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코리아가 본격적인 국내 사업을 위해 직원 채용과 대대적인 홍보활동에 나설 것을 검토하고 있어 이 회사의 향후 사업 방향에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구글코리아는 지사장과 R&D(연구개발)센터장 채용을 마치고 웹마스터와 개발자 채용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TV광고까지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향후 국내시장 진출의 수위에 대해 업계의 관측이 분분하다.
구글코리아 관계자는 "최근 구글의 대외 광고를 검토하기 위해 TV, 신문, 전광판 등 여러 매체를 담당하는 광고대행사 관계자와 회의를 가졌다"고 말했다.
구글코리아가 광고대행사와 대규모로 접촉한 배경은 일부 마니아층을 상대로 구글의 서비스가 호응을 얻고 있지만 대중적인 인지도가 낮다는 판단에 따라 대대적인 홍보활동을 펼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포털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 "그동안 국내에 구글코리아가 외부와의 접촉이 부재한 상황이어서 실체 없는 회사와 경쟁한다는 느낌이 없지 않았다"며 "하지만 구글코리아가 최근 각 분야의 이사급 책임자를 뽑고 TV광고까지 구상하고 있다니 앞으로 기술ㆍ서비스ㆍ마케팅 전략 등 적극적인 진출 의지가 엿보인다"고 말했다.
구글코리아의 R&D 센터 등 향후 사업 추이는 앞서 설립된 구글차이나를 살펴보면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하다.
지난해 중국 베이징(北京)에 설립된 구글차이나는 중국 현지에 검색을 위한 자체 서버를 구축ㆍ가동했다. 올해 초에는 중국 P2P 파일공유 서비스인 쉰레이 네트워크 테크놀로지의 지분 500만 달러를 인수하기도 했다.
구글차이나는 아울러 서비스 측면에서는 블로그ㆍ커뮤니티로의 사업 영역을 확대할 방침을 밝혔고 올해 초에 인기 인터넷사이트의 순위을 공개하는 `구글열방(rebang)'을 개시했다.
따라서 구글코리아도 구글차이나처럼 경쟁력 있는 국내IT(정보기술)벤처를 인수하거나 독자적인 서비스를 대규모로 개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구글코리아가 국내투자를 대규모로 늘리기 보다는 규모에 맞게 운영하면서 국내 동향을 벤치마킹하는 수준에 머물 것이라는 견해도 제기되고 있다.
국내 시장 규모가 중국과 달리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구글코리아는 검색시장의 점유율을 확대하기 보다는 광고수익을 위해 국내업체와 제휴를 넓히고 국내 동향을 자사 서비스에 반영하는 수준에 머물지 않겠냐는 분석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재 구글의 중국 검색점유율은 약 25%로 중국업체인 바이두에 이어 2위를 기록하고 있는 반면 구글의 한국 검색점유율은 2%에도 못 미치고 있기 때문에 섣불리 투자를 늘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조사업체인 에이스카운터에 따르면 구글은 지난 3월 기준 국내 검색유입율이 1.68%에 머물렀다.
(서울=연합뉴스) thedopest@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