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소개] 조넨 쓰카사(上念司)는 1969년 도쿄도 출생으로 일본 주오(中央)대학 법학과를 졸업했다. 일본장기신용은행(日本長期信用銀行), 임해(臨海)세미나 사업본부장을 역임했다. 2007년부터 경제 평론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같은해 카츠마 카즈요(勝間和代)씨와 주식회사 ‘감사와 분석(監査と分析)’을 설립했다. 2010년 미국 예일대 경제학과 하마다 고이치 (浜田宏一) 명예교수의 지도하에 연구했다. ‘방송법 준수를 요구하는 시청자 모임(放送法遵守を求める視聴者の会)’ 사무국장 또한 맡고 있다. 저서에는 ‘경제로 해독하는 일본사(経済で読み解く日本史)’ 전 6권(총 45만부 돌파), ‘레이와 민간방위(れいわ民間防衛)’(이상은 모두 아스카신샤(飛鳥新社)), ‘일본을 멸망시키는 암반 규제(日本を滅ぼす岩盤規制)’(문고판·아스카신샤) 등 다수. |
대체 언제까지 이럴 작정인가? 후쿠시마는 10년 전과 전혀 딴판이며, 착실하게 부흥하고 있다. 후쿠시마에 가보면 누구나 그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아사히신문은 본인들 입맛대로 후쿠시마의 실상을 왜곡하고 있으며 아직도 허위사실을 정정하지 않고 도리어 허위사실을 확산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과거 ‘원자력 사고로 사망자는 발생하지 않았다’라고 발언한 정치인이 있었지만, 이는 사실에 어긋난다. 원자력 발전소에서 4.5킬로 떨어진 후타바 병원에서는 자위대와 경찰이 방사성 물질에 저지되어 구출 작전을 펼치지 못했고, 약 50명이 쇠약으로 사망했다. 나는 당시의 기억을 되새기며 이를 찾아다녔다.” ( 코테가와 타로 기자 )
우선, 이 트윗에 대한 팩트체크부터 시작해 보자. 애초에 이 내용은 명확하게 사실에 반하고 있다. “자위대나 경찰이 방사성 물질에 저지되어 구출 작전을 펼치지 못했다” 등의 사실은 존재하지 않는다. 실제로는 “현장에서 의료진이 순차적으로 구출 활동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자위대의 지원으로 환자 모두가 15일자로 이송됐다”는 것이 팩트다.
좀 더 정확하게 상황 설명을 덧붙이자면 이렇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관한 정부 사고 조사 및 최종 보고서에는 다음과 같은 취지의 보고내용이 있다.
자위대는 확실히 한번 발길을 돌렸다. 그러나, 만일 그날 원전 폭발이 없어서 12일에 구출 작업을 진행하였어도, 후타바 병원에 자위대가 도달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왜냐하면, 현(県) 재해대책본부가 오프사이트 센터로부터 “후타바 병원에 환자가 잔류 되어있음으로 재해본부의 대응을 부탁한다”라는 의뢰를 받은 건 13일 오전이었으며, 또한 현(県) 재해본부에 파견된 육상 자위대의 연락원에게 구조 및 이송 요청을 한 것은 동일 오후 1시였기 때문이다. 물론 자위대는 이 요청에 부응하였고, 연대순으로 보나 논리적으로 보나 “저지”당한 것이 아니며, 구출 활동도 실제로 진행되었다.
코테가와 타로 기자가 트위터에 남긴 이야기는, 당초에 후쿠시마 현의 오보(병원장이 환자를 남겨 도망갔다는 취지의 정보를 내고 뒤늦게 오보를 시인하고 사죄한 사건)를 잘못 인용한 것이다. 당시 언론사들은 이 발표를 검증하지 않은 채 고스란히 보도했다. 해당 사건은 이후 ‘보도피해(報道被害)’로 인정되었고, 정부 사고조사 위원회 등에서 세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코테가와 타로 기자가 아무리 입사 4년차인 신입이라 해도 이 일을 몰랐다는 건 있을 수 없다. 인터넷에 검색하면 사실확인이 가능한 자료가 무수히 존재한다. 이마저도 몰랐다면 언론인으로서 실격이다.
애초 후타바(双葉) 병원은 정신과에 입원한 환자가 많은 관계로 수락처 확보 등 복잡한 요인들이 존재했다. 또한 혼란 속에서 자위대 및 경찰 당국의 구출 활동은 (후타바 병원뿐만 아닌) 대다수의 의료기관이나 복지시설에서 난항을 겪은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상황 판단에 필수 불가결한 기초 사실을 외면한 코테가와 타로 기자의 기사는 지극히 일방적이고, 사실 왜곡에 입각한 기사라고 표현하지 않을 수 없다.
코테가와 타로 기자는 “약 50명이 쇠약으로 사망하였다”는 정보를 ‘원전 사고’라는 애매모호한 주어와 결합하여 왜곡된 사실을 제시하였다. 실은 “약 50명이 쇠약으로 사망하였다”는 것은, 인프라가 제대로 기능을 못 하고 인력이 부족한 가운데, 중증 환자들이 급격히 위독해진 것과 ‘과잉피난(過剰避難)’이 그 원인이다.
특히 3.11(동일본대지진) 사태 이후 후쿠시마에서 과잉피난이야말로 가장 많은 인명 피해를 낳았다는 사실은 10년이 지난 지금 더 명확해지고 있다. 가령 후쿠시마 현에서는 지진 및 쓰나미로 인해 약 1,600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한 반면, 대피 과정 및 장기화로 인해 사망한 소위 ‘재해 관련 사망(震災関連死)’은 2,300명이 넘는다.
더불어 그 과잉피난을 유도한 원인 중 하나는 근거도 불명확한 ‘방사능 기피’를 부추기고 선동한 아사히신문을 비롯한 언론에 있다. 예컨대, 아사히 계열 시사주간지 ‘아에라(AERA)’(아사히신문 출판) 2011년 3월 28일호 ‘방사능이 온다(放射能がくる)’ 등은 그 전형적인 사례이다. 재난 발생일인 3월 11일부터 2주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 이재민이 접하면 당연히 공포심에 대피를 소동을 벌일 만한 정보를 흘린 건 분명하다.
원전 사고 1달 후 마을 전체 주민이 대피 대상이었던 이이다테 마을(飯舘村)은, 피폭 피해보다 과잉피난의 위험성이 크다고 판단하여, 고령층에 관해서는 피난 작업을 그만두었다. 실제로, 이로 인해 피난 과정에서의 사망자가 일절 발생하지 않았다. 장시간 이동에 동반한 스트레스나 낯선 피난처에서의 생활환경 등이 고령층의 안전 리스크를 높인다는 것은 현장의 의료 종사자도 단호히 주장하는 부분이다.
‘인기척이 없다’라는 기사를 쓰기 위해 의도적으로 일요일에 취재?
다음으로, 기사의 서두부터 사실에 반하는 부분을 지적하고자 한다. 앞서 열거한 코테가와 타로의 기사에는 다음과 같이 서술되어 있다.
“고요한 잡목림(雑木林) 끝 타일형의 건물 하나가 있다. 인기척은 전혀 없다. 들리는 건 착용한 방호복이 스치는 소리와 마스크 아래의 자신의 숨소리뿐이다.”
우선, 코테가와 타로 기자가 취재를 시행한 2021년 1월 31일이라는 날짜에 주목해 보자. 당연한 일이지만, 후쿠시마에서도 주말에는 부흥 관련 공사나 사업이 대폭으로 줄어들며, 이는 현지인들도 주지하고 있는 사실이다. 즉 일요일에 취재를 진행하였다면 인기척이 없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오히려 코테가와 타로 기자는 ‘인기척이 없다’라는 표현을 쓰기 위해 주말을 겨냥해 취재에 나선 것이 아닌가? 필자가 ‘모리가케 문제(モリカケ問題, 아베 내각 당시 떠들썩 모리토모(森友) 학원 국유지 헐값 매각과 가케(加計) 학원 수의학부 신설 특혜 관련 스캔들)’와 관련해서도 지적했던 바, 아사히신문의 논리에 의하면, 의혹이란 것은 받은 측이 결백을 증명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런 식이라면, 코테가와 타로 기자는 일요일에 후쿠시마를 취재한 것이 의도적이지 않았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책임이 있다. 만약 설명을 못 한다면, 그의 기사는 배경 설명이 없는 가운데, ‘후쿠시마는 절대적으로 망한 땅’임을 시사하는 듯한 내용을 자의적으로 편집한 셈이다.
한 가지 사실을 덧붙이자면, 지금까지 대피 지시가 내려진 지역에 있어 절정기에는 약 2만 명이 합동 작업을 펼쳤다. 주로 제염사업체에서 동원되었지만, 이 작업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선 현재에도 가옥 해체 등 환경 재생을 위한 공사는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귀환(帰還) 곤란 구역이라 해서 인기척이 없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나도 작년(2020년) 12월 22일(화요일)에 현지 시찰에 나섰을 당시도 후쿠시마 곳곳에서 공사가 진행되고 있었다. 그리고 오후 5시쯤 이른 저녁 식사를 위해 선술집에 방문했을 때 약간의 줄이 생길 정도로 붐볐고, 손님 대부분이 작업복을 착용하고 있었다. 아마도 복장으로 추정컨대 복구 작업을 하시는 토목 및 건축 관계자였던 것으로 사료된다.
피난 지시 해제를 둘러싼 완전한 거짓
놀랍게도 코테가와 타로 기자의 인상(印象) 조작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뒤이어 다음 부분에서 대형 실수를 범하고 있다. 우선 문제의 부분을 인용해 둔다.
“곁길은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있지만, 깨끗한 도로는 도중까지. 병원에 근접하면 노면은 퇴색되어 금이 가고, 부풀어 오른 자국이 선명하다. 어느 남성 행인이 중얼거린다 ‘여기는 앞으로 10년은 사람이 살 수 없어.’ 실제로 피난 지시 해제의 전망은 전혀 없어 보인다.”
위 내용은 명확히 사실에 반한다. 이 기사의 취재지(후타바 병원이 지정된 귀환 곤란 구역)와 관련해, 2021년 12월 25일 원자력재해대책본부의 ‘특정 부흥 재생 거점 구역 외(外)의 토지 활용을 향한 피난 지시 해제에 대하여(特定復興再生拠点区域外の土地活用に向けた避難指示解除について)’ 가이드라인은, 피난 지시 해제가 전제임을 밝히고 있다. 따라서, 즉 “피난 지시 해제의 전망은 전혀 없어 보인다”라는 표현은 이 사실을 전혀 모르거나, 알고 있음에도 독자를 기만하려는 의도로 내용을 배제 시켰다는 것 외엔 설명이 불가능하다.
이 점을 추궁하는 데 있어서 핵심 증거인 상기의 원자력재해대책본부의 자료를 확인해 두자. 귀환 곤란 구역에 대하여 지역 주민 및 여당의 제언을 참고로 일본 원자력재해대책본부의 부흥추진 회의는 ‘귀환 곤란 구역 취급에 관한 방침(帰還困難区域の取扱いに関する考え方)’(2016년 8월 31일)을 발표했다. 본 지침에서는 해당 구역의 방사선량 저하 경위를 고려하여 5년을 목표로 피난 지시를 해제하고 거주 가능한 상태를 목표로 하는 ‘특정 부흥 재생 거점 구역(特定復興再生拠点区域)’의 정비를 기본 방침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특정 부흥 재생 거점 구역 외의 귀환 곤란 구역(이하 거점 구역 외)에 관해서도 “비록 상당한 기간이 요구된다고 해도, 미래에는 모든 귀환 곤란 구역의 피난 지시를 해제하여, 부흥 및 재생에 책임지고 임하겠다는 결의”를 명백하게 밝히고 있다.
그 뒤로 거점 구역 외(外)에 대해서는 ‘‘부흥 및 창생 기간’ 이후의 동일본 대지진 부흥 기본 방침(「復興・創生期間」後における東日本大震災からの復興の基本方針)’에서 “각 지역의 사정, 토지 활용의 의향과 동향 현황 분석, 지방 공공 단체의 요청 등을 고려하여 피난 지시 해제를 위한 향후 정책 및 방향성 검토를 추진하겠다”라는 방침도 밝혔다.
여기서 핵심 부분은, “일부 지자체로부터 거점 구역 외의 토지 활용을 위한 피난 지시 해제 요청이 있었다”라는 사실, 그리고 주민들이 갈망하는 피난 지시 해제를 위해서 국가도 적극적으로 몰두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다만, 이는 코테가와 타로 기자가 인용했던 “여기는 사람이 살 수 없다”라고 주장한 주민의 의견과 모순되지는 않는다. 비록 대다수의 주민이 피난 지시 해제 의사를 밝히고 그 요청을 지자체가 대신해 국가에 전했지만, 주민 모두가 이 방침에 찬성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즉, 코테가와 타로 기자의 문제점은 대다수 주민의 목소리를 무시한 채, 본인이 우연히 만난 한 주민의 생각을 마치 지자체 전체를 대변하는 듯한 인상을 심어준 것이다. 이것은 의도적으로 행하여진 것인가? 아사히신문은 철저히 검증할 책임이 있다.
현지 주민의 “생각”은 무시
더 나아가 코테가와 타로 기자의 또 하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사실 취재지인 후타바 병원의 주변은 피난 지시 해제의 대상인 방사선량의 조권을 충분히 충족하고 있다. 우선, 방사선량의 기준을 확인해 보자.
2021년 3월 5일 오전 9시 35분 현재 후타바 병원 인근 지점에서, 높게는 ‘오오쿠마쵸 문화 센터(大熊町文化センター)’가 1.460 μSv/h, 가장 낮은 곳은 ‘구마니구 지구 집회소(熊二区地区集会所)’의 0.612 μSv/h이다. 두 수치 모두 국가 기준인 38 Sv/h와 비교하여 현저히 낮은 수치이다.
코테가와 타로 기자는 이렇듯 인터넷에서 쉽게 검색 가능한 정보들을 확인조차 하지 않은 것일까? 더불어, 지역의 요청에 따라 피난 지시 해제를 추진하고 부흥을 이루려는 현지 주민의 ‘생각’은 무시하며, 실존 여부도 불분명한 “주민”의 “여기는 앞으로 10년은 사람이 살 수 없어”와 같은 발언을 자의적으로 인용한 의도는 무엇일까? 이 점에 대한 의혹은 후술(後述)하고자 한다.
비극의 진상(眞相)
마지막으로, 이 기사의 표제인 ‘후타바 병원에서 50명 사망’을 둘러싼 팩트첵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 건에 대한 사실관계는 모리 이사오(森功)의 저서 ‘왜 원장은 ‘도망범’으로 둔갑 되었는가—버림받은 원전 직하 후타바 병원 공포의 7일간’(고단샤 출판)에 자세히 저술되어 있다.
우선 사실관계를 확인해 보면 실제로 후타바 병원에서 숨진 사람은 총 4명이다. 그 외의 분들은 후송처에서 22명, 그리고 16일 이후에 추가로 24명이 사망하였다. 확실히 사망자의 총합은 50명이 맞다.
다만, 코테가와 타로 기자의 주장처럼 “자위대와 경찰이 방사성 물질에 저지되어 구출 작전을 펼치지 못했고, 약 50명이 쇠약으로 사망”한 것은 절대 아니다. 대부분 환자가 병원에서 구출된 이후에 사망하였다. 사망 원인은 구조의 초동 지연과 그 후의 과잉피난이다.
원래 후타바 병원은 하마도리(浜通り) 최대급의 의료 시설이며, 간호시설 또한 운영하고 있었다. 재해 당시 후타바 병원에 338명, 간호 시설인 도빌 후타바에 98명 총 436명이 입원 중이었다.
지진 재해 익일(3월 12일)에 버스 5대가 동원되어 후타바 병원의 입원 환자 중 209명과 병원 관계자 64명이 피난하였다. 이것이 큰 문제였다. 왜냐하면 병원에는 버스로 대피하기 어려운 중증환자가 129명이나 남아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음 버스가 도착할 동안 스즈키 원장과 몇 명의 관계자들이 다수의 환자를 돌보게 되어 버린 것이다.
최초 대피로부터 이틀이 지난 3월 14일 비로소 다음 버스가 도착했다. 이 버스로 도빌 후타바 병원 398명과 후타바 병원 34명 총 132명이 대피하였으나, 여전히 95명이 잔류하고 있었다. 그리고 비극이 일어난 것이다. 이런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4명의 환자가 목숨을 잃은 것이다.
물론 그 사인이 방사능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129명의 중증환자와 98명의 간호시설 환자를 단 수명의 의료 관계자들이 이틀 동안이나 케어를 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이 비극적인 사태 이후 버스는 매일 동원되었고, 15일에 55명, 16일에 36명이 이송되어, 대피는 완료됐다. 다만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이송처인 병원에서 22명, 16일 이후에는 24명이 사망하였다. 물론 이 사인 또한 방사능에 의한 것은 아니다.
사실관계가 뒤죽박죽
더구나 이 문제는 고테가와 타로 기자 개인의 문제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아사히신문은 후타바 병원에 관한 해당 오보를 아직도 게재하고 있다. 기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의 반경 20킬로 권내의 피난 지시를 받은 후타바 병원(후쿠시마현 오쿠마쵸)에서 이송된 환자가 연달아 사망한 문제로, 병원 관계자가 이송 당시 동반하지 않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후쿠시마현이 17일에 발표하였다.
현에 따르면, 동 병원에는 338명이 입원하고 있었으며, 그중 146명은 노쇠 환자 또는 병세가 중한 환자였다. 14일 오전 11시경 동 원전 발전소 3호기가 폭발한 것에 따라, 육상 자위대가 13일 및 14일 이틀간 3회에 걸쳐 환자를 구출하였다.
육상 자위대가 14일에 구출 작업을 할 당시 병원장을 포함 직원이 여러 명 있었다. 하지만 피난소까지는 동행하지 않았고, 15일 오전과 오후에 총 55명이 이송되었을 때도 병원 관계자의 동행은 없었다고 했다. 현(県)에 따르면, 이동 시 환자의 병상을 확인할 수 없는 상태로, 이송 중 그리고 이송 후에 총 21명이 사망하였더.
이는 사실관계가 뒤죽박죽이다. 병원 관계자가 피난처까지 동행하였기에 잔류한 환자 약 200명을 몇 안 되는 직원들이 돌보는 비극적인 사태가 일어난 것이다. 이는 몇 해에 걸쳐 여러 번 검증되어 밝혀진 사실이며, 왜 아사히신문은 아직도 정정 기사를 내지 않는지 의문이다. 어쩌면 아사히신문 입장에선 이런 작은 스토리는 아무래도 좋다는 생각인지도 모른다.
아울러 이 기사에는 흥미로운 점이 한 가지 더 있다. 기사에는 “14일 오전 11시경 동 원전 발전소 3호기가 폭발한 것에 따라, 육상 자위대가 13일 및 14일 이틀간 3회에 걸쳐 환자를 구출하였다”라고 명확히 기재되어 있어 있다. 이 부분은 앞서 소개한 코테가와 타로 기자의 “자위대와 경찰이 방사성 물질에 저지되어 구출 작전을 펼치지 못했다”라는 트윗을 전면적으로 부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코테가와 기자는 최소한 자사의 기사조차 확인하지 않고 기사를 쓴 것일까? 그렇지 않고서는 이런 픽션에 기반한 트윗과 기사를 쓸 수 없지 않은가. 갈수록 의혹이 깊어져 간다.
아사히신문의 구조적인 문제
코테가와 타로 기자는 이 건에 대해서 다른 트윗을 통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2년 전에 사망한 병원장의 말버릇은 ‘원자력 발전소의 100킬로 이내에는 병원을 세워서는 안 된다’였습니다. (원전) 재가동의 논의가 한창 중인 가운데, 과연 같은 사고가 일어났을 때 생명을 지킬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 코테가와 타로 기자 )
정말로 후타바 병원의 원장이 이러한 말을 한 것일까? 설령 했다고 하더라도, 3.11 사태 이후의 원자력 규명 또는 원자력 방재의 논의 등 아무런 근거에 입각하지 않은 내용을 신문기자라는 작자가 검증 절차 없이 방출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100킬로라고 하는 거리는 센다이(仙台)에서 요네자와(米沢), 나스(那須), 히타치(日立)를 포함한 동심원이다. 그런 광범위한 지역에서 병원이 없으면 빚어질 사태에 대해 진지하게 검토했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만일 그런 지역이 있다면, 피폭과는 비교할 수 없는 거대한 리스크를 안게 될 것이다.
일련의 기사와 트윗을 검토하고 보니 코테가와 타로 기자가 편향된 이념을 기반으로 인상조작을 행하고 있다는 의혹이 더욱 깊어져만 갔다.
아사히신문은 데스크에 이 기사의 원고가 올라왔을 때 최소한의 검토도 하지 않았던 것일까? 아사히신문은 ‘요시다 증언’ 사건 및 ‘위안부 강제연행 조작’ 기사로 대표이사가 사임한 사건에 대해 한치의 반성조차 없는 것인가? 재발 방지 대책이 극히 불충분하기 때문이 이런 기사가 게재된 것이 아닌가? 창업 이래의 대적자로 인해 현장의 사기가 저하되고 있는 것은 들었지만, 이 정도로 사실에 반하는 자의적인 기사가 통한다면, ‘질적 저하’는 구조적인 문제일지도 모른다.
끝으로, 코테가와 타로 기자에게 일련의 트윗과 기사로 불거진 의혹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기대하는 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