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뷰가 15일 단독 보도한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캠프측의 MBC 뉴스데스크 대선보도 방송 전 개입 전화와 관련 의혹에 대해 언론인들과 언론개혁운동가들이 일제히 개탄을 금치 못했다.
정치전문 시사주간지 시사오늘의 윤종희 정치부장은 “만일 공용방송을 또 언론자유를 추구해야 할 노조가 문 후보측에 기사를 사전보고 한 것이 사실이라면 대국민 사기”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러면서 “이런 논란이 불거진 것은 지금 MBC가 노조파와 비노조파가 갈려 정치적으로 맞서고 있기 때문인 것 같다”며 “ 대한민국 방송의 한심한 현 실상”이라고 지적했다.
김영 전 MBC 방송문화진흥회 감사는 “방송되지 않은 기사의 내용을 미리 정탐해서 알아낸 것도 수상하거니와 기자가 작성한 기사 방향을 제시하는 것 자체가 권위주의 시대의 보도지침을 넘어 언론을 민주당의 당보, 당 기관지 정도로 폄하하고 경멸하는 오만방하자 행태”라고 신랄하게 비판했다.
김 전 감사는 “언론은 그 누구로부터도 지시받거나 간섭받지 않는다”며 “민주당 사람들은 TV조선 기자 얼굴에 침을 뱉는 만행을 저지른 것을 비롯해 MBC 기자 기사 내용에까지 간섭을 하고 보도 방향을 강요하는 듯한 태도로 나갔다. 있을 수 없는 만행”이라고 개탄했다.
유석춘 연세대학교 교수는 “누군가 내용을 알고 외부에 기사를 알려 줬기 때문에 이런 일이 생긴 것이 아닌가. 말도 안 되는 일이 벌어진 것”이라며 “민감한 시기에 특정 정치인 캠프 사람이 기자에게 전화를 걸어 기자가 작성중인 기사 내용을 수정하라는 식으로 요구하는 건 잘못된 언론간섭이고 언론탄압이다. 전두환 시절 보도지침이 아니라 그런 식의 간섭이 도대체 북한과 다를 게 뭐가 있나”라고 황당해 했다.
김동주 ‘공정방송을 위한 시민연대’ 대표는 “MBC 내부에 노골적으로 줄을 대는 정치권 끄나풀이 있다는 얘기”라며 “실시간으로 언론을 모니터링 하듯 언론을 자기들 마음대로 주무르고 통제하는 식으로 여론을 조작하려는 것 아니냐. 문제가 심각하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결국 야당이 언론을 감시 통제하고 있었던 것이 아니냐”며 “야당이 노조와 결탁해 움직이고 있었다는 게 지금 다 적나라하게 드러나고 있는 셈이다. 민주통합당이 그런 식으로 개입하고 언론과 방송을 감시 통제하는 건 독재다. 남더러 독재니 민주니 따질 처지가 못 되며 국민을 기만하는 것”이라고 일갈했다.
그러면서 “겉으로는 언론자유, 언론독립을 보장하는 척 하고 민주화 세력으로 포장하면서 내부적으로 그런 짓 하는 게 더 나쁜 것”이라며 “그러면서 옛날 언론독재를 비판하는 건 지나치게 뻔뻔하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추선희 대한민국어버이연합 사무총장은 “얼마 전 안철수 같이 출마하지 않은 사람을 출마한 사람보다 더 띄워주고 방송이 대체 이게 무슨 징조인지 모르겠다고 어떤 분과 얘기를 나눴는데, 그 분이 말하길 노조원들이 민노총 소송이다 보니 그렇게 장난질을 한다는 것이다”라며 “대선이 끝나면 정말로 그땐 언론노조들하고 한바탕 해야 될 것 같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이어 “내부 세작들이 있기 때문에 MBC 정상화가 어려운 것”이라며 “조직구조를 항아리 구조가 아닌 피라미드 구조가 되도록 대대적으로 정리해 물러날 사람은 물러나도록 해 국민을 위한 MBC로 거듭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철민 기자 rapter73@empas.com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