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교통약자 편의증진에 5년간 1조2천177억원 투자



정부는 장애인, 고령자 등 교통 약자의 이동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해 올해부터 5년 동안 총 1조2천177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10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교통 약자 중심의 교통시스템 전환을 위한 '교통약자 이동편의증진계획(2007년-2011년)'을 수립하고 이같은 투자를 결정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2011년까지 국도 및 지방도 등 3천191㎞에 보도, 갓길 및 안전시설을 설치하고 시각 장애인용 음향 신호기 3천20기 및 규격에 맞는 점자 블록을 확충할 예정이다.

또한 일부 주요 역을 교통 약자 이동 거점으로 정하고 역사 안팎에 엘리베이터, 저상버스, 특별교통수단을 집중해 교통 약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저상버스의 경우 내년 말까지 한국형 저상버스를 개발하고 지난해 592대에서 2011년 9천130대까지 늘리고, 버스정류장 3천340개소에 대해 주변 턱 낮추기, 정보 안내판 설치 등을 추진한다.

중증장애인, 고령자를 위해 승강 설비가 갖춰진 장애인용 택시, 셔틀승합 등 특별 교통수단을 2011년까지 1천92대 보급하며 주요 철도역, 공항, 여객선터미널에 장애인, 노약자 우선 창구, 도우미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교통 수단과 아울러 도시, 주택도 교통 약자를 위한 시설이 의무화된다.

정부는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경우 무장애 시범도시로 개발하고 기업도시, 신도시, 혁신도시는 무장애로 설계하도록 계획기준에 의무화할 계획이다.

도시, 건축물, 교통수단, 공원, 도로 등이 무장애로 설계될 경우 인증을 부여하고 건축물 분양가 산정시 인센티브를 부여하며, 국민임대주택 분양계약시 장애인, 노약자의 신청에 따라 좌식 샤워, 좌식 주방 싱크대 등 편의 시설 14종을 무료로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밖에 인구 20만명 이상의 25개 도시를 대상으로 보행 우선구역 시범사업을 시행하고 장애인, 고령자가 공공부문의 공급 주택에 입주하는 경우 특별 공급 등 다양한 지원을 한다. 국민임대는 20%, 공공분양은 10% 범위 안에서 우선권을 부여할 예정이다.

홍순만 건교부 생활교통본부장은 "이번 계획은 정부가 교통 약자를 위한 편의 시설을 대대적으로 확충하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표명한 것"이라면서 "선택과 집중을 통해 교통약자 환경을 개선하되 신설 건물의 경우 장애가 없도록 한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president21@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