하락 속도를 고려할 때 상당히 높은 수치라고 정통부는 설명했다.

지난해 3.7%의 생산 감소를 기록한 이동통신/텔레매틱스 기기 분야의 경우 올해에는 HSDPA 전국망 구축, DMB 전국 서비스 개시 등에 힘입어 2.6% 증가세로 상승 반전하는 등 2010년까지 4.8%의 성장이 전망됐다. 디지털TV/방송 기기는 치열한 국제 경쟁과 판매가격 하락 추세에도 디스플레이 패널 경쟁력, 디지털방송 기술력을 바탕으로 2010년까지 8.0%의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란 전망이다.

지능형 로봇은 시장 초기 단계에서는 가정용 로봇보다는 교육안내, 경비보안 등 기업용 로봇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됐으며 이 중에서 네트워크 로봇 생산 규모는 2010년 1580억원 수준에 달할 것 전망이다.

IT SoC/부품 분야는 올해 하이엔드 단말 수요 증가에 따라 생산이 호전, 2010년까지 연평균 11.9%의 빠른 성장세가 예상됐다.

8대 서비스와 9대 신성장동력을 포함한 IT839 전략 분야 전체로는 2010년까지 연평균 9.2%의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이번 IT839 전망 작업에는 지난 1월부터 4월까지 분야별로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 등 각계 전문가가 참여했으며 업계전망과 의견도 참조했다.

임지수기자 ljs@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