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안광주전라=박종덕 본부장) 지난 2008년 8월 본보가 "<특별진단>광양항 활성화, 그 대책은 무엇인가?" 라는 기획보도를 통해 광양항의 일반화물 유치를 위한 다목적부두 신설 필요성 등을 지적한 기사에 대해 여수광양항만공사가 적극 수용할 방침을 밝혔다. 당시에는 그 필요성은 인정했지만 컨테이너공단법 등 관련법 개정 등의 문제로 현실적 어려움에 봉착된 상태였다.
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122821
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124902
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126110
여수광양항만공사(사장 이상조)는 지난 15일 월드마린센터에서 주성호 국토해양부 제2차관, 광양항 기항 선사, 터미널 운영사 및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 등 광양항 관계자와 함께 ‘광양항 활성화’간담회에서 이같은 방침을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 주 차관은 “유럽경기 침체 등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광양항 여건이 좋지 않은 것은 사실이나 2012년은 YGPA 설립 후 새롭게 맞는 첫 해로, 이런 때일수록 새로운 각오로 항만당국과 항만이용자가 함께 뛰어야 한다”며 광양항 활성화 대책 간담회 개최 배경을 설명했다.
여수광양항만공사는 이 자리에서 광양항 이용수요를 고려하여 일부 컨테이너 부두에 대해서는 철재제품 등 일반화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기능전환하여 종합항만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현재 여유가 있는 컨테이너 부두(1단계 1~2번 선석)를 일반부두로 기능전환하고, ‘20년까지 다목적부두로 기능전환된 3-2단계부두와 함께 활용방안을 수립하여 일반화물 수요에 적극 대응키로 하였다.
또한, 광양항 물동량을 보다 많이 창출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볼륨인센티브도 개선하기로 했다. 수입화물이 부족한 광양항 여건을 감안하여, 수입화물과 환적화물에 대해서는 인센티브 단가를 상향 조정, 수출화물은 하향조정하는 등 화물별로 인센티브를 차등 적용할 계획이다.
300만TEU 달성시까지 항만시설사용료를 면제하여 광양항의 비용경쟁력을 제고시킴으로써 광양항 이용선사의 안정적인 기항을 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여수광양항만공사 내에 ‘물류지원센터’를 운영하여 항로 안내 및 화주-선사 연결, 불편사항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화주들이 광양항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를 통해 선사의 광양항 기항확대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계획이다.
글로벌기업(P&G 등)과 호남․충청권 화주*에 대해서도 밀착 마케팅하고, 포워더의 LCL화물 유치를 지원함으로써 4대 물품(석유화학, 전자, 자동차, 제지)에 편중된 광양항 물동량의 다변화를 유도할 계획이다.
여수광양항만공사는 국토해양부와 공동으로 투자유치단을 구성하여 우량기업을 배후단지로 적극 유치하고, 여수석유화학단지 등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화물처리 인프라(탱크 컨테이너 세척시설, 위험물창고 등) 구축도 차질 없이 추진하기로 하였다.
이상조 사장은 “세계경기 침체와 중국경제의 성장률 둔화 등 여건이 좋지 않지만, 광양항 1월 환적화물이 24.0% 증가하는 등 순조로운 출발을 보이고 있다”며 “광양항 활성화를 위해 국토부 등 항만당국과 공사, 업계가 새로운 각오로 열심히 뛴다면, 2015년까지 300만TEU 달성도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와 의견을 기다립니다.
전화 가능 시간 : 평일 10:00~18:00
(주말, 공휴일은 쉽니다)
Copyrights 2006 All Rights Reserved | 대표전화 : 02-720-8828 | FAX : 02-720-8838 | 대표이메일 : mediasilkhj@gmail.com | 사업장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4길 36, 2층 | 등록·발행연월일 2013년 3월 27일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 다08208 , 영등포, 라00483 |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58 | 사업자등록번호((주)미디어실크에이치제이) : 101-86-45323 | 대표이사 : 변희재 | 발행인 : 변희재 | 편집인 : 변희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변희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