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의학을 논문으로, 과학으로 분석해보자

사이비과학이 사상의학에 대한 연구는 하나같이 세금낭비에 불과한 것임이 밝혀지고 있다

강석하 과학중심의학연구원 대표원장 kang@scientificcritics.com 2015.07.31 02:33:26


사상체질의학은 중국 도교 사상을 토대로 한 조선의 기존 한의학과 달리, 20세기인 1900년을 전후해 이제마가 ‘동의수세보원’이라는 저서를 통해 유교 사상을 바탕으로 새롭게 제시한 한의학이다.

이제마는 무언가를 네 가지로 나눠놓기를 좋아했다. 그래서 기존 한의학에서의 오행(五行)을 사상(四象)으로, 오장육부(五臟六腑)를 사장사부(四臟四腑)로 새로 썼다.

이제마는 무엇보다도 사람의 체질을 태양, 태음, 소양, 소음 네 가지로 나눴다. 이제마는 네가지 체질에 따라 사람의 성격, 체형, 질병 등이 다르다고 주장했다. 이제마는 체질에 따라 같은 약재도 약이 되거나 독이 될 수 있어 체질에 맞는 처방과 섭생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대한한의사협회의 사상의학 설명)

사상의학이 성행하게 된 이유

사상의학은 한의학의 종주국인 중국에서는 아는 이가 거의 없고 현재 전 세계에서 오직 우리나라에서만 성행하고 있다. 이는 고대중국의학의 아류였던 한의학의 본질을 감추고, 한의학을 마치 우리 고유의 것인 것처럼 둔갑시키려 했었던 우리나라 한의사들의 민족주의 상술과도 무관치 않다.

우리나라 한의사들은 1980년대를 전후해 기존에 고대중국의학을 의미했던 한(漢)의학을 우리나라를 의미하는 한(韓)의학으로 이름을 고쳐 쓰면서 한의학이 우리 한(韓)민족 고유의 것이라고 이미지 세탁을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이런 차원에서 한의학이라는 학문 자체에서도 한(漢)의학과는 다른, 한(韓)의학만의 독창적인 뭔가가 필요했었는데, 이에 우리 민족의 일원이 가장 최근에 만든 사상의학에도 본격적으로 매달리게 된 것이다. 현재도 매년 백억 이상의 국가예산이 사상의학 연구에 쓰이고 있는데 여기에는 국내 한의사들의 입김도 크게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사상의학은 믿지 않는 사람에게는 쓰레기와 같다는 점에서 과학이 아닌 신학에 가깝다.

과학자들은 기존의 지식과 관찰을 토대로 새로운 가설을 세우고, 그 가설이 옳은지 아닌지 연구를 통해 검증하고 정교하게 다듬는다. 이 과학적 검증 과정을 통과해야 가설이 받아들여지고 응용되기 시작한다.

그렇지만 이제마는 기존의 지식이나 관찰이 아닌, 관념을 바탕으로해서 사상의학을 주장했다. 이는 ‘동의수세보원’의 몇몇 구절만 살펴봐도 쉽게 알 수 있다.


"소양인은 분노(怒性)는 넓게 감싸 안아주지만 슬픔(哀情)은 촉박하여 급하다. 분노를 넓게 감싸 안아주면 기가 비장으로 들어가게 되어 비장은 더욱 왕성해지지만 슬픔이 촉박하여 급하면 기가 신장을 격동시켜 신장은 더욱 상하게 될 것이니 소양인의 장부가 비대(脾大) 신소(腎小)로 형성되는 까닭이다."(동의수세보원 사단론)

"소양인은 사무(事務)를 중하게 여기는 까닭에 항상 밖에 나가 있을 때 사무를 일으키는 애심(哀心: 다른 사람이 자기를 속이는 것을 슬프게 여기는 감정)이 있다. 이 마음은 떳떳하게 타고난 경심(敬心)에서 나오므로 지선(至善)하지 않음이 없으나 거처(居處)에서 삼가지 않는 까닭에 언제나 안을 주로 하는 거처인의 함정에 빠져 애정(哀情)이 치우쳐 장부를 상하게 된다. 이것은 밖을 중하게 여기고 안을 가볍게 여기기 때문이다."(동의수세보원 확충론)

"혀의 진해(津海)는 귀의 근본이고, 젖가슴의 고해(膏海)는 눈의 근본이며, 배꼽의 유해(油海)는 코의 근본이고, 전음의 액해(液海)는 입의 근본이다."(동의수세보원 장부론)


이렇게 이제마의 사상체질에 대한 설명은 인체에 대한 과학적 배경과는 전혀 어울리는 부분이 없다. 한마디로 세상의 이치를 전혀 모르는 고대인들에게나 어울릴법한 사이비과학이자 비과학적 인체관이 바로 사상체질이요 사상의학이다.




사상의학에 대한 과학적 연구들

사상의학의 실상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상의학 연구는, 이제마의 주장이 객관적 사실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검증 따위는 그냥 ‘믿음으로 극복하고‘, 그의 주장은 무조건 옳다는 결론을 이미 내린 후에 사실을 어떻게든 끼워맞춰보려 하는 매우 부실한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왜 그럴까? 원래 한의학이라는 학문 자체가 ‘믿음’의 학문이기도 하고, 사상의학이 허구라고 밝혀지면 한의학으로 먹고 사는 사람들이 민족 정서에 기생하며 받던 혜택을 누릴 수 없게 되어 난관에 봉착하기 때문이다.

남에게 피해주지 않는다면 한의사들이 자기들끼리 연구를 하든 간증을 하든 따질 필요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사상의학이 막대한 세금을 잡아먹고 환자들에게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두고 볼 수만은 없는 노릇이다.

한의학 연구자들은 체질이 네 가지로 나뉘고 체질별로 어떠어떠하다는 가정이 유의미한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품지 않는다. 하지만 그들이 내놓는 연구 데이터는 사상의학이 허구라는 점을 여실히 드러낸다.

끼워맞추기 식에 불과한 사상의학 연구

먼저 2013년 2월 18일자로 발표된, ‘장내미생물 분석을 통한 한방변증 및 체질감별의 과학적 근거 수립’이라는 제목의 연구보고서의 서론 부분을 살펴보자.

이 연구보고서의 제목부터가 한의학계에서 사상의학이 과학적 근거가 수립되어 있지 않음을 암시하고 있다.(장내미생물 분석을 통한 한방변증 및 체질감별의 과학적 근거 수립)


"사상의학은 조선 후기 동무 이제마 의해서 사상인의 장부성리와 외형을 통한 사상체질론으로 정립된 한국의 독자적인 의학이다. 이제마 선생은 동의수세보원에서 체질진단법으로 체형, 용모, 성격, 행동의 변별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진단의 객관화 확보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체형, 두면부, 생화학, 유전자, 진단기기, 설문지, O-ring test, 지문, 음성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체질 진단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임상적으로 명확한 기준이 되는 방법이라고 결론짓기에는 부족함이 있음."


여기서 “진단의 객관화 확보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말은 어떤 의미인가. 한마디로 사상의학이 탄생한지 120여년이 지났고, 천억 이상의 연구비가 이미 쓰인 시점에서도 체질을 나눌 기준조차 제대로 정립이 안 되어 있다는 의미다.  



그동안 정부에서 사상의학을 연구하라고 연구비를 퍼주다보니 그 연구비를 타내기 위해 체형, 두면부, 생화학, 유전자, 진단기기, 설문지, O-ring test, 지문, 음성 등등 이것저것 사상체질과 짜맞춰보겠다는 연구들이 있었었다. 하지만 계속해서 만족스러운 답이 내지 못해서 이번에는 장내미생물에 한 번 끼워 맞춰보겠다는 것이 저 연구보고서의 제안이다.

상식적으로 장내미생물이 사상체질의 과학적 기반을 어떻게 마련해줄지는 두고볼 일이지만, 사상의학은 무조건 맞아야하는 것이므로 한의사들은 장내미생물이 아니라면 차후 입냄새건, 다리털이건 발톱때건 간에 무슨 기준을 가져와도 갖고 올 것이 뻔한 일이다.

신앙간증을 연상시키는 설문조사식 사상의학 연구

사상의학이 객관적인 진단 기준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는 근거는 여러 방면에서 드러난다.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은 이른바 QSCC II 설문조사라는 것이다. 대체의학을 다루는 국제학술지들에 발표된 연구들도 대부분 이 QSCC II를 기준으로 한다.

그러나 대한한의학회지에 2006년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584명의 실험대상자가 QSCC II 검사를 받고 2년 뒤에 다시 검사 했을 때 똑같은 체질로 결과가 나온 실험대상자가 333명에 불과했다.

열 명 중 네 명은 2년 뒤에 검사를 하면 아예 체질이 바뀐다는 얘긴데, 놀랍게도 저 논문의 결론은 실험대상자들의 체질이 변했다는 것이 아니었다.

이제마는 체질이 타고나서 변하지 않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의사들은 그 말을 믿어야 한다. 따라서 이제마에 대한 신앙이 깊은 연구자들은 논문의 결론을 “신체적 요소와 병증에 대한 요소들도 함께 참조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체질을 판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라고 끝맺는다.(사상체질분류검사(QSCC Ⅱ)의 재현성에 관한 연구 )
 



사상의학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사상의학 연구

단순한 설문조사법이 아닌 종합적인 판단능력이 있는 사상의학 전문가들은 다를까?

2014년 사상체질의학회지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사상체질 맞춤형 처방을 90% 이상 사용해온 5년 이상의 임상경력을 가진 한의사들 세 명이 똑같은 대상을 두고서 체질 감별이 얼마나 일치하는 지를 확인했다.

셋 중 가장 일치도가 낮은 두 명의 전문가들은 불과 52.5%만 체질 진단이 일치했고, 가장 일치도가 높은 두 명도 68.4%에 불과했다.(사상체질 전문가의 체질진단 일치도 및 타당도 평가 )

이 연구에서는 환자가 체질에 따른 한약을 복용한 결과에 따라 체질 진단이 확정된 약리를 기준으로 판별한 결과도 전문가 평가와 비교했다. 약리기준과 비교에서 가장 낮은 일치율을 보인 전문가는 54.3%, 가장 높은 일치율을 보인 전문가는 63%로 역시나 매우 낮았다.

한의사들은 이제마가 태양인은 극히 드물다고 했다는 말을 따르기 때문에 여러 연구들을 봐도 태양인은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이 연구에서도 태양인으로 진단받은 사람은 한 명도 없었고 고작 세 가지 체질 중에서 고른 것인데 어쩌면 이렇게 전문가마다 다를 수가 있는지 신기할 지경이다.

이 결과가 더욱 충격적인 사실은 이제마와 현대의 한의사들은 체질에 따라 같은 약재가 약이 될 수도 있고 독이 될 수도 있다고 말한다는 점이다. 즉, 체질 진단이 틀리면 약이 독이 된다는 의미다. 그런데 검사방법마다 체질이 다르고, 검사하는 전문가마다 체질이 다르고, 검사하는 시기마다 체질이 또 달라지는데 도대체 위험해서 한약을 어떻게 쓰라는 것인가?
 



순환논리 오류에 빠져있는 사상의학 연구

사상체질 진단이 엉망이니 자꾸 쓸데없는 연구가 되풀이된다. 2012년에 대체의학 학술지인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에 발표된 한국한의학연구원의 논문에서는 연구팀이 개발한 신체 특성 지표(SCAT-B)가과 전문가가 판별한 체질과 얼마나 연관성이 있는지를 조사했다.(Predicting Sasang Constitution Using Body-Shape Information )

남자 태음인의 경우 SCAT-B가 체질을 74%를 예측할 수 있고, 남자 소음인의 경우는 35.7%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결과를 보이는 등 평균적으로 60% 남짓의 적중률을 보였다. 사상의학을 맹신하지 않는 사람이 보면 겨우 세 가지 뿐인 체질에서 전문가 판단과 SCAT-B 지표가 거의 일치하지 않으니 당연히 아무짝에도 쓸모없다고 해석하겠지만 연구팀은 자기들이 개발한 SCAT-B가 태음인 판별에는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 세금이 아까운 연구가 아닐 수 없다.

사상의학에 대한 좀 더 근본적인 의심으로 들어가보자. 이제마는 각 체질마다 고유한 신체적 특성과 정서적 특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허리가 굵고 배가 나온 체형은 태음인에 해당하는데 태음인은 마음이 너그럽고 자기 의사 표현을 잘 안 한다고 이제마가 주장했다. 과연 허리가 굵은 사람은 마음이 너그럽고 의사 표현을 잘 안 하는 것일까?

사상의학이 맞기 위해서는 심리학에도 도전을 해야 한다. 사상체질에서 말하는 성격 특성이 신체적 외형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증명해야 하고, 질병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도 증명해야 한다. 원래 이런 증명이 있기 전까지의 가설은 사실로 여기지 않는 것이 당연한데 우리나라는 이상하게 이제마의 ‘동의수세보원’이 종교 경전처럼 받들어지고 있어서 의심 없이 사실로 여기고 있다.

사상체질이 유효한지를 증명하려면 태음인의 체형을 가진 사람이 태음인의 성격을 갖는지를 비교하는 식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상체질 연구들은 사상체질과 체형을 비교하거나 사상체질과 성격을 비교하는 식이다. 사상체질 진단에 이미 비교대상이 되는 체형이 포함되어 있고, 성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런 연구는 의미가 없다. 한의사가 체형을 반영해 태음인으로 판정한 사람을 놓고서 다시 태음인의 체형을 가졌는지 비교하는 식이니 순환논리 오류다.
 



정확도에서 치명적인 문제가 드러난 사상체질 진단

그렇다면 순환논리식의 설계가 아닌 연구들의 결과는 어떨까?

1995년 사상의학회지에 발표된 QSCC II 설문검사 항목간의 내적 일치도(Cronbach's α)에 대한 연구에서는 체질에 따라 태양인 0.57, 태음인 0.59, 소양인 0.57, 소음인 0.63으로 나타났다. 대개 0.6 미만이면 설문검사의 타당성이 나쁘고, 0.7 이상은 되어야 좋다고 판단한다. QSCC II의 형편없는 내적 일치도는 각 체질 별 성격, 체형, 질병이 서로 연관성이 없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QSCCⅡ(Questionnaire for the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Ⅱ)

2012년 사상체질의학회지에 발표된 한의사들과 심리학자들의 연구에서는 비만 척도로 많이 사용되는 BMI(체질량지수)와 사상성격검사(SPQ)와의 관계를 확인했다. 이 연구에서 사상체질과 BMI에 대한 관계는 태음인이 BMI가 높다고 나왔다 (대개 비만 체형은 태음인의 체형에 맞아떨어진다). 그러나 BMI와 사상성격은 서로 상관관계가 없이 독립적인 것으로 결론이 나왔다. 즉, 혈액형과 성격이 관련이 없는 것처럼 태음인의 체형과 태음인의 성격은 관련이 없다는 의미다. 태음인이라는 분류가 유효하려면 BMI가 높은 사람이 마음이 너그럽고 의사 표현을 잘 안하는 성격을 가져야 한다는 결과가 나와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다.(PANAS, BMI를 사용한 사상성격검사(SPQ)의 타당화 연구)

사상체질을 판별하는 기법이나 전문가, 기계 등 모두가 정확성이 처참할 정도로 낮은 이유는 앞서 본 것처럼 전혀 상관관계가 없는 성격과 체형을 묶어놓았기 때문이다. 태음인의 성격을 가진 사람이 태음인의 체형을 가졌다면 분류가 제대로 될텐데, 성격과 혈액형이 관계가 없는 것처럼 태음인의 성격과 태음인의 체형은 서로 관계가 없기 때문에 태음인이라는 분류 자체가 엉터리인 것이다.
 



사상의학이 예방의학으로서 쓸모가 있는가?

사상의학을 추켜세울 때 많이 하는 말이 ‘사상의학은 예방의학’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살펴본 것처럼 네 가지의 체질을 나눌 만한 근거가 없고 따라서 당연히 체질에 따라 맞는 음식이나 생활습관 같은 것도 있을 수가 없는데 사상의학이 예방의학으로서 어떤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사상의학이 없는 나라들도 현재 웬만큼 잘 사는 나라는 평균 수명이 80세 정도는 되는데 이제마는 대한제국이 건국(1897년)된지 3년 후, 불과 64세로 죽었다. 비슷한 시기 미국에서 건너와 우리나라 의학 발전에 밑거름을 마련한 선교사이자 의사인 호러스 알렌(Horace Allen)은 75세까지 살았다. 이제마는 한의학의 대표 위인이자 예방의학의 선구자라고 하기에는 너무 일찍 죽었다.

이제마의 주장은 과학과 충돌하고, 기존의 한의학에도 충돌한다. 그리고 사상체질 연구 결과들을 살펴봐도 믿을만한 구석을 찾아볼 수가 없다. 그럼에도 우리 민족 고유의 한의학을 추켜세우기 위해 사상체질 연구와 해외 수출에 막대한 예산을 퍼붓고 있다.

국민 세금으로 하는 연구가 아니라 기업에서 하는 연구였어도, 자기 돈으로 하는 연구였어도 이렇게 할 수 있었을까? 이것저것 해봐도 제대로 나오지가 않으면 기본 가정부터 다시 의심해보고 확인하는게 정상 아닐까?

한의사들조차 사용하지 않는 사상체질 진단기

사상체질 전문가라는 사람들조차 진단이 중구난방일 정도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기준도 없는 상태에서 정부에서는 사상체질 진단기기를 만들어내라고 세금을 쓴다.

그간 여러 가지의 사상체질 진단기기가 개발됐지만 실제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2014년 동의생리병리학회지에 발표된 한방 의료기관의 의료기기 사용 설문조사에서 체질분석진단기는 한방의료기기 중 가장 낮은 보유율과 활용도를 기록했다.(한방 의료기관의 의료기기 보유현황 및 한방의료기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조사 연구)

지금까지 사상의학 연구에 허투루 쓰인 예산은 여러 편의 쓸모없는 논문과 한의사들조차도 거들떠보지 않는 엉터리 사상체질 진단기기들만을 남겼다.

저 돈을 과학적인 의학 연구에 썼거나 신종전염병을 대비하는데 썼다면 얼마나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었을까?

현재 진행되는 사상체질 연구를 모두 중단하고, 과연 사람의 체질이 이제마의 주장대로 네 가지로 나뉘긴 하는지에 대한 타당성부터 검증해야할 것이다.



사상체질의 허구성을 다루고 있는 르뽀기사들 :

사상 체질 감별은 믿거나 말거나인가 (시사저널 기사)

사상 체질 의학의 허와 실 - 나의 체질은 (시사매거진 2580)

 
5대 한의학 치료법에 대한 과학적 평가 (과학중심의학연구원 백서) :

5대 한의학 치료법의 과학적 평가 : ‘한약’편

5대 한의학 치료법의 과학적 평가 : ‘한방물리요법’편

5대 한의학 치료법의 과학적 평가 : ‘부항’편

5대 한의학 치료법의 과학적 평가 : ‘뜸술’편

5대 한의학 치료법의 과학적 평가 : ‘침술’편


과학중심의학 개념 관련기사:

근거중심'한의학'의 허구성과 과학중심의학의 출현

'과학중심의학'이란 무엇인가

왜 “근거”중심의학이 아니라 “과학”중심의학인가?

과학중심의학과 의료일원화

과학중심의학과 근거중심의학

대부분의 의학 연구는 잘못된 것일까?

중국산 '근거중심의학'의 문제점

현대의학은 얼마나 근거중심의학적인가?

과학중심의학의 전진기지 ‘사이언스베이스드메디슨 블로그’

근거중심의학의 전진기지 ‘코크란연합’

한의학연구원과 ‘민족의학신문’의 착각

 

중국의 한의학 비판이론가 장궁야오 교수 관련 기사 :

한의학은 왜 퇴출되어야 하는가?

쇠퇴하고 있는 중국에서의 한의학

허위의학으로서의 한의학(中醫)

대한민국 한의학 폐지론

중국인 의사가 한의대생에게 보내는 편지



한의학의 과학적 검증 관련기사 :

침술, 그 역사와 효과에 대하여

침술은 과연 통증에 효과가 있는가?

한약의 독성과 부작용 문제에 대하여

유럽에서의 '한약 원인 신장병' 위기

의과대학에서의 “보완대체의학” 교육이 낳은 파행

'속' 침술 미신에 일침 놓기

‘경혈’과 ‘경락’은 존재하지 않는다!

호주 로얄 멜버른 공대 '한의학과'의 진실

침술의 역사 : 엉터리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중국산 '근거중심의학'의 문제점

침술로 불임(不姙)을 치료할 수 있다는 엉터리 기사

침술은 ‘체외 수정’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가?

침술은 과연 효과가 있는 것인가, 없는 것인가?

왜 나는 침술에 대해 회의적인가

침술 : 바늘침이 사용되는 엉터리 치료법

침술 미신에 일침 놓기

뜸 치료법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한다

서로 다른 두 가지 종류의 ‘한약(herbal medicine)’

침술 메타분석

[완전번역판] 침술은 아무 소용이 없다

우울증에 침술이 효과가 있다고?

금연하려고 침을 맞겠다고?

‘이침’이 금연에 효과적이라고? 허튼 주장일 뿐!



강석하 과학중심의학연구원 대표원장 kang@scientificcritics.com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








PC버전으로 보기

Copyrights 2006 All Rights Reserved | 대표전화 : 02-720-8828 | FAX : 02-720-8838 | 대표이메일 : mediasilkhj@gmail.com | 사업장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4길 36, 2층 | 등록·발행연월일 2013년 3월 27일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 다08208 , 영등포, 라00483 |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58 | 사업자등록번호((주)미디어실크에이치제이) : 101-86-45323 | 대표이사 : 변희재 | 발행인 : 변희재 | 편집인 : 황의원 | 청소년보호책임자 : 황의원