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10년이 흘렀다. 그동안 국제사회는 일본의 투명한 정보공개와 사고처리 덕분에 방사능에 관한 무지를 수정하고 과학적인 지식을 축적해왔다. 반면에, 한국은 국제사회의 컨센서스에 벗어나 또 하나의 강력한 반일 상징만 얻은 건 아닐까.
일본 후쿠시마현의 와타나베 코헤이(渡辺康平) 현의원은 앞서 ‘겟칸하나다(月刊Hanada)’에 투고한 연이은 기고문을 통해 한국 정부와 한국 언론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독도, 징용공, 욱일기 등에 이어 새로운 반일의 테마로 삼고 있다며 크게 우려해왔다.
지난주에 있었던 본지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와타나베 의원은 “한국에서 여태껏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관한 유언비어가 보급되고, 그걸 한국 국민들이 굳게 믿게 된 현실은 매우 안타까운 일입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동일본대지진과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전사고로부터 이미 10년이 지났습니다”라고 지적하면서 “(한국과는 달리) 지난 10년간, 국제적으로는 이미 후쿠시마현에 대한 이해와 방사능 문제에 관한 지식이 깊어졌다고 사료됩니다”라고 말했다.
다른 반일 테마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일본 측은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관해서도 ‘진실’과 ‘투명성’을 강조하고 있다. 와타나베 의원 역시 결코 정치적인 이유나 우호 협력을 위해 거짓을 내세워 선동하는 한국 정부와 한국 언론에는 굴복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와타나베 의원은 “한국 측의 관민(官民)을 동반한 일본에 대한 멸시 행위가 지금까지 다케시마, 응모공, 쿄쿠지쓰키(욱일기) 등 다양한 정치적 과제에 있어 행하여져 왔습니다”라고 직언을 하면서 “단지 그 테마의 일환으로 역시 ‘후쿠시마 원전사고’도 포함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진단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그는 “‘방사능 문제는 일본의 약점’이라는 관점에서 한국 정부와 한국 언론이 일본 및 후쿠시마현을 몰아세우는 방침과 자세에 변함이 없는 한 일본이 한국에 먼저 앞장서서 다가갈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물론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는다’는 확증편향(確證偏向)을 배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정”이라며 “다만 이러한 확증편향이 제거되었을 때 비로소 새로운 일한(日韓) 관계가 구축될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와타나베 의원은 “한국 내의 반일 경향에 대해서는 저 또한 상당히 안타까운 심정”이라는 입장을 거듭 말하면서, “그래도 2016년에 이준규 전 주일한국대사가 직접 후쿠시마 제1원전을 시찰해줬던 일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었습니다”라고 평가를 하기도 했다.
실제 당시 이준규 당시 주일 한국대사(현 한국외교협회 회장)는 후쿠시마를 방문해 우치보리 마사오(内堀雅雄) 지사와 만난 뒤 일본 기자들에게 “한국 국민이 (후쿠시마의 상황을) 직접 보면 (인식이) 서서히 개선될 것”이라는 희망적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이 대사는 JTBC 등 반일 언론에 선동된 한국의 네티즌들로부터 “일본 정부에서 월급을 받는 후쿠시마 수산물 홍보대사”라는 공격을 당해야만 했다.
와타나베 의원은 “후쿠시마의 정확한 정보를 한국에서 발신한 일이, 사실상 집중포화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한국 여론이 후쿠시마 현을 계속해서 방사능에 오염된 지역이라고 간주한다면, 저희로서는 설득 대상을 대만과 홍콩 등 다른 국가와 지역으로 전환하여 대외 활동 등을 중점적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밝혔다.
사실 후쿠시마를 향한 비과학적인 유언비어는 일본 내부에서도 심각한 문제다. 예를 들어, 와타나베 의원이 ‘겟칸하나다’에 칼럼을 기고한 바 있듯이 일본 아사히신문이나 NHK는 후쿠시마현에 대해 근거 없는 보도를 하면서 후쿠시마 현을 향한 공포와 불신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일본에선 이를 소문으로 인한 피해, 즉, 풍평피해라고 표현한다.
후쿠시마 현은 풍평피해를 줄여나가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와타나베 의원은 “언론의 풍평피해에 대해 검증하는 일본의 단체는 이미 아시는 바와 같이 ‘팩트체크 후쿠시마(
http://fukushima.factcheck.site )’라는 검증 사이트가 있습니다”라고 귀띔을 해줬다.
풍평피해를 불식시키기 위한 일본 정부의 노력에 관해서 와타나베 의원은 “정부는 8월 24일, 처리수의 해양 방출에 대해 관료급 회의를 총리 관저에서 열었고, 풍평피해가 발생할 경우 어폐류를 정부가 수매하는 기금 창설 등 정부 대책의 중간 정리에 나섰습니다”라고 설명했다.
또 “안정성 평가에 관하여 협력을 받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더불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및 원자력기구(NEA)와도 제휴를 강화하여, 전문가를 동반한 워크숍을 통해 세계 각국에 처리수의 안정성을 발신한다는 방침이 기술되어 있습니다”라고 덧붙였다.
와타나베 의원에 따르면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국제사회는 중국이나 한국이 아니라 일본의 주장을 더욱 신뢰하는 모양새다.
실제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전 총리가 올 4월에 처리수의 해양 방출 방침을 결정한 것에 대해, 미 국무부의 네드 프라이스(Ned Price) 대변인은 ‘독특하고 곤란한 상황에서 일본은 투명성을 유지하며 세계적인원자력 안전 기준을 충족하는 방법을 채택했다’라며 평가했다. 토니 블링컨(Tony Blinken) 국무장관도 트위터를 통해 “투명성있는 활동에 감사한다”라는 의견을 표명했다.
한국은 문재인 정권 출범 후에 전례 없는 반일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반일운동에만 열중하던 사이, 한국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얻을 수 있는 교훈을 얻지 못하고 잃어선 안될 동맹과 우방을 잃고 있는 것이 아닌지 자문해볼 일이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