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영화산업이 제2의 전성기를 구가하는 것과는 정반대로 국가적 문화자산인 주요 영상자료의 장기보존에 필수적인 필름현상 시스템이 국내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국영화는 98% 이상이 디지털 시스템으로 제작되고 있어 필름이 사라진지 오래됐다. 이에 따라 필름현상 업체는 작년까지 公私업체 통틀어 2개가 있었지만 현재는 단 한 개 업체만이 설비를 가동하고 있는 상황이다.
영화진흥위원회는 금년 9월 자체 보유하던 필름현상시스템을 한국영상자료원으로 이관키로 하였으나 이를 이관 받는 영상자료원은 설치에 따른 법적제약 및 설치장소 문제 등으로 정상적인 가동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현재 한국에는 민간기업인 S사가 국내에서 유일하게 필름현상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나 이 회사도 경영난을 견디지 못해 현재 인도의 한 영화업체와 시스템 일괄매각 협상을 벌이고 있다. 예정대로라면 연내에 협상을 마무리하고 내년 초에는 필름현상설비 일체를 양도할 계획이다.
이처럼 한국에서 필름현상 시스템이 사라질 경우 국가의 소중한 문화자산인 각종 영상물과 국가영상기록물(대통령 및 주요인사 활동, 유무형 문화재 영상기록물 등)의 장기보존을 위한 필름화 작업에 상당한 차질을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 미국 등 외국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새로운 외화 낭비의 요인이 될 수 있으며 문화강국의 위상 저하는 물론 박근혜정부의 국정 목표인 문화융성에도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영상자료의 장기보존업무는 한국영상자료원에서 전담하고 있는데 현재 영상자료원이 보존하고 있는 자료 중 30% 가량만 디지털화 되어 있다. 또한 중요 자료의 장기보존을 위해서는 필름화 작업이 필수인데, 이를 위한 예산이 턱 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자체 필름현상시스템이 없어 지금까지는 민간 업체에 위탁해 왔으나 국내에 단 하나뿐인 민간 업체마저 시설을 외국에 매각하면 내년부터는 영상자료보존에 상당한 문제점이 현실화될 전망이다.
영상자료 장기보존대상은 비단 영화제작물 뿐 아니라 방대한 영상콘텐츠를 생산하는 방송제작물과 국가의 중요한 역사자료가 될 국가영상기록물 등 그 대상이 광범위하다. 역사적 문화적 보존 가치가 막중하지만 현재 정부 유관기관인 문화체육관광부 미래창조과학부 방송통신위원회 등은 이에 대한 대책이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대해 청운대 설기환 교수(방송영상학과, 전 천안영상문화진흥원장)는 “국가 차원의 영상제작물 보존관리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하면서 이를 위해서는 △ 선진국형의 중요영상 제작시스템 유지 (국가적 중요 기록과 문화적 가치가 높은 작품은 필름으로 제작 보관) △ 영상자료의 오리지널 보존 시스템 유지 (영상물 디지털 보존의 표준화, 안정성, 기술성 완성 시까지는 국가적기록물과 중요 작품의 필름화 지속) △ 필름현상 설비, 기술, 전문인력 등 시스템 유지 등을 대책으로 제시했다.
자세한 문의 : 설기환 교수 (010-9959-9311) 청운대 방송영상과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와 의견을 기다립니다.
전화 가능 시간 : 평일 10:00~18:00
(주말, 공휴일은 쉽니다)
Copyrights 2006 All Rights Reserved | 대표전화 : 02-720-8828 | FAX : 02-720-8838 | 대표이메일 : mediasilkhj@gmail.com | 사업장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4길 36, 2층 | 등록·발행연월일 2013년 3월 27일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 다08208 , 영등포, 라00483 |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58 | 사업자등록번호((주)미디어실크에이치제이) : 101-86-45323 | 대표이사 : 변희재 | 발행인 : 변희재 | 편집인 : 황의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황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