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서울=연합뉴스) 박용주 기자= 1일 한국은행이 작성한 '금융안정보고서'는 가계의 부채상환능력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부채가 소득 증가 속도를 넘어서면서 서민들의 살림살이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이다.

때마침 경기도 하강국면으로 접어들고 있어 가계의 부채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 `소득의 20%는 대출 갚느라..' =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 실적이 많은 국민.우리.신한.하나.SC제일.농협 등 6개 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가계들을 대상으로 원리금상환부담률(DSR)을 산출한 결과 2005년말 15.3%에서 2006년말 19.3%에 이어 작년말에는 20.2%로 높아졌다.

원리금상환부담률은 가계의 원금상환액과 이자지급액 합계를 가처분 소득으로 나눈 수치로 가계가 자산을 처분하지 않고 일상적 경제활동으로 벌어들인 소득으로 채무상환 의무를 이행할 수 있는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다.

이 수치가 20.2%라는 것은 연간 가처분 소득이 1천만원일 경우 202만원을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으로 갚아야 한다는 뜻이다.

연간소득 대비 이자지급액 비율도 2005년말 10.2%, 2006년말 12.0%, 작년말 13.2% 등으로 높아졌다.

특히 소득이 적은 서민들의 원리금 상환 부담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소득 2천만-5천만원 (저소득)가계의 원리금상환부담률은 작년말 기준으로 22.3%였으며 연소득 8천만-1억원 (고소득)가계는 15.7%로 두 계층간의 격차가 6.6%포인트에 달했다.

◇ 채무상환 능력도 악화일로 = 한국은행은 또 가계의 가용소득에 의한 금융부채 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개인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비율은 2007년말 현재 1.48배를 나타내 2006년말의 1.43배보다 확대됐다고 밝혔다.

이 수치는 2004년말 1.27배에서 2005년말 1.35배, 2006년말 1.43배 등으로 계속 커지는 추세다.

한은은 "이 수치가 높아진다는 것은 금융부채가 가처분소득보다 더 빠르게 늘어남을 뜻한다"고 설명 했다.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비율은 미국의 경우 1.39배, 일본(2006년말 기준) 1.17배 등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이다.

가계의 이자지급부담을 가처분소득으로 나눈 비율은 2004년말 6.3%에서 2005년말 7.8%, 2006년말 9.3%에 이어 작년말에는 9.5%로 높아졌다.

이 역시 미국의 7.5%, 일본 4.7%보다 높은 수준이다.

◇ "향후 전망도 부정적" = 전문가들은 가계의 부채 상환 능력이 떨어지는 것을 우려 섞인 시각으로 보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차입 가계의 원리금상환부담률이 높아진 것은 주택담보대출이 계속 늘어난 가운데 시장금리 상승으로 이에 연동되는 대출금리가 함께 상승했기 때문"이라며 "개인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비율이 높아지는 것은 부채가 소득보다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민간연구소 관계자는 "당장 금융회사의 연체율에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지는 않지만 대출이 많고 신용도가 낮은 계층을 중심으로 압력이 가중되면서 위험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주택가격이 급락하거나 경기침체로 저소득 가계의 소득이 줄어들 경우 과다 차입 가계의 연체와 은행의 자산건전성이 나빠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LG경제연구원 조영무 책임연구원은 "앞으로 당분간은 교역조건 악화에 따라 가처분소득도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며 "부채상환능력이 더 떨어질 수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speed@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