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휘어지는 광회로기판 개발 성공"

인하대 이일항 교수팀, 차세대 휴대전화.디지털카메라 등에 응용가능

휘어지는 광(光) 인쇄회로기판(FO-PCB)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인하대 이일항(60) 교수 연구팀은 2005년 제1세대 광 인쇄로기판(O-PCB)을 개발한 데 이어 쉽게 구부릴 수 있는 제2세대 범용성 광 인쇄회로기판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올 1월 국제광자공학회(SPIE)가 주최한 학술대회 'SPIE Photonics West 2007'에서 발표됐다.
광 인쇄회로기판은 기존의 전기 인쇄회로기판(PCB)이 전기신호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과 달리, 빛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는 회로기판으로, 데이터전송 속도를 10Gbps 이상으로 높일 수 있어 기존의 PCB에 비해 면적과 부피, 무게 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광 인쇄회로기판은 차세대 휴대전화, 컴퓨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항공, 자동차, 유비쿼터스 통신, 광가입자망(FTTH) 등에 광범위하게 응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이번에 개발된 제품은 반경 2㎜ 이내까지 구부릴 수 있어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DVD레코더 등 소형가전에서 기존 PCB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번 제품은 저가의 고분자 소재와 저가의 대량생산 공정인 엠보싱 공법을 적용했기 때문에 대량생산도 가능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더욱 고성능화되고 안정화, 소형화된 차세대 광전자 회로기판의 새로운 한 형태를 제기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jnlee@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