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미디어워치 (국내언론)


배너

안광한 MBC 사장에게 기대되는 담대한 리더십

김재철 전 사장이 만든 개혁의 토대 기어코 완성해주길


[박한명 미디어워치 온라인 편집장, 폴리뷰 편집국장] 안광한 사장의 인사를 놓고 ‘김재철 시즌2’라는 민주당 주장대로만 된다면 사실 국민 입장에서는 MBC에 대해 더 이상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좋다는 의미일 것이다. 언론노조 측은 ‘김재철 체제’란 프레임을 만들어 마치 무슨 거악처럼 지속적인 상징조작을 해왔지만 대중은 속지 않았다. 그 증거가 2012년 파업의 실패다. 적대적 대상에게 어떤 이미지를 덮어씌워 매장시키는 수법은 철지난 구태에 불과하다. 실체 없이 이미지 하나만으로 버티다가 한계를 일찍 드러낸 ‘새정치’의 모습과 마찬가지로, ‘김재철 체제’ ‘김재철 키즈’ 등등의 허상의 프레임을 만들어 전쟁에서 이기겠다는 발상은 이제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김재철 전 사장의 실체란 노조의 꼭두각시를 거부한 사장, 최악의 공격에도 깨끗했던 사장, 그런 가운데서도 최고의 성과를 낸 사장이다. 이것은 결과가 증명하는 분명한 실체다.

안광한 사장 본인은 물론이거니와 이진숙 보도본부장 등 안 사장이 새로 임명한 임원들은 적어도 언론노조 측의 그런 프레임 공격에 쉽게 무너질 사람들이 아니라고 믿는다. 이들은 모두 구태를 되풀이하다 처참하게 실패한 2012년 MBC본부노조의 파업 현장 한 가운데서 김 전 사장과 함께 치열하게 싸웠던 전사이자 증인이기 때문이다. 안 사장이 권재홍 부사장, 이진숙 보도본부장, 백종문 경영기획본부장, 김철진 편성제작본부장, 장근수 드라마본부장 등을 선임한 것은, 잠시 중단됐던 MBC 개혁을 이어가겠다는 의지의 표명이자 굳은 각오로 더할 나위없는 잘된 인사임에 틀림없다. 언론노조 기관지 미디어오늘과 같은 매체들이 인사가 이루어지자마자 이진숙 본부장과 권재홍 부사장, 김장겸 보도국장의 갈등과 긴장설 등을 유포하면서 ‘내부분열’을 기획하는 모양새를 보면 더욱 그렇다. 정면 공격이 어려울 만큼 막강한 진용이라 일종의 사면초가 전략을 써 내부에서부터 무너지길 바란다는 언론노조 측 간접 고백일터이다.

안광한 사장과 이진숙 본부장 등은 역전의 용사, 언론노조의 얄팍한 전략은 무용지물

그러나 2012년 MBC본부노조의 막가파식 공격을 온몸으로 다 받아냈던 이진숙 본부장은 노조의 공격 방식을 잘 안다고 했다. 안 사장을 비롯해 노조가 말하는 ‘김재철 키즈(아무리 상징조작이라지만 도대체 다 큰 어른들한테 키즈를 붙인다는 게 여론을 움직이는 데 씨알이 먹힐 거라고 생각하는지 어처구니없다)’ 역시 모를 리가 없다. 특히 안 사장은 김 전 사장을 대신해 전투를 이끈 당사자다. 언론노조 기관지들은 익명의 조합원들을 등장시켜 인력풀의 한계로 인한 회전문 인사라는 둥, 보도국이 시기와 질투가 난무하는 아비규환이라는 둥 깎아내리기 바쁘다. 파업 참가자들을 배제하다가 한계에 부딪히면 결국 쓸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는 여전히 오만한 귀족노조의 배짱도 감지된다. 착각이다. 필자가 늘 강조하지만 2012년의 그 따위 막장 파업을 일으키고도 사과 한마디조차 할 줄 모르는 반성 모르는 파렴치한 자들을 무조건 포용하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전에 무슨 일이 있었느냐는 듯 MBC본부노조를 대우한다는 건 있을 수 없다. 보복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일엔 대가가 따르기 마련인 것이 세상사의 이치다.

2012년 MBC 그 전쟁의 현장에서 전투를 지휘하고 싸우고 상처 입은 자들을 우선해야 하는 것이 당연하다. 파업 참가자들을 배제했기 때문에 보도제작 경쟁력을 잃었다는 둥, 파업참가자와 불참자들의 분열로 갈등이 지속된다는 둥, 취재와 제작능력이 탁월한 기자와 PD들의 배제로 시청률,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헛소리에 신경 쓸 사람은 언론노조 측 외에는 거의 없다. 파업불참자들을 영혼 없는 기자, 시용기자로 비하하고 투명인간 취급을 하며 모욕을 줘 사내분열을 조장하는 것은 오히려 본부노조 측이다. 능력 있는 기자와 PD도 하루아침 만들어지는 게 아니다. 꾸준히 기회를 주고 성장의 토대를 만들어주면 결실을 맺기 마련이다. 언론노조 측 잘나간다는 기자와 PD들이 혼자 큰 듯 거만하게 굴지만 MBC의 보호와 기회제공이 없었다면 불가능했다. 파업불참자들을 싸잡아 능력 없는 자들로 아무런 거리낌 없이 말하는 그런 수준의 인격을 가진 자들이 아무리 능력이 뛰어나봤자 겸손하고 성실한 자들 발뒤꿈치에도 못 따라간다. 그런 저질들이 잘할 줄 아는 건 광우병 방송과 같은 정치공작성 프로그램밖에 더 있나.

안광한 사장 색채까지 더해진 ‘김재철 개혁 체제’ 완성하길

MBC에 절실한 인재는 교활한 잔머리와 조작기술, 정치공학에 도가 튼 꾼들이 아니라, 광우병 위험성을 국민에게 알리려는 방송을 만들면서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유혹은 떨칠 줄 아는 책임감과 도덕성을 가진 사람이다. 공영방송인 MBC 이기에 더욱 그렇다. 당장 아쉽다고 아무런 책임도 묻지 않고 그런 꾼들을 기용하고 키워줘 돌아온 건 MBC 파멸 직전까지 갔던 2012년 정치파업이다. 사과 한마디 할 줄 모르는 오만한 태도로 이제 와서 “파업의 상흔을 어떻게든 경영진이 보듬어야 하는데 현재 경영진은 당시 인사들을 계속 중용하는 협소함을 보여주고 있다”고 헛소리를 늘어봐야 눈 하나 깜빡할 일 없는 것이다. 재차 강조하지만 세상사 이치는 뿌린 대로 거두는 것이다. 우리네 같은 평범한 보통 국민들조차 아는 이런 단순한 진리를 모르는 미성숙한 인격자들이 만드는 방송은 한계가 있는 것이다.

안광한 사장은 첫 임원 인사에서 좋은 출발을 보여줬다. 그러나 언론노조 기관지들은 앞으로도 내부분열을 조장하며 안에서부터 계속 흔들어댈 것이다. 그러나 안 사장도 목격했듯 분명한 원칙과 소신으로 자신의 가는 길을 확신한다면 어려움은 있어도 뿌리가 뽑힐 일은 결코 없다. 자신이 하는 일에 당당하다면 썩 괜찮은 MBC 사장으로, 훌륭한 사장으로 임기를 마칠 것이라고 믿는다. 안 사장이 야당과 언론노조 좌파진영 언론과 시민단체의 맹목적 비난에 흔들리지 않고 개혁2기 체제의 큰 그림을 그린 것을 축하하고 앞으로도 도전하는 경영인으로서, 소신과 뚝심을 가진 공영방송 사장으로서의 역할을 잘 해주길 기대한다. 뿌리가 깊은 나무는 강풍에도 쉽게 흔들리지 않는다. 담대한 리더십으로 MBC 내 소수파와 약자들을 보호하면서 안광한 사장 고유의 색채까지 더해진 김재철식 개혁 체제의 완성을 진심으로 고대한다.

박한명 폴리뷰 편집국장, 미디어워치 온라인편집장 hanmyoung@empas.com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