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김황식 차출론? 한나라당, 서울시장 포기했나?”

“안철수 태풍 맞고도 여전히 대세론 지키기에 급급”

한나라당 내에서 10월 서울시장 보궐선거 후보로 김황식 국무총리 차출론이 불거져 나오고 있다. 주로 당 지도부와 친박계, 소장파를 중심으로 나온다고 한다.

다수의 언론보도에 따르면 한나라당 내 한 최고위원은 “김 총리는 대법관과 감사원장을 지낸 행정 전문가인 데다, 호남이 고향이어서 서울시장 선거에서 표의 확장성이 있는 인물"이라며 "당내에서 김 총리가 서울시장 후보로 나서는 게 최선이라는 공감대가 이뤄져 가고 있다"고 말했다.

구상찬, 홍정욱 의원 등은 7일 국회 본회의에 출석하기 위해 온 김황식 국무총리를 함께 찾아가 “총리 외에는 (서울시장 후보로) 대안이 없다. 출마를 해야 한다”고 권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총리는 “제가 그럴 능력이 있겠느냐”며 일단 부정적 의견을 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아일보에 따르면 김 총리를 만난 한 의원은 “(김 총리가) 강하게 거부하지 않아 밀어붙이면 (설득이) 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서울지역 의원 상당수가 김 총리를 (후보로) 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당내 신주류는 김황식 총리 차출론을 주장하는 근거로 박원순 변호사 등 야권단일후보로 거론되는 인사들에겐 없는 행정경험을 강점으로 꼽고 있다. 친박계 이혜훈 제1사무부총장은 7일 조선일보와의 통화에서 “최근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유권자의 70% 이상이 서울시장의 조건으로 행정능력을 꼽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현재 정치권을 강타하고 있는 태풍의 주인공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은 각종 서울시장 여론조사에서 타 후보를 압도하는 지지율을 얻은 바 있다. 안 원장은 기업을 하면서 조직 관리를 해봤다는 것 외에는 여권이 주장하는 의미의 행정능력의 소유자가 아니다. 또 안 원장이 불출마 선언을 하고 지지의사를 밝힌 박원순 변호사 역시 검증된 행정능력 소유자가 아니다. 박 변호사도 최근 일부 여론조사결과에서 나경원 의원보다 높은 지지율을 얻어 ‘안철수 후광’을 톡톡히 누리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인물들이 각종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점을 보면 유권자 70% 이상이 서울시장 조건으로 행정능력을 꼽고 있다는 주장은 신빙성이 크게 떨어진다. 오히려 참신성과 신선미 등 인물 자체가 가진 경쟁력과 정치권에 대한 불신 등이 서울시장 선거의 최대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그런 면에서 본다면 오히려 김 총리의 서울시장 선거출마는 ‘이명박 정권 심판론’ 프레임을 굳히는 악수가 될 수 있다. 또 10월 선거를 코 앞에 둔 상황에서 꾸준히 서울시장 후보로 거론되며 인지도와 경쟁력을 키워온 나 위원에 비해 김 총리에게 주어진 시간이 촉박하다는 것도 단점이다.

최근 동아일보가 코리아리서치와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박원순 변호사는 19.8%의 지지율을 얻어 1위로 나타났다. 야권 유력후보 중 한명인 한명숙 전 총리는 13.2%, 나경원 최고위원은 12.6%를 기록했다. 이 조사에서 김황식 총리는 단 0.7%에 그쳤다. 조선일보와 미디어리서치의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박 변호사는 51.1%의 지지율을 얻어 1위를 기록했고, 나 최고위원은 32.5%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지지층의 여론이 ‘김황식 서울시장 차출론’에 전혀 동감하지 못하고 있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승리를 위해선 지지층의 적극적 지지와 투표를 이끌어 내야 하는데, 김 총리는 그런 면에서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김 총리 차출론 보도가 이어지자 관련 보도 기사 댓글란에는 “나경원을 빼고 왜 멀쩡한 김황식을 들먹이나?” “서울시민을 위해 일하는 서울시장 자리가 국민 전체를 위해 일하는 국무총리보다 더 중요한가? 총리하는 분에게 서울시장 출마하라고 권하는 것 자체가 난센스” “오세훈의 주민투표 정신을 이어갈 나경원이 나가야 우파가 단결하고 승산이 있다” 등의 반발 글이 올라오고 있다.

폴리뷰 박한명 편집장은 “안철수 돌풍의 참 의미는 ‘대세론’이란 ‘바람 앞의 등불’과 같다는 것”이라며 “현재 한나라당의 전략이라고 언론 보도를 통해 나오는 구상들을 보면 온통 대세론을 지키기 위한 생각 뿐, 서울시장 선거를 아예 접기로 작정하지 않고는 나올 수 없는 한심한 발상들 뿐”이라고 지적했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