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경상도 출신 김병관 내정자를 제거하라! ‘전라도 하나회’ 사건 증폭되나?

국방부내 전라도 인사들, 김병관 낙마위해 전라도 정치인들 접촉 및 루퍼 퍼뜨려 '사실로 확인'




지난 2월 28일 새누리당 심재철 의원이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김병관 국방장관 내정자에게 ‘자진사퇴’ 하라고 촉구한 것을 계기로 ‘전라도 하나회’ 사건으로 의혹이 증폭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광주일고 출신인 새누리당 심재철 의원이 국방위원회 소속도 아니며, 김병관 국방장관 내정자와 아무런 관계가 없는 상황에서, 갑자기 ‘자진사퇴’를 주장함에 따라, 국방부내 전라도 출신 인사들이 경상도 출신인 김병관 국방장관을 낙마시키기 위해서 전라도 출신 정치인들을 접촉하며, 김병관 내정자에 대한 음해를 하고 있다는 군 주변의 소문들이 사실로 드러나게 된 것이다.

또, 방산비리를 덮기 위해서 K2 파워팩 개발업체들이 막대한 로비자금을 여의도 정가에 뿌리고 있다는 소문도 무성하게 피어나고 있어, 이 의혹들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전ㆍ현직 군 장성 및 국회의원 등에 대한 구속수사가 불가피하게 될 예정이다.

‘경상도 출신 김병관 몰아내려 전라도 출신 군인들 합심하여 음해’ , '사실로 밝혀져'

현재 국가안보실장으로 내정된 김장수 전 국방장관은 전라남도 광주 출신으로 노무현 정권시 국방장관을 지냈으며, 현재 국방장관인 김관진 국방장관은 전북 전주이고, 힐튼호텔에서 전 주한미군사령관을 만나 “내가 박근혜의 슈퍼바이저다. 박근혜가 대통령이 되면 내가 국방장관이다.” 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진 모 장성 또한 전라도 출신으로 알려져, 전라도 출신 군인들이 국방부를 장악하려고 한다는 소문이 국방부 주변에 무성했었다.

또, 국방부 인사들이 여·야 정치인들 및 국방위원들을 극비리에 접촉하며, 김병관 내정자에 대한 의혹 제보 및 음해를 하고 있다는 소문이 무성하였으나, 국방부와 아무런 상관이 없는 광주일고 출신 심재철 의원이 김병관 내정자에게 ‘자진사퇴’를 종용함에 따라 소문이 사실로 입증되게 된 것이다.





<2009년 - 두산인프라코어 해군 납품 비리 기사, 해군 군함 발전기 납품비리 5년간 8억 빼돌려>



<2009년 - 두산인프라코어 국책연구비 수십억 횡령>


2010년 - 두산인프라코어 5년간 70억 횡령기사, K2 엔진 개발비로 굴삭기 엔진 개발

2003년 노무현 정권 때 K2 개발계획 변경 ‘엉망진창’ 두산인프라코어 수십억 횡령사건 에도 불구하고 김관진 국방장관은 개발기한 연장 '방산비리의 서막?'

게다가, K2 흑표 전차의 경우 1992년 개발계획이 수립될 때만 하더라도 파워팩 등 핵심 부품은 국산화가 불가능하다고 국방부와 국방과학연구소가 판단하고 수입을 추진하였으나, 2003년 노무현 정권 때 갑자기 국내개발로 방향이 바뀌면서 아직까지 기술개발도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막대한 비용만 지출된 상태다.

게다가, 2011년 3월 제48차 방위산업추진위원회 회의를 통해 김관진 국방장관은 2011년 10월까지 개발기한 연장을 결정하였으나, 2011년 6월에 엔진개발을 맡은 두산인프라코어 엔진개발비 70억을 빼돌려 자사 굴삭기 연구에 투입하였다가 국민권익위원회가 부패사례로 지목하여 대검과 국방부에 조사를 지시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그 후 알 수 없는 이유로 인천지검이 ‘혐의없음’ 이라며 수사를 서둘러 종결하였으며, 이에 격분한 제보자가 이의신청을 하는 등 잡음이 끊이질 않았다. 엔진 개발을 맡은 두산인프라코어는 2009년에도 해군 납품 비리로 80억을 횡령하여 8명이 처벌을 받은 바 있으나, 이렇게 부실한 업체에 대하여 정밀 조사를 지시하지 않고 10월까지 개발기한을 연장시켜 준 것에 대해서 국방위원들과 군 관계자 그리고 방산업체들 사이의 유착설이 끊이질 않은 바 있다.




한미연합사 해체 및 종북세력, '한미연합사 해체 반대, 종북척결' 외친 김병관 '용납못해'

여기에 김병관 국방장관 내정자가 ‘한미연합사 해체 반대’ 및 ‘종북척결’ 등을 주장하고 있기에 여·야를 막론하고 한·미연합사 해체를 추진했던 세력과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처벌 받은 전과가 있는 야당 의원, 노무현 정권 때부터 이어져 온 방위산업 비리를 덮기 위한 방산업체들의 로비, 노무현 정권의 방위산업 부실화에 대한 책임을 덮으려는 야당 등의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히면서 김병관 국방장관 내정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지금까지 열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국민의 생명과 지켜야 할 군대의 인사제도가 특정지역 출신 군인들에 의한 ‘밥그릇 싸움’ 으로 변질지고 있는 형국이어서 국민들은 충격과 실망을 감추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불안한 눈으로 국군을 바라보고 있는 상황이다.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시키기 위해서 박근혜 정권은 국방비리 척결 및 ‘제2의 하나회‘ 사건에 대한 수사를 하루 빨리 개시하여 국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고 안보를 튼튼하게 해야 할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