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역사인식문제연구회 논문] 최근 한국의 ‘안티 반일’ 움직임에 대해서

한국의 자생적 ‘안티 반일’ 정신 혁명 움직임에 주목 ... 일본도 이 움직임에 적극 부응해야

미디어워치 편집부 mediasilkhj@gmail.com 2022.02.26 09:13:02


※ 본 논문은 일본 역사인식문제연구회(歴史認識問題研究会, http://harc.tokyo)의 논문집 ‘역사인식문제연구’  제8호(봄/여름호, 2021년 3월 19일)에 게재된 니시오카 쓰토무(西岡 力)  교수의 최근 한국의 ‘안티 반일’ 움직임에 대해서(最近の韓国のアンチ反日の動きについて) 제하 논문을 니시오카 교수의 허락을 얻어 완역게재한 것이다. 첨부한 일부 사진과 캡션은 미디어워치 편집부가 덧붙인 것이다. (번역 : 미나모토 히카루)




니시오카 쓰토무(西岡 力)  
역사인식문제연구회(歴史認識問題研究会) 회장,
모라로지연구소(モラロジー研究所) 교수,
레이타쿠(麗澤)대학 객원교수


글 첫머리에(はじめに)

2년 전부터 한국인의 대일관에 혁명적 변화가 조용히 일고 있다. 그 일환으로 레이와(令和) 2년(2020년) 12월 졸저 ‘날조된 징용공 문제(でっちあげの徴用工問題)’가 한국어로 번역돼 한국의 서점에 진열됐다. 이 책을 번역한 이는 ‘반일종족주의’의 공저자 중 한 사람인 이우연 박사이며, 한국어 번역본의 제목은 ‘날조한, 징용공 없는 징용공 문제’다. 출판사는 위안부 문제에 대해 사실에 기반한 기사를 계속해 써 온 ‘미디어워치’(대표 황의원)다.

‘날조한, 징용공 없는 징용공 문제’의 출판 이후, 한국의 보수 유튜브 채널 몇 군데가 이를 호의적으로 다뤄줬다. 구독자 수가 67만 명에 이르는 ‘펜앤드마이크TV’도 그 가운데 하나다. ‘펜앤드마이크TV’에서는 지난 1월 12일 ‘월간조선’ 특종 기자로 유명한 동시에, 단행본 ‘반일 종족주의’의 공저자 중 한 사람인 언론인 김용삼 씨가 졸저의 번역자인 이우연 씨와 약 한 시간에 걸쳐 이 책을 소개하는 대담 프로그램을 방영했다. 그 가운데 다음과 같은 대화가 오갔다(‘니시오카 쓰토무 「날조한, 징용공 없는 징용공 문제」 옮긴 이 이우연 박사 ┃ 신간뽀개기 / 김용삼 대기자 ┃ 2021년 1월 12일’).

김용삼 이 책을 쓴 일본인 니시오카 선생의 심정을 어땠을지를, 제가 이 책을 보면서 어느 정도 이해를 했습니다. ‘진짜 한국인들 해도해도 너무 하는 것 아니냐.’ 정부도 그렇고 대법원도 그렇고 집단적인 무슨 일종의 정신질환에 앓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 히스토리컬 팩트, 즉 역사적 사실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일종의 허상에 근거해서 (2018년 10월 전시 노동자) 판결이 나왔는데 이걸 우리는 어떻게 하면 될는지. (중략) 저는 이 니시오카 선생의 책을 읽으면서 정말 뭐라고 할까요. 고통스럽더라고요. 우리는 이 정도밖에 안 되는 나라인가? 한국의 집단 지성은 이 정도로 쓰레기통 밖에 안 되는 상황인가?

이우연 (중략) 2년 전이었으면 이런 책을 번역했다면 그냥 ... 매장당하고 말았을텐데 지금은 많이 다르지 않습니까? 이 책이 총서 시리즈인데 세계 자유·보수 총서, 제1권입니다. 우리도 이제 비로소 일본의 자유 우파들과 교류를 하고 토론하고 연대를 하고 그래야 한다고 생각해서 이 책을 번역하게 됐습니다.

김용삼 (중략) 이제 우리는 정상 국가가 되어야 하지 않습니까. 사실에 있지도 않은 것을 근거로 해서 대법원까지 이런 식의 판결을 하면 대한민국의 지성은 없다고 봐야 되지 않겠어요? 양심도 없는 것이고 정의도 없는 것이고. 이런 짓을, 어떻게 대한민국 정부와 대법원이, 그 알량한 몇 명의 좌익 지식인들에 현혹되어서, 이런 짓을 하는냐 이거죠. (중략)

이우연 (중략) 이미 제 생각에는 ... 이건 가히 혁명적인 변화라고 생각합니다. 부산시장 후보 정규재 후보께서, 서울시장 후보 김대호 후보께서, 공약으로 반일 동상, 위안부 동상과 노동자 동상, 철거하겠다고 이렇게 이야기할 수 있는 시대가 이미 됐다는 것입니다. 이것 자체가 예를 들어서 2년 전만 해도 생각하지 못했을 변화거든요. 그래서 국민적인 정신 개조 운동이 필요합니다. 그러기 위한 유력한 방법 중에 하나가 일본에 우파 지식인들, 대표적인 자유 우파 지식인들과 교류하고 토론하며 연대하는 것입니다. 곧바로 정권을 바꾸는 것도 중요하지만, 장기적으로 우리가 탈조선 할 수 있는 근본적인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김용삼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면, 정말로 우리가 일본 사람들을 화나게 한데 대해서 참회의 ‘삼보일배’라도 하는 ‘사죄단’을 만들어서, ‘미안하다’는 사죄라도 해야 되는 것 아닌가 싶어요. 이렇게까지 엉터리, 가짜 판결과 억지 주장을 하는 이런 정부를 가지고 있는 나라에 희망이 있겠습니까.

이우연 그래서 우선, 작지만 시민들이 움직이는 행동으로서, 지금 매주 수요일 12시에는 옛 일본대사관 앞 위안부 동상 철거 시위를 하고 있고 ... 매주 수요일 이제 59회차를 맞이했습니다. 1년이 넘었습니다.

김용삼 위안부 운동가들이 시위를 하는 그 장소 가까이에 있는거죠?

이우연 소위 ‘소녀상’이 있는데서, 정의연·정대협 집회를 하는 바로 옆 자리에서 우리는 ‘위안부상 철거, 수요집회 중단, 정의연 해체’를 요구하는 집회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오후 1시 30분에는 서울 용산역 앞에서, 거기에 있는 징용노동자 동상 앞에서 동상의 철거를 요구하는 시위를 하고 있습니다.

김용삼 (중략) 이 책은 일본의 진짜 양심적 지식인이 한국인들의 양심과 지성에 호소하는 책이에요. 가슴에 화살처럼 꽂히는 내용으로 가득차 있습니다. 이런 책을 통해서 우리는 징용공 문제가 무엇이고, 또 앞으로 어떤 파장을 우리에게 일으킬 것인지, (징용공 문제를 주장하고 있는) 한국 대법원과 한국 정부와 한국의 좌익이 얼마나 공부를 안 하고 무식하며 거짓말쟁이인지 우리가 깨달아야 할 것 같습니다.


여기에서 이우연 씨가 “2년 전만 하더라도 이런 책을 번역했다면 무서운 꼴을 당했겠지요. 지금은 크게 변하지 않았습니까” “이미 혁명적 변화가 일고 있습니다” “시대가 변한 거예요” “2년 전이라면 상상도 하지 못했을 일입니다” 등의 발언을 한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필자는 2년 전부터 한국에서 일고 있는 이 ‘혁명적 변화’를 ‘안티 반일’이라 명명하고 그 실태를 몇 차례 단편적으로 보고해 왔다.[1] 이를 왜 ‘친일’이라고 호칭하지 않고 ‘안티 반일’이라고 호칭하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사실, 이 움직임의 주인공들은 일본 전문가나 일본과의 관계가 깊은 비즈니스맨들이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친일’이라고 부르는 것은 적당하지 않다. 주인공들은 한국사학자, 한국근현대사를 취재해 온 언론인들, 그리고 문재인 정권이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근본부터 무너뜨리려고 하고있는데 대해 맞서 싸워 온 행동하는 활동가들(좌익도 포함)이다. 그들은 일본과 친해지기 위해서 ‘반일’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거짓말로 점철된 반일을 이용해 문재인 정권과 그 배후에 있는 종북 세력(북한에 종속된 세력)이 한국을 멸망시키려 하는 데 대한 강한 위기감의 발로로 반일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안티 반일’이라고 부르는 것이 적당할 것이라고 나는 생각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현 단계에서 필자가 접할 수 있었던 범위 내이지만 2년 전부터 급속히 확대돼 온 ‘안티 반일’의 흐름을 개관한다. 그 흐름을 크게 나누어 두 가지다.

1. 실증주의 역사학자들에 의한 계몽 활동
2. ‘안티 반일’ 운동의 탄생과 활발한 활동

이 순서대로 살펴보겠다.


1. 실증주의 역사학자들에 의한 계몽 활동(実証主義歴史学者による啓蒙活動)

(1) 식민지근대화론 논쟁과 위안부 금기(植民地近代化論論争と慰安婦タブー)

이미 한국사학계에서는 주로 경제사 전문가들에 의해 침략과 수탈이라는 종래 학계의 해석에 대해 반대하면서 과거 조선반도는 일본통치시대를 거치며 근대화가 이뤄졌다고 하는 식민지근대화론의 입장에서 실증 연구가 1980년대부터 축적돼 있었다.[2] 그러나, 학계 내부에서는 격렬한 논쟁이 계속돼왔지만, 한국 사회 전체에 대한 계몽 활동은 그 정도로 활발하지는 않았다.[3] 

특히 위안부 문제나 조선인 전시 노동자 문제 등, 일본과 한국의 외교적 분쟁이 있는 문제로 결과적으로 일본 측을 변호하는 것이 되어 버릴 수 있는 관련 실증연구 결과를 대외적으로 공표하는 일은 이전에는 거의 없었다. 또는 커다란 금기가 있어서 사실상 불가능했다.[4] 이런 금기를 깨버린 지식인이 바로 이영훈 서울대학교 교수(당시)였다.

이 교수는 한국경제사를 전공했고 식민지근대화론의 기수로서 한국의 역사 교과서가 좌편향돼 있다면서 교과서 개선 운동의 선두에 서 온 학자 중 한 사람이다. 예를 들어 이 교수는 2007년 한국에서 출판된 ‘대한민국 이야기’(일본어판은 2009년 분게이슌주(문예춘추)에서 출판)에서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교과서에는 ‘일본은 세계사에 있어 그 유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철저하고 악랄한 방법으로 우리 민족을 억압하고 수탈했다’고 적혀 있습니다. 감히 나는 말합니다.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미곡의 절반이 일본으로 수출된 것은 총독부가 강제했기 때문이 아니고 일본 내지의 쌀값이 30% 정도 높았기 때문입니다.”[5] 


그러나 이 책에서도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 이 교수의 주장은 날카롭진 못했다. 실은 이 책이 출판되기 약 2년 반 정도 이전인 2004년 9월, 이영훈 교수는 모 텔레비전 토론 프로그램에서 위안부 문제를 토론하는 과정에서 나름의 입장을 개진하다가 야당 의원으로부터 “위안부를 공창이라고 하는 일본 우익의 주장과 똑같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를 한국의 한 인터넷 신문이 “이영훈이 위안부를 공창이라고 불렀다”고 보도함으로써 이영훈 교수는 한국의 일반 대중으로부터도 거센 공격를 받은 사실이 있었다. 그런 연유로 이 교수는 이 책에서 자신은 위안부를 공창 등으로 표현한 사실은 없다고 변명하면서 위안부는 ‘성노예’였다고 서술했었던 것이다.

(2) 2016년 8월, 금기를 깬 이영훈 교수의 유튜브 방송(2016年8月、タブーを破る李栄薫教授のユーチューブ発言)

하지만, 대한민국 이야기’가 출판되고 9년이 지난 2015년 12월, 일본의 아베 정권과 한국의 박근혜 정권이 위안부 문제에 관한 합의를 하고 과반수의 위안부 출신 인사들이 이를 지지하는 등 상황이 변화하는 가운데, 이영훈 교수는 드디어 용기를 갖고서 위안부 문제에 관한 종래의 ‘성노예설’을 부정하는 메시지를 처음으로 내게 됐다.

이영훈 교수는 2016년 8월, 인터넷에서의 연속 강의 도중 “위안부 제도는 군의 통제 아래에 있던 공창 제도입니다” “위안부는 성노예가 아닙니다” “조선인 위안부는 전차금을 제공하거나 사기 등의 방법을 쓴 포주들이 모집한 것입니다” “조선인 위안부가 20만 명이나 된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으며 기껏 해야 5,000명 정도입니다”라고 분명히 말했다.

이 교수는 보수 언론인인 정규재 씨(‘한국경제신문’ 주필, 당시)가 주재하는 인터넷 텔레비전 ‘정규재TV’에서 한국근현대사 연속 강의를 맡았다. 12회에 걸쳐 방송된 ‘이영훈 교수의 환상의 나라’라는 제목의 강의의 최종회가 ‘위안소의 여인들’이었다. 2시간을 넘는 강의가 2016년 8월 22일부터 23일에 걸쳐 총 3차례로 나뉘어 게재됐다.



이 교수는 조금 긴장한 표정으로 다음과 같이 강의를 시작했다.

“오늘의 강의 제목은 ‘위안소의 여인들’이 되겠습니다. 일본군 위안소의 여인들, 이른바 위안부라고 우리가 부르고 있는 그 여인들에 관한 것입니다. 알고 계신 바와 같이 1991년 세간의 뜨거운 이슈로 제기돼 지금까지 25년간 양국간의 외교 관계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교류에서 심각한 영향을 미친 주제였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이 주장을 둘러싸고 최근 한국의 반일민족주의는 매우 강력하게 불타올라, 그것은 일본과의 관계뿐만 아니고, 한국 내에 있어 한국인의 지성, 문화, 역사 인식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따라서 제가 이 ‘환상의 나라’를 다루는 강의에서 이 문제를 피해가는 것은 불가능하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애덤 스미스는 인간은 누구든지 자기 마음속에 ‘공평한 관찰자’라고 하는 또 하나의 자신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지혜를 가진 것은 내 마음속에 있는 또 한 사람의 자신, 언제든 자신을 공정, 공평하고도 엄격하게 감시하고 있는 또 한 사람의 자신이 내리는 지시에 따를 때, 마음의 평화를 얻고 생활의 행복을 얻는 길이라고 말했습니다.

저도 제 마음의 평화를 얻고 생활의 행복을 얻기 위해서 내 마음속에 있는 또 한 사람의 내가 내리는 명령을 따라서 당초의 계획에는 없었습니다만, 또 주저하기도 했습니다만, 이 주제를 가장 마지막에 다루기로 했습니다.”[6] 


여기에서 이영훈 교수가 “당초의 계획에는 없었습니다만, 또 주저하기도 했습니다만, 이 주제를 가장 마지막에 다루기로 했습니다”라고 말한 부분에 주목한다. 금기를 깨는, 커다란 첫 걸음이 이때 시작됐다. 이 강의 내용이 훗날 ‘반일 종족주의’의 원형이 됐다.

방송 가장 마지막 부분에서 이영훈 교수는 “성노예 규정이라든지, (20만 명이라는) 숫자 추정에 대해 객관적으로 많은 문제가 있다”며 강의의 결론을 말했다. 당시 시점에서 이런 발언까지 했다는 것은 대단한 용기가 필요했을 것이다.[7] 

(3) 전시 노동자 판결이 방아쇠가 된 ‘반일종족주의’ 인터넷 강의(戦時労働者判決が引き金になった「反日種族主義」ネット発信)

2017년 2월, 이영훈 교수는 서울대학교를 정년퇴직하고 한국의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한 ‘현대사 학교’ 이승만학당을 개설하고 학당의 교장이 됐다. 이승만학당은 “이승만 대통령의 정치철학, 독립운동, 건국 업적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그것을 국민적 교양으로 널리 전파함을 목적으로 창립됐다”고 한다.[8] 

이승만학당은 네 가지 학훈을 제창하고 있는데, 그 네 번째가 “우리는 거짓말을 배격하고 명리(名利)에 현혹되지 않는다”이다. 이것이 ‘안티 반일’ 계몽 활동의 기초가 됐다.[9] 

이승만학당은 수강자를 모아 강의를 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이승만TV’라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서도 계몽 활동을 전개 중이다. 이 ‘이승만TV’가 2018년 12월부터 ‘위기 한국의 근원: 반일 종족주의’라는 제목의 인터넷 강의를 야심차게 시작했다. 강사는 이영훈 교수 외에도 4명의 학자(김낙년, 주익종, 정안기, 이우연)와 한 사람의 언론인(김용삼)이 담당했다.

그 첫 번째 강의(2018년 12월 10일 공개)에서 이영훈 교수는 다음과 같이 연속 강의의 목적을 말했다.

“‘이승만TV’는 앞으로 약 40회에 걸친 시리즈 강의를 통해 반일 종족주의를 비판하고 고발하려고 합니다.

우리 한국인들이 알고 있는 일본 지배기의 역사, 그에 대해 무한히 분노하는 감정이 얼마나 비과학적인 것인지, 실제의 사실과 얼마나 동떨어진 것인지, 우리 문화, 우리 정신에 잠복하고 있는 샤머니즘과 토테미즘에 근거하는 것인지를 전부 해부하고 비판할 생각입니다.

목하(目下) 사법부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이 어찌할 수 없는 사법부의 소동을 일으켜 온 일본의 조선 노무자 동원 문제도 다룹니다. 수많은 조선의 청년들이 일본군에 지원하고 입대한 그 시대의 실태를 있는 그대로 전할 생각입니다. 일제가 식량과 토지를 마음껏 수탈했다는 역사학의 통설이 얼마나 엉터리인지에 대해서도 폭로할 셈입니다. 지난 26년간 일본과의 외교를 파국으로 몰고간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사실은 당시 공창 제도와 얼마나 밀접하게 관계를 맺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숨기지 않고 지적할 생각입니다. 독도가 과연 조선왕조의 영토였는지, 그 객관적인 증거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과감히 말할 생각입니다.”


여기에서 이영훈 교수가 말한 바와 같이, 이 연속 강의가 시작되기 약 1개월 전인 2018년 10월 30일, 한국 대법원은 일본 기업들에 대해 옛 조선인 전시 노동자 원고 네 사람에게 위자료를 지급할 것을 명하는, 놀라운 판결을 내렸고, 일본과 한국의 관계는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나빠졌다. 이영훈 교수 등은 이 판결에 잠재된 엉터리 역사 인식에 강한 위기감을 느낀 것이다.

당초 ‘위기 한국의 근원: 반일종족주의’ 가운데 다뤄질 예정이었던 위안부 문제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진실’이라는 별도의 타이틀로 독립했다. 그 결과 ‘위기 한국의 근원: 반일종족주의’가 30회,[10]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진실’이 16회 연속 강의의 형태로 게재돼,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진실’ 최종회가 2019년 6월 20일에 업로드됐다.



(4) 2019년 7월의 '반일 종족주의' 출판(2019年7月の『反日種族主義』出版)

그 강의 노트를 정리해 2019년 7월 10일 한국에서 ‘반일 종족주의’가 출판됐다. 이 책이 무려 11만부나 팔리는 베스트셀러가 됐다(2019년 11월에는 일본어판이 출판돼 40만부 이상 팔리며 이 또한 베스트셀러가 됐다).

이 책이 막 출판됐을 즈음, 문재인 정권은 일본이 취한 반도체 소재 수출 관리 강화에 대한 보복이라는 프레임을 걸어 대규모 반일 캠페인을 벌이고 있었다. 그런 가운데 반일을 비판하는 이 책에 대해 대형 신문이나 방송은 무시 또는 호된 비난을 가했다. 그러나 그것이 오히려, 문재인 정권 측이 그렇게까지 비판한다면 읽어 보자는 식으로, 반(反)문재인 측의 반응을 부르는 통에, 거의 광고가 없었던 이 책이 ‘조용한 베스트셀러’가 됐다.

(5) “구역질이 난다”는 조국 법무부 장관의 매도(「吐き気がする」曹国法相の罵倒)

문재인 정권 발족 때부터 청와대에서 민정수석비서관을 지내고 법무부 장관이 되기 위해 비서관을 사임한 조국 씨가 2019년 8월 5일 SNS에 다음과 같은 글을 게재했다.

“(‘반일 종족주의’와 같은) 주장을 펴는 학자, 이에 동조하는 일부 정치인과 기자를 ‘부역·매국 친일파’라는 호칭 외 무엇이라고 불러야 하는지, 나는 알지 못한다. 이들을 이렇게 비판하는 것은 전체주의적, 파시즘적 발상이자 국민을 둘로 나누는 ‘이분법’이라는 일부 지식인들의 고상한 궤변에는 어이상실이다.

대한민국이라는 민주공화국의 정통성과 존립근거를 부정하는 것도 ‘표현의 자유’라고 인정하자. 정치적 민주주의가 안착된 한국 사회에서 이러한 쓰레기 같은 내용을 담은 책도 ‘이적표현물’로 규정되어 판금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그 자유의 행사에 따른 맹비판은 감수해야 한다. 그러나 그 자유의 행사가 자초한 맹비판은 감수해야 할 것이다. 이들이 이런 구역질나는 책을 낼 자유가 있다면, 시민은 이들을 ‘친일파’라고 부를 자유가 있다.”


조국 씨는 법무부 장관 취임을 전후해 다양한 부정 사건이 폭로돼 화제의 인물이 됐다. 그런 인물이 “구역질이 난다”고 비난함에 따라 오히려 이 책이 제대로 된 이야기를 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조용한 서평’이 퍼지게 됐다.

(6) 좌파 방송 매체의 집요한 공격(左派テレビ局の執拗な攻撃)

좌파가 지배하는 한국의 민영 방송 매체들도 악질적인 취재와 감정적인 비판 보도를 지속했다. 2019년 7월 29일 지상파 3대 방송 중 하나인 MBC의 ‘스트레이트’라는 탐사 기획 프로그램이 이 책을 거론하며 ”역겨운 친일 타령“라는 표현으로 강하게 비난했다. 프로그램에서는 이 책의 공동저자인 이우연 박사가 2019년 7월 2일 제네바의 국제연합 유럽 본부 심포지엄에서 “(식민지기 조선인 노무동원 노동자와 관련) 임금에 있어서 민족 차별은 없었다”고 발표한 장면의 영상과 출판기념회의 영상 중 적당한 부분만을 짧게 방영하고 거친 말로 비난을 계속했다.

이어서 2019년 8월 4일 일요일 아침, 이영훈 교수가 자택에서 나왔을 때, 도로상에서 잠복하고 기다리고 있던 MBC 기자들이 무리하게 카메라를 들이밀며 인터뷰를 강요한 일이 일어났다. 강한 자세로 촬영을 중단하라며 되풀이해 거부 의사를 밝혔음에도 취재는 계속됐다. 그 가운데 교수가 자신에게 들이민 마이크를 손으로 쳐서 떨어뜨리게 하고 기자의 뺨을 때리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교수와 그 지지자들은 도로상에서 카메라 인터뷰를 강요하는 것은 초상권 침해라며 해당 영상을 사용한 방송의 금지를 구하는 가처분 신청을 냈지만 법원(서울서부지방법원)은 이를 각하했다. 해당 영상은 2019년 8월 12일 이 교수 등을 친일 매국 세력이라며 비방하는 MBC ‘스트레이트’에서 장시간 방영됐다.



(7) ‘친일찬양금지법’(「親日称賛禁止法」制定への動き)

2020년 들어서도 '반일 종족주의'에 대한 집요한 공격은 계속됐다. 합계 1천만 부 이상 팔린 현대사 대하소설의 작가인 조정래 씨.[11] 그는 2020년 10월 12일 “('반일 종족주의'의 저자) 이영훈은 신종 매국노이고 민족반역자다” “일본에 유학한 사람은 전부 민족 반역자” “150만 친일파를 법을 제정해서 단죄해야 한다”며 강하게 매도에 나섰다.

이미 2020년 4월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60%의 의석을 획득한 한국의 좌파 여당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조 씨와 같은 발상에서, ‘친일찬양금지법’을 제정, 이영훈 교수 등은 물론, 역사적 사실에 반하는 “조선인 학살” 또는 “위안부 성노예” 주장을 인정하지 않는 자들을 형사 처벌한다는 논의가 진행됐다. 더불어민주당의 최고위원인 설훈 의원은 인터넷 매체인 ‘이데일리’와의 2020년 5월 14일 인터뷰에서 ‘친일찬양금지법’의 제정 필요성에 대해 다음과 같은 열변을 토했다.

“‘친일찬양금지법’을 발의할 계획이 있다. 작년 노골적인 친일 역사서인 '반일 종족주의'를 출판한 이영훈 교수 등이 이번에는 '반일 종족주의와의 투쟁이라는 책을 냈다. 이는 위안부 역사 왜곡을 반복하고 피해자들에 대한 2차 가해를 거리낌 없이 하는 것이다. 이 전 교수는 ‘일본군 위안소는 고수익 시장’ ‘강제징용은 없었다’ 등의 주장을 반복해 왔다. ‘강제 동원 피해자들의 진술은 거짓말의 행진’이라며 대법원의 강제 동원 배상 판결까지 비난했다.”


그러면서 설 의원은 ‘친일찬양금지법’으로 이영훈 전 교수 등을 처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친일찬양금지법’ 제정 운동을 이어온 광복회(독립운동가 자손들의 모임)는 2020년 4월 총선 지역구 입후보자 1109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응답자 568명 중 96%에 해당하는 546명이 ‘친일찬양금지법’에 찬성했다며 여당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

(8) 옛 위안부들이 형사 고발(元慰安婦らが刑事告発)

이미 이영훈 전 교수 등에 대한 형사 처벌을 구하는 움직임이 시작됐다. 2020년 7월 2일 한국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인 송영길 의원이 옛 위안부 및 옛 전시 근로자들의 유족 등과 함께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영훈 씨와 강의 도중 '반일 종족주의'를 거론해 대학 당국으로부터 징계 처분을 받은 류석춘 연세대학교 교수 등을 “역사 왜곡이 너무나도 심각해 도저히 묵과할 수 없다”며 비난하고 명예훼손, 사자명예훼손 및 국가보안법 위반 등의 혐의로 형사 고발하겠다고 발표했다. 그에 대해 이영훈 전 교수 등은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들의 주장은 학문적 연구 결과이며 이설을 제창하는 사람들에게 공개 토론을 하자고 반복해 요구해 왔으나 학문적 토론을 통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역사 왜곡’으로 단정해 버리는 송 의원 등의 언동은 언론과 학문의 자유에 대한 중대한 침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2020년 7월 7일 옛 위안부 10명이 명예훼손과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반일 종족주의'의 저자 이영훈, 주익종, 이우연 등 세 사람과 류석춘 연세대학교 교수 네 사람을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 형사 고소했다. 고소인은 옛 위안부로써 최근 정대협을 강하게 비판해 화제가 된 이용수 씨와 옛 위안부 유족 3명, 전시 노동자 유족 3명, 옛 해군 군속으로서 중국에서 전사해 야스쿠니신사에 모셔진 고 이화형 씨의 유족 1명이다.[12]

'반일 종족주의'의 저자들이 옛 위안부나 전시 노동자의 유족들로부터 형사 고소당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 있는 일이다. 제3자에 의한 고발과 달리, 명예를 훼손됐다고 주장하는 당사자가 하는 ‘고소’이기 때문에 검찰이 수사를 개시할 것임이 분명하다. 특히 고소장에 제출된 서울중앙지검은 올해(2021년) 1월 지검장 이하 간부가 친정권 성향의 검사들로 대거 교체돼 이제껏 진행된 문재인 정권 측근들에 대한 수사를 방해하는 편향적 인사라는 비판을 받아 왔다. 그런 서울중앙지검이 고소장을 접수한 만큼, 형사사건으로서 기소할 가능성은 크다.

이영훈 교수 등은 고소 후 바로 경찰로 불려가 피의자 조사를 받았으나, 본고를 집필하는 2021년 2월 초 현재 기소 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단계다. 즉, 아직 형사사건의 피고로서 법정으로 불려나올 가능성이 남아 있다.

또 2020년 10월 29일, 서울서부지검은 류석춘 전 연세대 교수(2020년 8월 정년퇴직)를 명예훼손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13]

(9) 보수 세력의 침묵, 주류 학계의 무시(保守勢力の沈黙、主流学界の無視)

이영훈 교수 등이 영향을 주고자 한 한국의 전통적 보수 세력, 즉 한국의 보수신문, 보수야당은, 좌파로부터 ‘친일파’로 몰려 공격당하는 것을 두려워한 탓인지, ‘반일 종족주의’를 무시하든지 또는 좌파의 공격의 편승해서는 책을 읽지도 않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또 한국 학계의 주류는 실증적인 이 책의 통설 비판에 대해서는 학술적 논쟁을 피하며 무시했다. 그리고 주류 학회의 주변에서 정치 운동에 가까운 활동 중인 반일 학자들이 감정적인 비판을 반복했다. 수차례 이 책을 비판하는 세미나가 열렸지만, 이영훈 교수 등은 언제나 토론에 응하겠다고 하고 있음에도 세미나 자리에 초대받는 일은 없었다.

그런 비판에 대해 이영훈 교수 등은 2020년 5월에는 ‘반일 종족주의와의 투쟁’이라는 두 번째 책을 출간하고 실증적으로 비판에 대한 반론을 했다.

이상에서 본 것과 같이 2019년 7월 ‘반일 종족주의’의 출판은 2018년 한국 대법원의 전시 노동자 재판의 부당 판결이 계기가 그 계기가 됐으며, 당시까지 커다란 금기 아래 실증적 연구를 쌓아온 이영훈 교수와 그 제자들이 작정하고서 거센 비판을 받는 것을 각오한 용기 있는 행동이었다. 문재인 정권이 사실에 반하는 반일 역사 캠페인을 전개하고 일한(日韓)관계 뿐만 아니라 한국이라는 국가 그 자체를 파괴하려고 한다는 강한 위기감이 그 행동의 배경이 됐다. 그 점에 대해 필자는 ‘역사인식문제연구(歴史認識問題研究)’ 제6호에 게재한 졸고 ‘대한민국 망국의 위기를 고발하는 우국의 책(大韓民国の亡国の危機を告発する憂国の書)’에서 상세히 다뤘다.



2. ‘안티 반일’ 운동의 탄생과 활발한 활동(「アンチ反日」運動の誕生と活発な活動)

(1) 2019년의 ‘안티 반일’ 시위(2019年のアンチ反日デモ)

'반일 종족주의'의 출판과 더불어 2019년에는 또 한 가지 놓칠 수 없는 ‘안티 반일’의 거대한 움직임이 있었다. 위안부 동상과 ‘징용공’ 동상의 철거를 요구하는 거리 행동이 시작된 것이다.

그 단서(端緖)는 2019년 문재인 정권에 의한 노골적인 반일 캠페인에 대해 문재인 정권에 반대하는 재야 보수 세력이 거리에서 행한 대규모 집회와 시위였다.

2019년 8월 15일 오후, 비가 몰아쳐 내리는 가운데 약 10만 명이 운집한 반 문재인 집회가 진행됐다. 거기에서 문재인 정권의 반일(反日)을 공연히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반 문재인 집회 참가자 가운데 대다수는 한국의 국기인 태극기를 들고 있었다. 또 그보다 수는 적지만 눈에 띈 것은 한국의 동맹국인 미국의 국기다. 그러나 그 가운데에는 한 손에는 태극기, 다른 한 손에는 일장기를 든 참가자도 있었다. 같은 날 밤, 좌파가 반일-반아베 집회를 벌였으나, 면적으로 계산해 봤을 때 추정 참가자 수는 약 5만 명으로, 반 문재인 집회의 절반에밖에 이르지 않았다.

8월 15일이라고 하는, 일본의 통치로부터 해방됐음을 기념하는 기념일임에도 불구하고, 그날의 반 문재인 집회에서는 반일 슬로건은 일절 나오지 않았다. 그뿐만 아니라 연사 중 한 사람으로서 연단에서 마이크를 잡은 보수파의 리더 조갑제 씨는 다음과 같은 ‘안티 반일’ 연설을 했다.

“친북 반일은 애국입니까? 여러분, 반일은 애국입니까?(집회 참가자들: 아닙니다!)일본은 적국입니까? (아닙니다!)친북이 애국입니까? (아닙니다!)북한은 우리 편입니까? (아닙니다!)친북 반일은 반역입니다! (반역이다!)친북 반일은 반역입니다! (반역이다!)친북 반일인 문재인 대통령을 탄핵해야 합니다”

“대한민국은 좋은 나라! (대한민국은 좋은 나라!)김정은은 나쁜 놈! (김정은은 나쁜 놈!)김정은 편을 드는 놈은 더 나쁜 놈! (더 나쁜 놈!)미국과 일본은 우리의 친구! (친구!)단결! (단결!)
싸우자! (싸우자!)
이기자! (이기자!)”[14]


(2) 2017년 인터넷에서 시작된 ‘안티 반일’ 활동(2017年にネット上で始まったアンチ反日活動)

마찬가지로 2019년에 뜻을 같이하는 소수의 학자, 변호사, 노동운동가 등이 반일의 상징으로 서울의 일본대사관이나 부산의 일본총영사관앞과 같은 곳에 세워진 위안부 동상, 전시 노동자상의 철거를 요구하는 가두집회나 시위를 시작했다. ‘안티 반일’을 목적으로 한 사상 최초의 가두집회와 시위였다.

그렇게 된 데에는 다음과 같은 경위가 있었다. 문재인 정권이 발족한 2017년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이라는 한국의 양대 노동조합 단체와 정대협과 민족문제연구소라는 양대 반일 운동 단체가 일제강제징용노동자동상건립추진위원회를 만들어 강제 징용 노동자 동상을 전국적으로 설치하겠다고 발표했다.

민주노총(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은 1995년 한국노총의 온건 노선에 반발한 과격한 노조들이 모여 비합법인 채로 발족하여 1999년 김대중 정권 시절에 합법화됐다. 박근혜 정권을 무너뜨린 촛불집회는 이런 민주노총이 전국에서 조직적으로 동원한 결과였다. 한국노총(한국노동조합총연맹)은 민주노총이 발족되기 전부터 공인된 노사정협의회에서 노사 협조 노선을 취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민주노총의 영향을 받아 계속해 과격하게 변모하고 있다.

정대협은 1990년 발족 이래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일본 측의 노력을 모조리 반대해 온 것으로 유명한 반일 운동 단체이다. 서울의 일본대사관 앞에 위안부 동상을 설치한 단체이기도 하다. 2018년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정의연)로 개칭했다.

민족문제연구소는 1991년에 설립된 민간 연구소로써, 창설 이래 ‘친일파’의 책임 추궁에 진력하면서 ‘친일인명사전’을 편찬하고, 최근에 이르러서는 일본통치시대에 만들어진 고등학교 교가 등을 대상으로 친일파가 만든 것이니 폐지하라는 압력을 넣는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 연구소야말로 친일파 청산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의 현대사는 오염됐다는 ‘반한사관’과 반일민족주의를 한국 사회에 퍼지게 하는 거점이다.

이영훈 교수의 제자로 '반일 종족주의'에서 전시 노동자 문제 부분을 집필한 이우연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그런 뉴스를 접하고, 징용공 동상이 또다른 위안부 동상이 될 것을 염려해 SNS상에서 ‘위안부와 노무 동원 노동자 동상 설치에 반대하는 모임’(이하 ‘동상 반대 모임’)을 결성했다.

2017년 8월 서울 용산역 앞에 처음 징용공 동상이 설치됐는데, ‘동상 반대 모임’은 이에 반대하는 성명을 냈다.

2018년 10월 30일에는 문제의 신닛테쓰스미킨(新日鉄住金)에 대한 손해배상판결이 한국 대법원에서 나왔다. 이우연 박사 등은 바로 항의 성명을 발표했다. 2019년에 들어서 문재인 정권이 반일 캠페인을 대대적으로 전개하자 그들은 동상에 반대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마찬가지로 SNS에서 ‘반일민족주의에 반대하는 모임’을 만들자고 호소했다. 그러자 불과 일주일만에 약 300명 가까이가 이 모임에 참가했다. 2018년 6월 단계에서 ‘동상 반대 모임’의 회원은 700여 명, ‘반일민족주의에 반대하는 모임’은 1,000여 명의 참가자가 모였다고 한다.

2019년 3월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한국 초등학교 6학년생용 국정 사회교과서에 조선인 징용 피해자라며 깡마르고 상반신은 아무 것도 입지 못한 남자들의 사진이 실렸다. 이제껏 한국에서 널리 퍼져 있던 사진이나, 이미 산케이신문의 2016년 4월 3일자 기사를 통해 조선인 징용공의 사진이 아니라는 점이 밝혀진 바 있다. 문제의 사진은 1926년 9월 9일, 아사히카와신문(旭川新聞)이 게재한 잔혹한 노동의 피해자들로써 경찰에 구조된 일본인들의 사진이었던 것이다.[15]



이우연 박사는 이런 가짜 사진이 교과서에 실려서는 안 된다며 비판을 하기 시작했다. ‘동상 반대 모임’과 ‘반일민족주의에 반대하는 모임’을 대표해 이우연 박사는 김기수 변호사, 최덕효 한국인권뉴스 대표와 함께 당시 야당인 자유한국당 소속 전희경 의원과 면담하고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요구했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이었던 전 의원이 교육부에 항의한 결과, 교육부도 가짜 사진이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교과서가 이미 학생들에게 배포돼 있으므로 일단 해당 사진에 스티커를 붙여서 보이지 않게 한다는 대책을 취했다.

이우연 박사 등의 고발과 교육부의 대책이 한국의 일부 매체를 통해 보도됨에 따라 부산의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의 위령비에 붙어 있던 동일 사진도 2019년 5월에 철거됐다. [16]

(3) 2019년, 부산과 서울에서 처음으로 거리 행동(2019年、釜山とソウルで初めての街頭行動)

인터넷상에서 결성된 이 두 개 단체는  ‘한국근현대사연구회’ 및 재야 역사교육자인 김병헌 씨가 이끌고 있던 ‘국사교과서연구소’와 합동으로 209년 5월 10일 부산의 일본총영사관 앞에 설치되려다가 경찰의 저지를 받고 설치 예정 장소로부터 조금 떨어진 곳에 방치되고 있는 징용공 동상 앞에서 “이 동상의 주인공은 조선인이 아니고 일본인”이라는 내용의 ‘안티 반일’ 옥외 집회를 개최했다. 그리고 2019년 6월 6일 오후 6시, 한국 서울의 중심지인 광화문광장에서 ‘위안부 동상과 노무동원 노동자 동상의 설치 반대 집회’가 열렸다. 주최자인 이우연 박사는 개회 인사에서 “오늘 서울에서 처음으로 반일민족주의에 반대하는 집회를 우리나라 한국 역사상 처음으로 열게 됐다는 사실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하고 큰 목소리로 말했다. [17] 

그 후 그들은 전국적으로 설치된 위안부 동상과 징용공 동상 등 반일 동상을 조사하고, 특히 징용공 동상에 대해 깡마른 모습을 한 동상의 주인공이 전시 동원된 조선인 노동자가 아니라 악덕 업자들에게 감시당하고 노예 노동을 강요당한 일본인 피해자들이라는 사실을 이유로 철거해야 한다고 고발하고 나섰다.

(4) 반일동상진실규명공동대책위원회 결성(反日銅像真実糾明共同対策委員会結成)

그들의 이 같은 활동에 대해 2019년 11월, 징용공 동상의 작가인 김운성·김서경 부부가 이우연 박사 등을 대상으로 명예훼손 혐의 민·형사 고소를 걸었다. 2019년 12월 2일에 피소된 이우연 박사, 최덕효 대표, 주동식 씨(지역평등시민연대 대표) 등은 ‘동상 반대 모임’에서 함께 활동해 온 김기수 변호사, 김병헌 씨 등과 ‘반일동상진실규명공동대책위원회’를 결성했다.[18]

여기에서 주목해야 하는 인물은 주동식, 최덕효 두 사람이다. 이 두 사람은 한국 좌파 운동가로 그쪽 세계에서는 유명한 이물이다. 또 두 사람 모두, 북한을 무조건적으로 지지하는 주체사상파(주사파·NL)이 아니라, 순수 마르크스-레닌주의파(PD)에 속해 있었다. 또 이우연 박사도 1980년대 순수 마르크스-레닌주의파 활동가였으나, 대학원에서 이영훈 교수의 지도를 받고 실증주의 역사학자로 변모했다.

주동식 씨는 폭력 혁명에 의해 사회주의 정부 수립을 목표로 하는 지하 혁명 조직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의 일원이었다.[19]

최덕효 씨는 교사 출신의 좌파 운동가로, 1985년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의 주모자로 체포돼 ‘민중교육지’ 사건 관련 교사로 사직하고 좌파 운동가가 됐다. 그후 집단사창가에 대한 박멸운동에 반대하며 사창 여성들을 지원하고 그들의 노조인 ‘민주성노동자연대’를 결성하는 데에 진력했다. 그 후 박유하 교수를 일시 지원하기도 했으나, 위안부를 국가와 남성으로부터 억압을 받았던 존재로 보는 페미니스트 박 교수와 위안부를 성노동자로 보는 최 씨는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결국 최 씨가 박 교수 지원에서 빠지게 된다. [20]

(5) 일본대사관 앞 ‘안티 반일’ 시위 개시(日本大使館前でのアンチ反日デモ開始)

‘반일동상진실규명공동대책위원회’는 2019년 12월 4일, 서울 일본대사관 앞에서 ‘위안부 동상 철거, 수요집회 중단’을 촉구하는 거리 행동을 시작했다.

실은 해당 장소는 1990년대 초부터 매주 수요일 정대협 등 반일 운동 단체가 위안부 문제를 주제로 반일 집회를 계속해 열어온 곳이며 반일 운동의 상징인 위안부 동상이 대사관 정문 바로 맞은편 도로 위에 설치돼 있다. 이우연 박사는 “드디어 한국 반일 운동의 총본산에 마주해야 할 때가 왔다”고 내게 말했고, 12월 4일부터 매주 ‘안티 반일’ 운동을 이어오고 있다. 2019년 12월 셋째 주 수요일인 12월 18일에는 괴한이 이우연 박사를 폭행하는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21]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우연 박사 등은 일본대사관 앞 ‘안티 반일’ 집회를 멈추지 않았다. 이하는 2019년 12월 4일 발표된 ‘위안부 동상 철거와 수요집회의 중단을 요구하는 성명’ 제하 역사적 문서로서 전역(全譯)하기로 한다.[22]

역사왜곡 반일조장 위안부상 철거하라,
역사왜곡 반일조장 수요집회 중단하라
(慰安婦像撤去と水曜集会中断を求める声明)

위안부 동상은 역사를 왜곡하고 한일관계를 악화시킵니다. 위안부 동상은 ‘강제로 끌려간 소녀’라는 왜곡된 이미지를 만들고 국민들에게 이를 주입·전파합니다. 그러나 실제 위안부는 10대 초의 소녀가 아니라, 평균적으로 20대 중반의 성인이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 취업사기나 인신매매를 통해 위안부가 되었습니다. 그들을 위안부로 만든 주역들은 일본 관헌이 아니라, 친인척과 가까운 조선인 지인들이었습니다.

수요집회에 참여한 어린 초등학교 소녀들이 마이크를 잡고 “나와 같은 나이의 소녀들이 일본에 의해 끌려갔다”고 말하는 것은 위안부 동상이 얼마나 우리나라 국민들 특히 정신적 신체적 정서적으로 미성숙한 어린 학생들에게까지 심각하게 왜곡된 이미지를 심어주는지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위안부 동상은, 그림이나 영화 등 2차 창작물들과 결합하면서 왜곡된 정서와 역사인식을 폭발적으로 전염시키고 있습니다. 위안부가 일본 관헌에 의해 강제로 전쟁터로 끌려간 존재라는 이미지를 형성하고, 특정한 정치집단의 불순한 정치 메시지를 선전하는 데 악용되고 있습니다. 

위안부 동상은 한국인들이 숭배하는 우상이 되어버렸습니다. 수많은 공공장소에 전시해 무차별 대중들에게 억지로 정서적 공감을 강요합니다. 겨울이면 목도리와 장갑을 끼워주고 두꺼운 숄을 걸쳐주는 것도 이런 정서적 강요의 일환입니다. 심지어 위안부 형상을 버스에 싣고 시내를 운행합니다. 

지적 정서적으로 성숙한 어른들이 자기 부모에게도 올리지 않는 큰절을 위안부 동상에게 올립니다. 대한민국은 조선시대보다 더 후퇴한 우상숭배 신정국가로 후퇴하고 있습니다. 위안부 동상은 그러헌 퇴행의 가장 선명한 상징입니다.

구 일본대사관 앞에 세워져있는 위안부 동상은 불법 조형물입니다. 2011년 설치 당시에 정대협(현 정의기억연대)는 관할 구청의 허가를 얻지 않고 제멋대로 동상을 설치하였습니다. 정부는 반일종족주의에 편승하거나 그를 조장하는 대중추수적·인기영합적 태도로 이 동상의 설치를 추인하고 있습니다.

시민단체들과 대학생들이 2016년에 부산 일본총영사관 앞에 기습적으로 설치한 위안부 동상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들 동상은 ‘외교관계에 관한 빈 조약’ 22조에서 규정한 “공관의 안녕의 방해 또는 공관의 위엄의 침해”에 해당하는 설치물들입니다.

1992년부터 30년 가까이 열리고 있는 수요집회도 역사를 왜곡하고 한일관계를 악화시킵니다. 이 집회는 동상을 숭배하는 살풀이 모임이며, 역사를 왜곡하는 정치집회입니다. 전교조 소속 등 일부 교사들은 ‘현장학습’이라는 미명 아래, 학부모들의 무관심을 이용해 순진한 학생들을 왜곡된 정치·역사의식을 주입하는 집회에 이끌고 있습니다. 중고생만 아니라 저학년 초등학교 어린이조차 동원대상입니다.

수요집회는 사실상 불법집회입니다. ‘외교관계에 관한 빈 협약’에 따라 외교공관 100미터 이내 지역의 시위는 금지됩니다. 그러나 수요집회는 기자회견의 형식으로 매주 개최되고 있습니다. 온갖 꼼수를 동원해 한일관계를 악화시키고 대한민국의 안보와 국제적 위상을 추락·훼손시키는 게 그 진짜 의도 아닌지 의심할 수밖에 없습니다. 

위안부 동상은 철거되어야 하고, 수요집회는 중단되어야합니다.

우리는 우리의 정당한 요구가 실현되는 그날까지 물러서지 않고 싸울 것입니다.

2019년 12월 4일
위안부와 노무동원노동자 동상설치를 반대하는 모임 
반일민족주의를 반대하는 모임 
한국근현대사연구회 
국사교과서연구소

(6) ‘미디어워치’ 대표 황의원 씨의 이용수 증언 비판(「メディア・ウォッチ」代表の黃意元氏の李容洙証言批判)

'반일 종족주의'의 출판과 이우연 박사 등의 용기 있는 행동으로 한국 사회를 뒤덮고 있던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이론(異論) 불허’의 거대한 금기가 드디어 깨지기 시작했다. 실은 이 같은 두 개의 움직임과는 별개로 보수 인터넷 뉴스 매체인 ‘미디어워치’의 대표 황의원 씨의 언론인으로서의 고발도 있었다. 1977년생인 황의원 씨는 젊은 세대의 보수 논객이다.

황 씨는 2014년 2월 21일에 ‘미디어워치’ 사이트에 정대협과 북한 간의 관계를 고발하는 기사 ‘종북’ 의혹 제기된 위안부 관련 단체, 정대협[23]을 썼다.

황 씨가 2020년 필자에게 전해준 바에 따르면 그 시점에서도 위안부 문제 그 자체를 비판적으로 다루는 것은 터부가 커서, 우선 정대협과 북조선 간의 관계를 문제 삼았었는데, 이런 비판에도 용기가 필요했기 때문에 처음 기사 발표 때에는 본명이 아닌 가명(여성 기자의 이름)을 사용했다고 한다. 실제로 2016년 해당 기사에 대해 정대협이 명예훼손으로 민사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하지만 황 씨는 법정에서 다수의 증거를 두고 싸워 2020년 2월, 대법원에서 최종 승소했다.

정대협과의 싸움에서 황 씨는 위안부 문제 그 자체를 다룰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그를 위해서는 옛 위안부들의 증언을 비판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봤다. 이에 2018년 4월 14일, 장문의 ‘‘종북’ 문재인을 위한 ‘거짓말쟁이 할머니’, 일본군 위안부 이용수‘라는 기사를 ‘미디어워치’ 웹사이트에 게재했다.[24]

역사인식문제연구 제7호에 게재한 졸고 ‘한국 위안부 운동의 ‘내분’: 옛 위안부의 정대협 비판이 가지는 의미(韓国の慰安婦運動の「内紛」- 元慰安婦の挺対協批判の持つ意味)‘에서 상세하게 적은 바와 같이, 황 씨의 이용수 증언 검증이 2020년 5월, 이용수 씨의 정대협 비판에 있어 방아쇠가 됐다.

(7) 무너진 위안부 금기(破られた慰安婦タブー)

이용수 씨에 의한 정대협 비판이 계기가 돼서 한국 사회를 지배해 온 정대협 비판 금기가 없어지며 조선일보, 동아일보와 같은 전통 보수 신문이나, 제1야당인 국민의힘도 정대협 비판에 가세했다. 그러나 금기가 사라진 것은 정대협에 대한 비판뿐이고, 위안부들에 대한 비판은 여전히 금기로 남아 있다.

다만 반일동상진실규명공동대책위원회나 거기에서 갈라져 나온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대표 김병헌)같은 시민단체들이 위안부는 공창제도의 일환이며 성노예가 아니며 일본 관헌에 의한 강제연행도 없었다는, 역사적 사실에 기반한 비판을 하고 나서면서, 또 이와 같은 입장에서 옛 위안부들의 증언이 신빙성이 없는 것이라는 주장도 당당히 하기 시작했다.



특히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은 2020년 10월 5일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 옥외 기자회견을 열고 옛 위안부들이 일본군에 의해 강제로 위안부로 끌려갔다는 사실은 증명된 바 없으므로 옛 위안부들에 대한 지원의 근거인 ‘일제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보호·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률’(약칭 ‘위안부피해자법’)을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옛 위안부들이 처음 피해를 주장하고 나선 당시의 증언에서는 가난 때문에 매춘굴로 팔려갔다고 증언하고 있다면서, 옛 위안부들의 증언이 바뀌어 나아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들이 강제연행당했다는 증언은 거짓이라고 공개적으로 주장하고 있다. [25]


끝으로(おわりに)

이상에서 개관한 바와 같이 한국에서의 ‘안티 반일’ 움직임은 문재인 정권이 들어선 2017년경부터 표면화돼 2018년 대법원의 전시 노동자 판결과 2019년 여름 문재인 정권의 반일 캠페인을 계기로 본격화됐다. 강한 위기감을 가진 소수의 용기 있는 학자들이 그간의 연구 성과를 알기 쉽게 정리한 계몽 서적 '반일 종족주의'를 출판함으로써 그 학술적 토대를 제공했다. 그를 발판 삼아 날카로운 학자들과 보수 및 일부 좌파 활동가들이 거리로 나와 ‘안티 반일’ 시위를 활발하게 전개함으로써 본격화된 것이다.

그러나 문재인 정권 비판의 주축이 돼야 할 전통적 보수 세력, 보수 신문과 보수 야당은 역사 문제에 발을 들이미는 것을 회피하면서 정권의 반일 정책에 영합하고 있다. 본고 서두에서 밝힌 바와 같이 한국의 ‘안티 반일’ 활동가들은 일본의 보수파와의 교류를 적극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국 사회의 정신 혁명 운동을 이어나가고자 한다고 말한다. 그 움직임에는 적극적으로 응하면서 한국 사회의 변화를 계속해 지켜보고자 한다. 끝.


주(注)

[1] ‘서울대학교 교수가 ‘위안부 성노예설’을 전면 부정(ソウル大学教授が「慰安婦性奴隷説」を全否定)’ ‘절망의 한국, 비극의 박근혜(絶望の韓国、悲劇の朴槿惠)’(겟칸하나다(月刊Hanada) 셀렉션) 아스카신샤(飛鳥新社) 2018년 4월 9일, ‘한국인 교수가 반일 운동을 철저 비판(韓国人教授が反日韓国を徹底批判)’ ‘Hanada’ 2019년 5월호, ‘월보 조선반도(月報 朝鮮半島)(제24회)’ ‘한국에도 있는 ‘거짓말을 혐오하는’ 양식파(韓国にもいる「噓を嫌う」良識派)’ ‘WiLL’ 2019년 8월호, ‘월보 조선반도(제25회)’ ‘한국인은 어째서 거짓말쟁일까(韓国人はなぜウソつきなのか)’ ‘WiLL’ 2019년 9월호, ‘‘반일’의 본질을 폭로한다: 안티 반일과의 사상적 내전(「反日」の本質を暴く:アンチ反日との思想的内戦)’ ‘세이론(正論)’ 2019년 10월호, ‘월보 조선반도(제26회)‘ ‘한국의 양식파, 목숨 건 싸움(韓国の良識派、命懸けの戦い)’ ‘WiLL’ 2019년 10월호, ‘대한민국 망국의 위기를 고발하는 우국의 책(大韓民国の亡国の危機を告発する憂国の書)’(‘특집 '반일 종족주의' 철저 해부(特集『反日種族主義』の徹 底解剖)’ ‘역사인식문제연구(歴史認識問題研究)’ 6호, ‘한국에서 퍼지는 ‘안티 반일’(韓国で広がる「アンチ反日」)’ ‘세이론’ 2020년 1월호, ‘거짓의 역사관이 파괴하는 한국의 자유민주주의(嘘の歴 史観が破壊する韓国の自由民主主義)’ ‘세이론’ 2020년 6월호, ‘월보 조선반도(제39회)’ ‘'반일 종족주의'의 저자를 사형에 처해라!?(『反日種族 主義』の著者を死刑に!?)’ ‘WiLL’ 2020년 12월호, ‘월보 조선반도(제41회)’ ‘한국 낭만파, 진실(금기)에 도전하다(韓国良識派真実(タブー) への挑戦)’ ‘WiLL’ 2021년 2월호, ‘월보 조선반도(제42회)’ ‘한국의 안티 반일과 노동당 대회(韓国のアンチ反日と労働党大会)’ ‘WiLL’ 2021년 3월호 등.

[2] 1987년 안병직 서울대학교 교수, 이대근 성균관대학교 교수가 창설한 낙성대경제연구소가 식민지 근대화론 연구의 중심이 됐다. 이영훈 교수는 안병직 교수의 제자로서 낙성대경제연구소의 핵심 구성원. 식민지근대화론의 초기 연구는 안병직 편저 ‘근대 조선의 경제 구조’(한국어판) 비봉출판사 1988년, 나카무라 데쓰(中村哲)·안병직 편저 ‘근대 조선 공업화 연구(近代朝鮮工業化の研究)’ 니혼효론샤(日本評論社) 1993년 등을 참조.

[3] 이영훈 교수는 고등학생용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의 좌편향 문제가 심각하다며 2005년 교과서포럼이라는 단체를 결성하고 해당 단체의 공동 대표가 된 후 2006년 ‘대안교과서’라는 제목의 고등학생용 한국 근현대사 교재를 공동 집필, 출판했다. 또 2006년에 몇 사람의 우파 학자들과 함께 당시의 주류 좌파 역사관을 비판하는 실증논문집 ‘해방전후사의 재인식’을 편집, 출판했다. 그리고 그 내용을 일반 대중용으로 정리한 ‘대한민국 이야기’를 출판하고, 계몽 활동에 나섰다. ‘대한민국 이야기’는 2009년 일본 분게이슌주(문예춘수)사가 일본어판으로 출판하기도 했다.

[4] '반일 종족주의'를 간행하기까지 자신이 그 같은 금기에 속박돼 있었던 점에 대해 이영훈 교수는 다음과 같이 솔직하게 인정하고 있다.“2019년 7월에 간행된 '반일 종족주의'는 공동저자 중 한 사람인 내게 있어 ‘자유인 선언’과 같은 것이었습니다. 한국의 종족주의가 강요한 자기 검열에 의해 실로 긴 시간 하지 못해 온 이야기를 전부 깨끗하게 밝힐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1편에서 2편으로 집필해 나아가면서, 어떤 금기도 두지 않겠노라 하고 굳게 결심했습니다. 그리고 거대한 해방감을 맛보게 됐습니다.”(이영훈 교수 편저 '반일 종족주의와의 투쟁 일본어판 4쪽.

[5] ‘대한민국 이야기’ 일본어판 57쪽.

[6] 해당 유튜브 방송의 내용에 대해서는 앞서 게재한 졸고 서울대학교 교수가 ‘위안부 성노예설’을 전면 부정' 참조.

[7] 꽤 길고 또 진중하게 말했다. 해당 부분의 졸역은 아래와 같다.

“이와 같은 상태의 위안소 여성들을 어떻게 규정하면 좋을까.  매우 어렵고 논쟁적이고 정치적인 문제입니다. 이 문제에서 가장 유명한 일본의 연구자인 요시미 요시아키라는 사람은 성노예라고 말했습니다. 한국의 대다수 학자들도 성노예설을 추종하고 있습니다. 저도 2007년 요시미 요시아키라는 사람의 논문과 책을 읽고 ‘과연 그렇구나’ 하고 생각하고 대한민국 이야기'라는 책에서 성노예설을 지지한 적이 있습니다. 그들은 이동의 자유가 없었고 감금돼 있었으며, 일상적으로 구타와 폭력을 당했고, 거의 보수를 받지 못했다는 것이 노예의 증거가 됩니다. 요시미 요시아키 씨가 성노예설을 주장할 때 가장 중시한 것이 이동과 신체의 자유가 없었다는 점으로서, 원하는대로 왕래하는 것이 불가능했다며 몇 가지 사례를 이야기했습니다.

그러나 제가 다양한 사료를 검토해 본 결과, 그 정도의 신체적 구속은 공창 제도 하에서는 일상적으로 있었던 것 아닐까, 앞서 제가 말씀 드린 바와 같이, 창기들은 유곽(貸座敷) 밖으로 나가 생활하는 것이 불가능했고 그 지역을 이탈하는 것도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는데, 그게 직업에 의한 어떤 특수한 제약 그 이상의 것을 넘어서는 것이었을까 하는 의문을 갖게 됐습니다. 

문옥주 씨의 수기를 읽어 봐도 한 달에 두 차례, 제가 소개한 위안소 관리인의 일기에서도 한 달에 두 차례는 휴일이 있었습니다. 휴일은 자유롭게 외출이 가능했습니다. 문옥주 씨는 나는 지금도 눈을 감으면 랑군 시내의 뒷골목을 기억해 낼 정도라고 말했습니다. 이국의 도시에서 다양한 여흥을 즐긴 것입니다. 근무 중 이탈을 불가능했지만, 휴일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계약기간 중에는 자유롭게 이탈하지 못했다는 정도의 인신적 구속이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계약기간이 끝나거나 일정한 조건이 붙을 경우 폐업 신고를 하는 사람도 많이 있었습니다.

다음으로 보수를 받지 못 했다고 하는 점입니다만, 이는 공창제의 기본 취지와 부합하지 않습니다.  군의 사기와 관련된 문제라는 점에서, 위안소 내에서 이뤄지는 사적 폭력을 군은 인정할 수 없었습니다. 전쟁이라는 상황 속에서 사적 폭력이 쉽게 용인되는 분위기가 아니었다는 사실을 저는 말하고 싶습니다. 위안소 일기 어디를 봐도 사적 폭력의 행사는 없습니다. 문옥주 씨의 자서전에서도 고용주에게 맞았다든지 전차금 때문에 괴롭힘을 당했다든지 하는 이야기는 없습니다. 

극도의 고위험, 고수익 산업이었던 탓에, 200엔, 300엔, 1,000엔 정도의 전차금은 인신을 구속할 멍에가 되기 어려웠음은 쉽게 추론할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일기의 송금 기록에서도 어떤 사람은 1만 2,000엔을 집으로 부친 사실이 확인되고, 문옥주 씨는 5,000엔을 집으로 송금하고 2만 5,000엔을 군사저금으로 갖고 있었습니다. 이런 고위험, 고수익 산업에서 채무 노예적인 상황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물론 개인에 따라서는 그런 상황이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일반화할 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저는 어떤 의미에서는 노예 전문가입니다. 조선의 노비에 대해 연구해 왔기 때문입니다. 노예에 관한 책을 많이 읽었습니다. 노예의 본질이 뭐냐고 한다면 ‘법적 능력의 결여’입니다. 법적인격의 부정, 인간이 아닌 것입니다. 맞아도 호소할 수 없고, 부친이나 모친이 맞아죽어도 고소할 능력도 없습니다.  미국의 노예 시대에는 노예가 살인 현장을 목격하고도 법정에서 증언하는 것이 불가능했습니다. 인간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어떤 백인이 범죄를 저지르는 것을 봤다고 말해도, 그 증언이 법정에서 채택되는 일은 없었습니다. 이처럼 노예란, 법적 능력이 결여된 상태, 법적 능력을 인정하는 사회적 인격이 부정당하는 상태, 그것을 노예라고 하는 것입니다.

위안부들에게 그런 이야기를 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처한 입장이 매우 약했다는 점은 확실하지만, 법적 능력이 박탈당해 무권리 상태였다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문옥주 씨의 경우, 저는 지금 읽고도 놀랐습니다만, 위안소에 온 일본인 병사가 난폭하게 행동했다는 것입니다. 그 사람은 아주 정도가 지나친 사람으로, 일본도를 빼어내 들고 위협을 가하므로, 그에 맞섰다는 것입니다. 문옥주 씨는 대단한 인물입니다. 그 사람에게 맞서서 일본도를 빼앗고는 역으로 그 병사를 찔렀습니다. 가슴에 칼을 맞은 그 병사는 죽고 말았습니다. 그러자 군사법정이 열렸습니다. 문옥주 씨 본인은 군속이라고 주장하므로 군속의 자격으로 재판이 열린 것입니다. 문옥주 씨는 어떤 사람이 처음 난폭하게 굴고 위안소에 와서 일본도를 휘두르는 게 잘 된 일이냐고 따지면서 자신은 정당방위를 했다고 주장해 무죄 선고를 받았습니다. 

제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진짜 의미의 노예라면 재판을 받을 권리조차 없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재판을 받고 정당방위를 인정받고 군사재판에서 무죄 판결이 내려졌다는 사실로 인해 저는 성노예설에 대해 여러 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봅니다. 노예라는 말은 심각한 오해를 불러일으키기 쉽습니다. 때문에 저는 조선시대의 노비에 대해 미국 학자들이 노예라는 말을 사용하는 데 대해 상당한 유보를 해야 한다고 주장을 많이 해 온 사람입니다.  성노예란 매우 선정적인 표현입니다만, 엄격한 의미에서 학술적인 요건을 갖추고 있는지에 대해 저는 회의적입니다.”


[8] 이영훈 교수는 이승만학당 공식 웹사이트에 게재한 ‘이승만학당 교장의 인사’에서 다음과 같이 설립 목적을 말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자유인의 공화국이다. 해방 후 많은 사람이 좌우합작을 해서라도 통일정부를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승만 대통령은 그에 반대하였다. 공산주의와 타협하면 머잖아 공산주의의 나라가 되는 것은 세계 여러 나라의 역사가 증명하고 있다.

이승만 대통령이 없었으면 대한민국은 생기지 않거나 다른 나라가 되었을 것이다. 이승만 대통령은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국가의 기틀을 잡았다. 국민 직선에 의한 대통령 중심제 정부형태의 수립, 농지개혁의 실시, 공산 침략전쟁의 방위, 한미군사동맹의 체결, 국가경제 기초공업의 건설 등, 그의 건국 공적은 청사에 길이 빛난다.

그럼에도 우리 국민들의 그에 대한 평가는 인색하다. 우리 역사의 진면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가운데 많은 오해와 편견이 무방비 상태로 내려왔기 때문이다. 그래서는 자유인의 공화국으로서 대한민국의 장래도 밝지 않다. 본 학당은 이승만 대통령의 정치철학, 독립운동, 건국업적을 올바로 인식하고 그것을 널리 국민적 교양으로 전파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자유민주의 시민이라면 누구나 학당의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9] 이승만학당의 학훈.
1. 우리는 자유롭고 독립적인 개인이다.
2. 대한민국은 자유인의 공화국이다.
3. 우리는 자유통상과 영구평화의 세계를 지향한다.
4. 우리는 거짓을 배격하며 명리에 현혹되지 않는다.

[10] 30회 강의의 제목과 담당자를 소개하겠다.
1. “반일종족주의 타파 시리즈를 시작하면서” 이영훈, 2018. 12. 10.
2. “거짓의 국민, 거짓의 정치, 거짓의 판결” 이영훈
3. “쇠말뚝 소동” 김용삼
4. “강제 연행의 신화” 이우연
5. “과연 강제노동이었을까” 이우연
6. “중앙청 해체의 진실: 대한민국의 역사를 지우다” 김용삼
7. “조선인 노동자 임금 차별의 진실” 이우연
8. “황당무계 ‘아리랑’” 이영훈
9. “학도지원병, 기억과 망각의 정치사” 정안기
10. “식량을 수탈했다?” 김낙년
11. “육군특별지원병, 그들은 누구인가?” 정안기
12. “일본의 식민지배 공식” 김낙년
13. “한 손에는 권총을, 다른 손에는 측량기를?” 이영훈
14. “처음부터 청구할 것이 거의 없었다: 청구권 협정의 진실” 주익종
15. “후안무치의 어리석음, 한일회담 결사 반대” 주익종
16. “망국의 암군이 계몽군주로 탈바꿈하다” 김용삼
17. “누구를 위한 징병인가” 정안기
18. “‘을사오적’ 이완용을 위한 변명” 김용삼
19. “Never ending strogy: ‘배상! 배상! 배상!’” 주익종
20. “대한민국의 건군, 그 불편한 진실!” 정안기
21. “누구를 위한 독립기념관인가” 김용삼
22. “날조된 김일성 신화와 진실(1)” 김용삼
23. “날조된 김일성 신화와 진실(2)” 김용삼
24. “친일청산이라는 사기극” 주익종
25. “야스쿠니, 잠들 수 없는 영령들” 정안기
26. “백두산 신화의 내막” 이영훈
27. “독도, 반일종족주의의 최고 상징” 이영훈
28. “반일종족주의의 신학” 이영훈
29. “대한민국의 해체, 반일종족주의의 응보” 이영훈
30. “종강: 시청과 댓글에 감사” 이영훈, 2019. 3. 15.

[11] 조정래 씨는 1980년대 태백산맥이라는, 일본통치의 종언부터 조선전쟁(한국전쟁)까지의 시기를 다룬, 전 10권 현대사 대하소설을 써서 합계 700만 부나 팔리는 대베스트셀러 작가가 됐다. 1980년대 한국에서 대학에 다닌 이들 대다수가 이 소설을 읽었다. 이를 읽고 반공의식을 버린 이들도 많았다. 조정래 씨는 건국 직후 한국을 전복하기 위해 무장 봉기를 일으킨 공산주의 게릴라들의 활동을 동정적으로 묘사함으로써 물의를 일으켰다는 이유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조사를 받기도 했다. 그후 조정래 씨는 일본통치시대를 무대로 한 전 9권의 대하소설 ‘아리랑’을 썼고, 이 책도 350만 부가 팔리며 베스트셀러가 됐다. 그러나 ‘아리랑’에는 일본 경찰이 재판도 없이 죄를 묻고 공연히 조선인을 사살하는 등 황당무계한 반일 서술이 많다. 이영훈 전 교수는 이를 두고 “광기 어린 증오의 역사 소설” “날조” 등의 표현으로 엄중한 비판을 했다.

[12] 60쪽 이상이 되는 두꺼운 고소장에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의 이름이 2개소 등장한다. 명예훼손에 해당하는 이영훈 씨의 주장을 정리한 부분으로, 위안부에 관한 기술과 전시 노동자에 관한 기술 가운데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위안부는 일본 정부 당국의 강제 모집이 없었다는 사실을 전제로 한 표현이며... 이들 내용은 하타 이쿠히코나 일본의 니시오카 쓰토무와 같은, 대표적인 우파 논객들이 해온 주장이고, 위안부 모집 과정에서 강제 연행이나 취업 사기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 책임은 모집업자에게 있다는 논리는 일본 우파 논객들의 전유물입니다. 즉, 피고소인들은 일본의 우파 논객들이 즐겨 사용하는 논리를 그대로 차용해서 자신의 저서에서 위안부 연행의 역사적 사실에 관한 허위 사실을 기술했다는 것입니다.”


“피고소인2 이우연은 실제로 조선인에 대한 강제징용이 실시된 시기는 1944년 9월부터 1945년 4월까지 약 8개월에 불과하고, 1939년 9월부터 실시된 ‘모집’과 그 후 이어진 ‘관알선’은 강제연행이 아니고 조선인들이 자발적으로 참가한 일본행이었다고 하는 일본의 우파 논객 니시오카 쓰토무의 강제연행허구론의 내용을 그대로 수용했습니다.”


여기에서 강조하지만, 이영훈 박사의 위안부에 관한 체계적이며 실증적인 연구로부터 필자가 많이 배운 것이지 필자의 연구를 이영훈 박사 등이 차용한 것은 사실이 아니고, 전시 노무자에 관해서도, 필자가 이우연 박사와 긴밀한 실증연구로부터 많은 것을 배운 것이지 그 반대는 사실이 아니다. 그런데다가 여기에 적혀 있는 위안부와 전시 노동자에 관한 사실의 기술은 허위라고 바로 단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필자는 이 기술이 물론 진실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나, 적어도 몇몇 학문상의 대립하는 학설의 하나임은 분명하다. 그것을 책에 쓰는 게 형사 처벌의 대상이 된다면 학문의 자유는 없어지고 만다.


[13] 류석춘 ‘서울서부지방검찰청의 공소장을 받고서(ソウル西部地方検察庁の起訴状を受けて)’, ‘겟칸Hanada플러스’ 2021년 1월 8일 공개,https://hanada.plus.jp/articles/591

[14] 과거 게재한 졸고 ‘세이론’ 2019년 10월호.

[15] ‘세계유산등록, 한국 민간 단체가 날조 자료로 일본의 등록을 방해... 일본인 사진을 ‘강제연행’으로 악용(世界遺産登録,韓国民間団体が捏造資料で日本の登録を妨害 日本人写真「強制連行」として悪 用) 산케이신문(産経新聞) 2016년 4월 3일.

[16] 니시오카 쓰토무가 이우연 박사로부터 청취,  관계 없는 사진을 ‘징용공’이라고... 한국, 초등학교 6학년 사회교과서에(無関係写真を「徴用工」 韓国、小6社会教科書に) 산케이신문』 2019년 3월 20일, 한국교과서의 ‘징용공 사진’ 정정... 잘못 인정하다(韓国教科書の「徴用工写真」訂正へ 誤り認める) 산케이신문 2019년 3월 22일.

[17] 졸고 ‘반일민족주의에 반대하는 첫 서울 가두집회(反日民族主義に反対する初めてのソウル街頭集会)’ ‘역사인식문제연구’ 제5호 2019년 9월 19일

[18] ‘“역사 왜곡 반일 동상 설치 중단하라”... 반일동상 진실규명 공대위 기자회견’ ‘중앙일보’ 2019년 12월 3일.

[19] https://namu.wiki/w/주동식(정치인)#s-3.4 2021년 2월 3일 열람.

[20] ‘최덕효 반일동상진실규명공동대책위원회·공동대표 인터뷰’ ‘펜앤드마이크TV’ 2020년 3월 1일https://www.youtube.com/watch?v=c4uDBnN-eTI&fbclid=IwAR2I9o63QvBdpJEZMJGe5RRoyh CB3liD9wBA30VA5PJNMWIz_BUp-S90Wd4  2021년 2월 3일 열람.

[21] https://jinf.jp/feedback/archives/28349 2021년 2월 3일 열람.

[22] 이우연 박사로부터 제공 받은 성명을 니시오카가 전역.


[24] 황의원·니시오카 쓰토무(번역·해설) ‘젊은 한국인이 쓴 위안부 증언의 변천(若き韓国人が書いた慰安婦証言の変転)’ ‘월간 세이론’ 2020년 8월호.

[25] 졸고 ‘한국에서도 까발려지기 시작한 위안부 문제의 허구(韓国でも暴かれ始めた慰安婦問題の虚構)’ ‘국기연 논단’ 2020년 5월 25일.




미디어워치 편집부 mediasilkhj@gmail.com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








PC버전으로 보기

Copyrights 2006 All Rights Reserved | 대표전화 : 02-720-8828 | FAX : 02-720-8838 | 대표이메일 : mediasilkhj@gmail.com | 사업장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4길 36, 2층 | 등록·발행연월일 2013년 3월 27일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 다08208 , 영등포, 라00483 |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58 | 사업자등록번호((주)미디어실크에이치제이) : 101-86-45323 | 대표이사 : 변희재 | 발행인 : 변희재 | 편집인 : 황의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황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