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차 리콜수리 귀찮다"...작년 리콜 시정률 55% 불과

운전자 안전불감증 만연



리콜 명령을 받고도 수리를 받지 않는 자동차 소유자가 늘어 교통사고 위험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7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리콜성 무상수리를 뺀 자발적 또는 강제 리콜 시정률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대상 차량은 12만5천460대 가운데 리콜 수리에 응한 자동차는 6만9천646대로 전체의 55.5%에 머물렀다.

즉 지난해 리콜 대상 차량 10대 중 4대 이상은 심각한 결함을 안고 있는 '시한폭탄' 자동차를 버젓이 몰고 도로를 누비고 있는 셈이다.

특히 지난해 리콜 시정률 55.5%는 2005년 리콜 대상 차량 85만2천172대 가운데 65만8천347대가 수리에 77.2%의 시정률을 보였던 것에 비해 크게 나빠진 것이다.

지난해 리콜 시정 현황을 세부적으로 보면 국산차는 21종, 11만7천867대가 리콜 명령을 받아 55.9%(6만5천853대)가 수리를 받았고 외제차는 41종, 7천593대 가운데 50%인 3천793대가 리콜에 응했다.

차종별로는 버스의 리콜 시정률이 가장 낮았는데, 지난해 6월 19일 리콜된 기아차[000270]의 그랜버드선샤인은 해당 차량 537대 가운데 리콜 수리를 받은 차가 1대에 불과해 시정률이 0.2%에 그쳤다.

승용차의 경우도 지난해 12월 22일 리콜된 지엠대우의 뉴마티즈는 1만7천962대 가운데 447대만 수리받아 시정률이 2.5%에 그치기도 했다.

반면 외제차중 도요타는 렉서스 IS250과 GS300이 지난해 5월 8일 각각 430대와 423대를 리콜한 뒤 376대와 366대를 수리, 평균 86%가 넘는 시정률을 기록해 대조를 보였다.

아울러 오토바이 등 국산 이륜차는 지난해 1만6천40대가 리콜 명령을 받았지만 219대만 수리를 받아 시정률이 1.4%로 이륜차의 교통사고 위험률도 매우 큰 것으로 조사됐다.

건교부는 매년 차량 소유자 주소지로 리콜 수리 통지서를 보내고 자동차 제작사에 리콜을 독려하고 있지만 정작 차량 소유자들이 '귀찮다'는 등의 이유로 리콜 수리에 응하지 않아 골머리를 앓고 있는 상황이다.

건교부 관계자는 "리콜 시정률이 좋지 않아 고심 끝에 지난해 설문조사를 해봤더니 대부분의 차량 소유자들이 '귀찮아서 수리를 안받는다'고 답변했을 정도로 안전 불감증이 만연해있다"면서 "차가 고장나서 멈춰 서기까지는 현 상태로 몰고 다니겠다는 생각이 큰 문제"라고 우려했다.

이 관계자는 "버스의 리콜 시정률이 가장 낮은 이유는 운수회사 특성상 차량이 쉴 때 수리를 해야하는 한계때문이며, 오토바이는 자동차보다 관심도가 낮아 더욱 리콜 시정율률 떨어진다"면서 "리콜 통지를 받았다는 것은 그만큼 그 차량을 운전할 경우 사고날 확률이 높다는 점을 명심해야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president21@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