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 두산인프라코어 해군 납품 비리 기사, 해군 군함 발전기 납품비리 5년간 8억 빼돌려>
<2009년 - 두산인프라코어 국책연구비 수십억 횡령>
2010년 - 두산인프라코어 5년간 70억 횡령기사, K2 엔진 개발비로 굴삭기 엔진 개발
2003년 노무현 정권 때 K2 개발계획 변경 ‘엉망진창’ 두산인프라코어 수십억 횡령사건 에도 불구하고 김관진 국방장관은 개발기한 연장 '방산비리의 서막?'
게다가, K2 흑표 전차의 경우 1992년 개발계획이 수립될 때만 하더라도 파워팩 등 핵심 부품은 국산화가 불가능하다고 국방부와 국방과학연구소가 판단하고 수입을 추진하였으나, 2003년 노무현 정권 때 갑자기 국내개발로 방향이 바뀌면서 아직까지 기술개발도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막대한 비용만 지출된 상태다.
게다가, 2011년 3월 제48차 방위산업추진위원회 회의를 통해 김관진 국방장관은 2011년 10월까지 개발기한 연장을 결정하였으나, 2011년 6월에 엔진개발을 맡은 두산인프라코어 엔진개발비 70억을 빼돌려 자사 굴삭기 연구에 투입하였다가 국민권익위원회가 부패사례로 지목하여 대검과 국방부에 조사를 지시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그 후 알 수 없는 이유로 인천지검이 ‘혐의없음’ 이라며 수사를 서둘러 종결하였으며, 이에 격분한 제보자가 이의신청을 하는 등 잡음이 끊이질 않았다. 엔진 개발을 맡은 두산인프라코어는 2009년에도 해군 납품 비리로 80억을 횡령하여 8명이 처벌을 받은 바 있으나, 이렇게 부실한 업체에 대하여 정밀 조사를 지시하지 않고 10월까지 개발기한을 연장시켜 준 것에 대해서 국방위원들과 군 관계자 그리고 방산업체들 사이의 유착설이 끊이질 않은 바 있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